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2009 개정 교육과정 사회·도덕·역사과 고등학교 과목 (2011년 각론 수정) ('14~'17[1] 高1)
일반 과목
사회과도덕과역사과
■ 이전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각론 고시 2009)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 펼치기 · 접기 ]
2013학년도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7차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14학년도 ~
2020학년도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 지리 · 세계 지리 · 한국사 · 세계사 · 동아시아사 · 법과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중 2택
(단, 2017학년도부터 2011년에 일부 각론이 수정된 고시 내용을 따른다. 또한 한국사 영역이 한국사 영역으로 독립했다.)
2021학년도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1. 개요
2. 목표
3. 내용 체계



1. 개요[편집]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고등학교 과목 <사회>에 관해 다루는 문서.
2009년에 고시된 교육과정에는 없었지만, 이후 2012년에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에서 추가되어 2014~2019년 고교 입학생에게 적용되었다.


2. 목표[편집]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의 ‘사회’는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사회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따라서 이 과목은 중학교 사회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이 통합적인 시각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회’는 학생 자신에서 시작하여 삶의 공간을 확장시키면서 지구촌과 미래라는 공간과 시간까지 포괄하여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중시한다. 또한 다양한 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사회현상이 복합적임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삶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를 다각적으로 파악해 보게 하고 있다.

‘사회’는 법, 정치, 경제, 사회문화, 자연지리, 인문지리, 문화지리 등의 기본 개념들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다양한 사회현상을 파악하는 데 이들이 자연스럽게 융합되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아울러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사회에 대하여 흥미를 느끼고 사회를 보는 바른 시각을 기르기 위하여 관찰, 조사, 분석, 탐구, 토의토론, 논술문 작성,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사고력을 기르도록 한다.이를 위한 ‘사회’ 과목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을 둘러싼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데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능력을 기른다.
나. 자신을 둘러싼 다양한 공간, 그리고 현재와 미래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사회현상을 경험적인 자료와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면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사회 현상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하고,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


3. 내용 체계[편집]


영역내용 요소
사회를 바라보는 창◦ 개인 이해
◦ 세상 이해
공정성과 삶의 질◦ 개인과 공동체
◦ 다양성과 관용
◦ 삶의 질과 복지
합리적 선택과 삶◦ 고령화와 생애 설계
◦ 일과 여가
◦ 금융 환경과 합리적 소비
환경 변화와 인간◦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
◦ 공간 변화와 대응
◦ 세계화와 상호 의존
미래를 바라보는 창◦ 인구, 식량 그리고 자원
◦ 지구촌과 지속 가능한 발전
◦ 인류 미래를 위한 선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5 10:24:05에 나무위키 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