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클린스만호/2023년




1. 개요
2. 조 편성
2.1. 포트별 분석
2.2. 추첨 결과
3. 경기 진행
4. 전체 총평


1. 개요[편집]


2026 FIFA 월드컵2027 AFC 아시안컵아시아 지역 2차예선에 대해 정리한 문서. 4개팀이 9개조로 나뉘어져 홈 앤드 어웨이 풀리그를 벌여 상위 2팀이 3차예선에 진출하며, 동시에 이들은 모두 아시안컵 본선에도 진출하게 된다.

순위
성적
결과
1~18위
각 조 1·2위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진출
2027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19~36위
각 조 3·4위
2027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진출

1차예선에서 탈락하지 않은 36개 팀을 넷씩 나누어 각 조마다 홈 앤드 어웨이 풀 리그를 실시하며, 각 조 1·2위는 다음 예선에 진출함과 동시에 아시안컵 본선행, 나머지는 아시안컵 3차예선으로 가게 된다.

아시안컵 출전권 24장 가운데 (개최국을 뺀) 17장 이상이 여기에 배정된다. 여기서 출전권을 따내지 못하면 아시안컵 3차예선에서 조 1위를 해야만 하는 험난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으므로 중위권 팀 입장에서는 2차예선에서 일찌감치 아시안컵 본선 출전권을 획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3월 10일부터 4월 8일까지가 라마단 기간이라 3경기와 4경기는 라마단 기간에 치러지게 된다.

2. 조 편성[편집]


조 추첨은 7월 27일 말레이시아의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에서 16시(한국 시간 17시)에 실시되었다. 시드 배정은 2023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한다.

순번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74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00위
1차예선 통과
-위
2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2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80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110위
1차예선 통과
-위
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7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82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13위
1차예선 통과
-위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8위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86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15위
1차예선 통과
-위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54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94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35위
1차예선 통과
-위
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59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95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36위
1차예선 통과
-위
7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70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96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37위
1차예선 통과
-위
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72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97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38위
1차예선 통과
-위
9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73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99위
1차예선 통과
-위
1차예선 통과
-위
지난 월드컵 예선 2차예선과 비교하면 이라크와 오만이 2포트에서 1포트로 상승했으며, 중국은 1포트에서 2포트로 하락하고 팔레스타인·바레인·인도는 3포트에서 2포트로 상승하고 레바논은 2포트에서 3포트로 하락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조 추첨은 2023년 7월 FIFA 랭킹으로 4개의 포트로 나뉜 36개국이 참여하게 되며, 1포트와 2포트는 각각 9개국, 3포트는 8개국으로 1~3포트 국가는 모두 2차예선 직행 국가다. 또한 4포트는 스리랑카의 극적인 참가가 확정되면서 10개국으로 늘어났는데, 4포트 전원은 모두 1차예선을 뚫은 국가들이 될 예정이다. 포트가 균일하게 나눠지지 않은 관계로, 4→3→2→1 포트 순으로 추첨을 하게 되며 4포트 추첨에서 끝까지 나오지 않은 대진이 3포트에 합류하여 추첨이 이뤄진다.


2.1. 포트별 분석[편집]


  • 1포트: 누가 봐도 본선권인 대한민국·일본·호주·사우디·이란은 큰 이변이 없는 한 1위가 확실시된다. 따라서 하위 포트 입장에서 1포트에서 선호되는 국가는 그 외의 4개 팀이다. 카타르는 기껏 월드컵을 개최해놓고 홈 버프는커녕 1만 기록하며 전패했고, 나머지 팀들인 이라크·UAE·오만은 지난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해 팀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차예선으로 가는 문이 넓어졌기 때문에 1포트 국가들은 무난히 3차예선에 다들 갈 것으로 전망된다.
  • 2포트: 최종예선 경험이 있는 다크호스급 전력의 팀들이 배치되었다. 역시 가장 눈에 띄는 팀은 우즈베키스탄[1]과 중국[2]으로, 사실상 1포트 수준의 국가들이며 이들 외에도 조심할 나라가 많다. 일단 지난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했던 시리아·베트남은 결코 우습게 볼 상대는 아니다. 다만 베트남의 경우 박항서 감독 퇴임 이후 팀을 어떻게 추스르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무엇보다 2포트 9개 팀 중 중국 다음으로 거리가 가깝기에 그나마 한국 입장에서는 나은 상대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지난 월드컵 예선 2차예선에서 이란·이라크에 선전한 바레인이 복병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인도가 최종예선 진출 경력이 있는 레바논을 제치고 2포트까지 올라왔다. 또한 2포트의 9팀 가운데 4개 팀[3]이 중동 지역이라 높은 확률로 중동 원정을 가야 한다. 동쪽(한국·일본)에서는 거리가 가까운 중국·베트남을 선호할 것이고, 서쪽(이란·사우디·카타르·이라크·UAE·오만)은 나머지 7팀을 선호할 것이다. 호주 입장에서는 어딜 가나 거리가 똑같다 보니 누가 걸려도 딱히 개의치 않을 듯하다.[4] 이 중 한국 입장에서는 적국으로 분류되며 미수교국인 시리아·팔레스타인 원정이 변수가 될 수 있다.[5]
  • 3포트: 최종예선 진출 경력이 있는 레바논이 3포트로 내려오며 가장 큰 변수가 되었으며, 3포트에 레바논이 배정된 조는 죽음의 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는 동남아시아의 강자 태국, 혹은 대한민국 한정으로는 지난 예선에서 상대해 한국을 잘 알 수도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정도가 다크호스다. 한국 입장에서는 직항편이 잦고 거리도 가까운 편인 말레이시아나 필리핀·태국이 상대적으로 나을 것이다. 타지키스탄의 경우는 거리가 제법 있고 고지대라서 약간 까다로운 편인데다 최근 연령별 국제대회에도 이따금씩 티켓을 차지하는 등 전력이 어느 정도 올라오고 있다. 북한은 이동거리는 매우 가까우나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최대 변수로, 지난 예선에서의 만행을 생각하면 피하는 것이 나은 상황이다. 쿠웨이트는 거리가 먼 것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4포트: 아직 정해진 국가가 없긴 하나, 3차 예선에 진출하려면 어느 나라가 걸려도 이겨야 할 것이다. 그나마 4포트에서 이변을 만들어낼 수 있는 팀으론 인도네시아와 예멘 정도가 꼽힌다.


