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al VIP

덤프버전 :

1. 개요
2.1.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Firework
2.1.1. 구간
2.1.2. 여담


1. 개요[편집]



Classical의 VIP버전이다. 이 노래의 제작자가 NIGHTKilla나인서클류 맵에서도 많이 쓰이며, 중간 부분의 드롭은 약간 허전하고 단조롭다는 혹평을 듣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이 은근히 그 부분을 즐기게 하는 매력이 된다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

Geometry Dash에서는 후술할 온라인 익스트림 데몬 레벨 Firework에 쓰인 곡이다. 사실상 이 문서가 생긴 이유.


2. Geometry Dash[편집]




2.1.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Firework[편집]



Firework
Firework - by CherryTeam [1] Verified by Trick




캡션




Here you di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234000
75296202
2분 07초
165198
2021.10.31[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3](Hardest Demon)
공식 포럼 현재 순위
#9(Hardest Demon)
난이도
Extreme Demon
}}} ||
공식 포럼
데몬리스트 점수(100%)
228.48
데몬리스트 점수(67%)
22.85
한국 포럼
데몬리스트 점수(100%)
144.657

CherryTeam이 제작한, 극한의 큐브칼타와 연타로 이루어진 흑백 테마의 맵.[4] Upcoming 시절부터 차기 Top 1이 될 것으로 관심받았던 레벨이다.

전반적으로 극초살맵으로 평가받는다. 원래는 후살맵이었으나 후반부가 크게 너프되었고 초반부가 정신 나간 듯한 극버프를 먹어서 4%~5%만 가는 게 포럼 하위권 익데를 깨는 급이다.

압도적인 난이도와 다르게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은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 게임플레이 측면에서는 싱크가 매우 잘 맞고 초반부를 제외하면 파트별 밸런스가 괜찮은 편이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심플한 디자인이 흑백 테마도 적절하게 살리면서도 게임플레이 가독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며, 옵젝 효율성도 매우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현재 뇌절 리메이크 맵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가장 좋은 겜플과 고유한 개성을 가지고 있어 최고의 Upcoming Demon 중 하나로 평가받았었다.

2021년 1월 19일, Kurumi가 파트별 난이도 평가 영상을 올렸다.[5]

Tartarus처럼 자유 베리파이지만 현재 Kurumi가 압도적인 진행률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68%, 64~100%을 성공한 상태[6].현재 Kurumi가 Firework를 버프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버프 버전임에도 불구하고 프렉으로 67어템밖에 나오지 않는다...
서버에 자유 베리파이 버전으로 올라온 Firework 원본과 대등한 난이도라고 하며, 0%-45%구간을 더 버프할 수도 있다고 한다.

1월 4일 오전 7시경, Kurumi가 0-13구간을 극상향했다고 한다. 모든 큐브의 타이밍이 2프레임 줄었으며, 기존에도 어려웠던 4%의 공점 칼타의 수준이 프레임 퍼펙트의 수준이라고 한다. 7% 대쉬링 웨이브 또한 불가능 수준으로 버프했다고 한다.

팬들의 반응은 Cinci와 Unnerfed Innards의 전철을 밟을 것 같다고 버프를 그만하라는 반응과, 프로그레스를 올리지 않은 Cinci와 프로그레스를 올린 Kurumi는 다르다는 반응으로 갈린다.

2021년 3월 3일, Kurumi가 Firework 베리파이를 포기한다고 밝혔다. 사유는 Firework의 호스트인 Vernam과의 갈등으로 알려졌다.

2021년 3월 4일, 베리파이어가 sid125로 바뀌었다.

2021년 4월, 베리파이어가 Trick으로 바뀌었고, 13만어템 이상을 들여서 71%, 33~100을 갔다.

이후 Trick은 두번째 드랍의 웨이브스팸을 버프하고, 90%의 파란공점 프레임퍼펙트를 0.1칸 너프, 그리고 마지막에서 두 번째 파란공점 전에 보정 텔레포트를 넣었다.

후속작으로 Waterfall이라는 레벨이 제작중이며, 여러 합작원들이 자신의 파트들을 공개하고 있다.[7]

2021년 6월 28일, Trick이 81%를 달성했다!

2021년 6월 30일, Trick이 88%를 달성했다![8]

Trick이 또 첫번째 큐브파트를 극버프했다고 한다.

2021년 8월 10일, Trick이 버프된 Firework에서 33-100% 세 번과 91%를 달성했다!

2021년 9월 22일, Trick이 24% - 100%을 성공했다.

2021년 10월 30일, Trick이 약 234,000어템을 사용하여 92% 2번과 95%, 98%를 연이어 달성한 끝에 1년만에 베리파이되었다! 이후 2시간도 안 돼서 Arcturus, Slaughterhouse와 함께 언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9]

2021년 11월 4일, Tartarus 위로 등재되었으나 함께 등재된 Slaughterhouse보다는 아래인 2위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Pointercrate의 데이터베이스 오류로 Slaughterhouse만 9개가 등재되며 10위까지 떨어졌다가 그 Slaughterhouse가 전부 지워지고 새로 등재되면서[10] 아주 잠시[11]동안 비공식적으로 1위에 등재되었다.

이전까지 16시간 정도로 1위를 기록했던 Crimson Planet의 기록을 깨고 새로운 최단시간 1위의 데몬이 되었지만, 사이트 버그라 정식 기록은 아니다. 즉 Pointercrate에서 Firework가 1위로 "등재"된 바는 있지만, 아직까지 Pointercrate에서 단 한번도 1위로 "인정"받은 적은 없다고 말할 수 있다[12].

Tartarus보다 훨씬 어려워서 많은 사람들에게 1년 이상의 기간동안 압도적 1위를 차지할 데몬으로 예측받았지만 하필이면 Tartarus도 장난으로 보일 정도의 난이도를 지닌 Slaughterhouse가 같이 별을 달았기 때문에 2위에 그친 것이 아쉽다는 평가가 많은 맵이다. 특히나 이 맵이 1년 이상 수많은 베리파이어를 거친데다 마침내 Trick이 23만 어템을 쓴 끝에 깨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더욱[13].

하지만 수많은 베리파이어의 손에 거쳐지기 전,2020년 초에 공개된 Firework는 Slaughterhouse보다는 물론이며,Silent Clubstep보다도 어렵다고 고수들은 말한다.
게다가 2019년 초에 유튜브에 올라온 레이아웃 버전의 Firework는 Eternal Night보다도 어려운 수준일 정도로 불가능했던 버전이었다.

2021년 11월 21일, Slaughterhouse의 베리파이어인 초고수 유저 spaceuk이 무려 31823어템으로 세계 최초로 클리어했다.[14] 한동안 유저들 사이에서 Firework가 Slaughterhouse보다 어렵다는 여론이 돌았지만, spaceUK가 Slaughterhouse가 더 어렵다고 못을 박아놓았다.[15]

2021년 12월 28일, 베리파이어였던 Trick이 재클리어했다.[16]

2022년 1월 6일, Sakupen Circles가 1위가 되면서 3위로 떨어졌다. 하지만 현재 4위의 난이도 차가 매우 큰 상황이다. 4위인 Tartarus 아래의 맵들과 Tartarus의 난이도차는 매우 크지는 않은 반면 이 맵과 Tartarus는 최소 두 티어 이상 난이도차가 난다.[17]

2022년 4월 19일, Cursed가 약 4개월 만에 70% 프로그래스 영상을 올리고, 다음날 95%를 달성했다.
그리고 4월 22일, Cursed가 Slaughterhouse를 클리어한지 5일만에 클리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17일 Jeller가 64531어템만에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8월 12일, Silent Clubstep이 4위에 등재됨에 따라 5위로 떨어졌다!

2022년 9월 27일, Acheron이 2위에 등재됨에 따라 5위권에서 탈락했다!


2.1.1. 구간[편집]

0~3%
초반부터 거하게 입구컷을 하는 정신나간 큐브 파트. Trick의 손을 거치면서 맵 전체가 초살형 맵으로 변했는데 그 흔적이 가장 드러나는 부분 중 하나이다. 그야말로 클릭 하나하나가 미친듯한 난이도를 자랑하기 때문에 실력자들조차 초반 6초를 넘는 것을 힘들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4~36%
첫번째 드롭파트. 다른 맵들처럼 좁은 웨이브-비행기로 난이도를 높인 것이 아닌, 버그성 큐브 칼타와 미친 대쉬링 배치로 난이도를 높여 간격 대비 난이도가 미친듯이 높다. 상술했듯이 초살형에 가까운 맵인데 이 초반 부분의 난이도는 미쳐돌아간다. 여러모로 Unnerfed Innards를 연상케 하는 배속 상황에서의 좁은 구간 통과와 듀얼 칼타가 밥먹듯이 나오며 맵이 안그래도 흑백인데 수시로 암전거리고 깜빡거려서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다. 3/4배속 웨이브로 정확하게 눌러야 하는 대시링들은 덤. 많은 유저들에게 0~12%의 파트가 가장 극악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미 이 부분의 순간난이도가 The Golden을 넘는다.