2.2. 추첨 결과[편집]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A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아프가니스탄
몽골[6]
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얀마
마카오[7]
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싱가포르
[8]
D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대만
동티모르[9]
E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홍콩
부탄[10]
F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루나이[11]
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캄보디아
파키스탄[12]
H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예멘
스리랑카[13]
네팔
라오스[14]
I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몰디브
방글라데시[15]

추첨결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C조에 배정되었으며, 중국태국, 1차예선 통과팀(싱가포르 또는 )을 상대하게 되었다.


3. 경기 진행[편집]


2023년 11월, 2024년 3월·6월에 국가당 각각 2경기씩 총 6경기를 치른다. 구체적인 일정은 다음과 같다. (앞의 국가의 홈 경기)

2023년 11월 16일

POT 1 vs POT 4
POT 3 vs POT 2

2023년 11월 21일

POT 2 vs POT 1
POT 4 vs POT 3

2024년 3월 21일

POT 1 vs POT 3
POT 4 vs POT 2

2024년 3월 26일

POT 3 vs POT 1
POT 2 vs POT 4

2024년 6월 6일

POT 2 vs POT 3
POT 4 vs POT 1

2024년 6월 11일

POT 1 vs POT 2
POT 3 vs POT 4

2024년 3월에는 홈·원정을 바꾸어 같은 팀과 경기를 치른다.

3.1. A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A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0
0
0
0
0
0
0
0

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0
0
0
0
0
0
0
0

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1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2. B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B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
0
0
0
0
0
0
0

2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0
0
0
0
0
0
0
0

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5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3. C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C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0
0
0
0
0
0
0
0

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0
0
0
0
0
0
0
0

3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3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4. D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D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0
0
0
0
0
0
0
0

2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0
0
0
0
0
0
0
0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7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5. E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E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0
0
0
0
0
0
0
0

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0
0
0
0
0
0
0
0

3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9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6. F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F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0
0
0
0
0
0
0
0

2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0
0
0
0
0
0
0
0

3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8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7. G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G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0
0
0
0
0
0
0
0
아시안컵 개최국
2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0
0
0
0
0
0
0
0

3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6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8. H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H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0
0
0
0
0
0
0
0

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0
0
0
0
0
0
0
0

3
파일: 국기.svg
1차예선 4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10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3.9. I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I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0
0
0
0
0
0
0
0

2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0
0
0
0
0
0
0
0

3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0
0
0
0
0
0
0
0

4
파일: 국기.svg
1차예선 2경기 승리팀
0
0
0
0
0
0
0
0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 전체 총평[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0:29:01에 나무위키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FIFA 랭킹에서 최종예선에 진출한 하위권 국가들(중국, 시리아, 베트남, 레바논)에 앞서는 등 최종예선에 진출할 만한 기반은 아직 단단한 상태이다.[2] 지난 월드컵 2차예선에서 1포트였고, 지난 최종예선에서 베트남에게도 지는 굴욕을 겪었지만 최종예선에 진출했던 것만으로도 아직까지는 2포트에서는 위협적인 상대가 맞다.[3] 요르단·바레인·시리아·팔레스타인이며, 중앙아시아 지역인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까지 포함할 시 6개 팀이다. 여기에 남아시아 지역인 인도도 중동 지역과 꽤 가깝다.[4] 시차 적응을 생각하면 중국·베트남이 더 선호된다.[5] 시리아는 아직 시리아 내부의 인프라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아 제3국 중립지대 경기가 유력하지만, 팔레스타인은 직행편이 없어 우리 입장에서 동맹국인 이스라엘 영토를 통과해야 하는 상황인데다가 비자 문제도 겹칠 가능성이 있다는게 걱정거리이다.[6] 1차예선 1경기 승리팀[7] 1차예선 5경기 승리팀[8] 1차예선 3경기 승리팀[9] 1차예선 7경기 승리팀[10] 1차예선 9경기 승리팀[11] 1차예선 8경기 승리팀[12] 1차예선 6경기 승리팀[13] 1차예선 4경기 승리팀[14] 1차예선 10경기 승리팀[15] 1차예선 2경기 승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