37~44%
빌드업 파트. 이 맵의 상징과도 같은 저속 큐브 칼타가 다시 나온다. 중간중간에 아주 빠르게 더블클릭해야 하는 부분들도 있다. 도중에 속도도 바뀌는 데다가 공점과 중력포탈들이 Alpha를 이용해서 반투명하게 되어 있기에 이 파트도 어려운 편이지만, 다른 파트 대비해서는 쉽기 때문에 사실상 쉬어가는 파트이다. 물론, 쉬어가는 파트일지라도 Erebus 수준의 순간난이도이므로 매우 어렵다.

46~63%
두번째 드롭파트. 난이도가 다시 급상승하며 초반부와 더불어 맵의 양대산맥이라 할 만하다. 배속이 빨라지면서 각종 모드에서의 칼타이밍이 도배되어 있는데, 수시로 겜플이 바뀌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특히나 백미는 48~49% 4배속 웨이브 인데, 이 부분은 칸 자체가 좁기보다는 Fexty의 웨이브처럼 굉장히 길이 직관적이지 못할 뿐더러 4배속으로 칼타를 요구하므로 난이도가 정말로 흉악하다. 아예 이 부분만 잘라서 만든 챌린지도 있을 정도.

64~79%
두번째 드롭이 끝나고 브레이크 파트가 된다. 또 한번 극악한 큐브 칼타가 도배되어 있는 구간으로 64~70%는 일부 유저들에게 가장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80~84%
Erebus의 꺾인 일자비행, Silent Club의 푸른공점 연타처럼 맵 전체에서 가장 인상깊은 구간. 그냥 통과해도 인데 수준인 비행기 통로에다가 중간중간에 공점과 중력 반전 포탈들을 박아놨다. Tartarus 76%와 비슷한데 당연히 더 길고 더 좁아서 더 어렵다. 다만 굉장히 임팩트 있는 파트임에도 불구하고 고수들의 평가는 오히려 이 구간 전후에 나오는 큐브 칼타들보다 할만하다고 한다. 계속 하다 보면 클릭 패턴이 일정해진다고. 맵 전체에서는 의외로 쉬운 파트.

84~94%
사실상 마지막으로 어려운 파트로, 여기가 마지막 고비이다. 최후반부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어려우며, 특히 84~90%는 드롭 파트 못지않은 고난이도로 평가받는다.

95~100%[18]
맵의 마지막 부분으로, 저속 상태에서 대시링을 활용한 큐브 타이밍이 여러 번 나오고 최종적으로 검은공점 타이밍을 잘 맞춘 후 소형 비행기로 두 톱니 사이를 지나기만 하면 해골 엔딩아트가 뜨며 끝. 초고난이도 맵답게 마지막조차 죽을 수 있는 파트로 도배되어있다.

일단 Slaughterhouse같은 기존의 초고난이도 맵들과 달리 이 맵은 마치 과거의 Erebus처럼 맵 난이도가 대체로 큐브에 집중된 편이며, 맵 길이가 2분이면서도 쉬어가는 구간이 전무[19]하기에 노멀 모드로 격파하기 극도로 어렵다. 사실상 2분 길이의 Erebus 극상향 버전으로 다른 익데들과는 어려움을 만들어내는 방식이 확연히 다르다. 분석 영상에 따르면 사실 타이밍 자체는 여타 Top 10 레벨들에 비해 덜 빡빡한 편이지만, 게임플레이의 대부분이 큐브 공점에 몰려있는데 일반적인 큐브나 웨이브는 누르는 타이밍이 눈에 보이는데 비해 공점은 누르는 타이밍이 직관적이지 않고 애매하다는 것이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 된다. 게다가 결정적인 것은 다른 맵들은 길이도 짧을 뿐더러 특정 파트만 집중적으로 연습하면 되지만 이 맵은 2분이라는 길이에 탑 10 익스트림 중 Kyouki 다음가는 밸런스로 일컬어질 정도로 밸런스가 잘 맞아, 사실상 모든 파트의 난이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기에 난이도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것. 거기다 맵도 어두운 거라 공점 타이밍을 잡기가 더 어렵다.

2.1.2. 여담[편집]

  • 1위를 기록한 적은 없지만 굉장히 유명하고 게임플레이도 좋은 맵이기에 이 맵도 새로 나온 맵들의 난이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Firework부터 Firework급, 그 위는 Firework와도 난이도 티어 격차가 나며[20] 그 밑의 LIMBO부터 대략 The Golden 정도까지를 Tartarus급으로 잡는다.

  • 5번째로 클리어한 Artify8는 이 레벨이 무려 첫 익데에 자신이 클리어 한 것중 가장 어려운 데몬이 Nine Circles이었는데, 인세인 데몬도 스킵하고 바로 이 맵으로 점프했다.

  • nifty_boi라는 유저가 현재 약 70만 어템을 사용하여 52%까지 갔다. 현재는 94만 어템 이상을 사용해서 61% 4회, 24-100%를 달성했다. 이는 현재까지 단일 맵에 사용한 어템 수 1위로 알려져 있다.[21] 게다가, 이 유저는 현재 240hz로 클리어를 도전하고 있다!

  • 이 맵은 유력한 1위 후보였음에도 1위를 단 한 순간도 기록하지 못했다.[22] 그런데 이 맵이 억울할 만한 게, spaceukSlaughterhouse 베리파이는 핵에 의한 것이었는데, 그게 없었다면 Doggie가 베리파이 할 때까지 무려 2달간 1위를 차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22:24:36에 나무위키 Classical VI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Vernam, lillium, 00Zero, Konsi, Realvet, Desumari, Itami, Lekvid, Buragoz, Crouley, Orte, Hantein[2] 베리파이 날짜[3] 레이팅 알림봇에 따르면 slaughterhouse보다 12초 빨리 레이팅이 되었다(..ㅋㅋㅋ)[4] 폭죽이라는 뜻의 레벨 이름과는 정반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맵의 흑백테마는 밤하늘이고 포탈, 점프링 등의 색이 폭죽을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다.[5] 영상에서 Kurumi는 84% - 92%의 큐브 구간이 가장 어렵다고 전했으나, Trick은 64 ~ 70%가 가장 어렵다고 한다.[6] 다만 44%나 58%때 버전은 원본 그대로가 아니라 자잘한 너프와 버프를 통해 균형을 맞춘 버전이다.[7] 원래 후속작은 redemption이라는 레벨이었으나 Waterfall이 공개되면서 폐기되었다.[8] 2021년 10월 16일에 한번 더 도달했다.[9] 다른 맵들에 비해 디자인이 뛰어난데도 불구하고 왜 언피쳐드인지에 대해 궁금증을 내비치는 유저들이 상당수다. 일각에서는 에픽이라는 말이 나올정도.세 개를 같이 레이팅해서 깜빡한게 아닐까[10] Slaughterhouse가 먼저 내려가고 Firework도 곧 내려가서 버그 수정 이전까지 Tartarus가 1등이었다가 Firework가 가장 먼저 재등재된 것.[11] 약 2초[12] 이 기록이 인정된다면 각각 2017년과 2019년에 해킹으로 잠시 1위가 되었던 Aurora와 Devil Vortex의 기록도 인정되어야 한다.[13] 그렇지만 게임플레이가 좋은 Firework 쪽이 Slaughterhouse에 비해 인기가 훨씬 좋다. 하지만 이는 Firework가 Slaughterhouse 위에 등재될 것으로 예상한 유저들이 등재 이전에 이미 Firework에 도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실제로 Firework가 2위에 등재되었을 때 국내외의 커뮤니티에서 그 결정에 대해 항의하거나 유감을 표하는 목소리가 많이 나왔다. 이 맵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는 부분.[14] 이로써 Spaceuk는 게임을 시작한지 2년도 안 돼서 Sakupen Circles를 제외한 Top 30위 맵을 모두 클리어하고 포럼점수 1위를 달성했다.[15] 클리어한 다른 유저들도 거의 다 TOP 2라고 평가했다.[16] Bunny Muffin이라는 사람의 계정으로 플레이하던 도중 클리어했다[17] Erebus, Kowareta급 순간난이도 맵을 2분이나 해야하니 당연한 것이다. 사실 이 맵의 순간난이도는 이 둘과의 비교도 무리이고, 거의 Tartarus, The Golden급이다.[18] 이 파트에 들어가기 직전 Verified by Trick이라고 뜬다.[19] 사실 파트별 난이도 격차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쉬운 파트의 순간난이도조차 웬만한 메인리스트 익데급인 것이 문제. Zodiac같은 맵들은 그래도 극초반부 파트 등은 조금 할만하지만 이 맵은 말 그대로 0%부터 100%까지 Kowareta, Erebus같은 웬만한 짧은 길이의 순간난이도형 익데급의 순간난이도로 극도로 어렵다. The Golden도 마찬가지로 딱히 쉬운 파트가 없지만 그나마 초반부 UFO가 할 만한 반면 이 맵은 그런 구간이 하나도 없고 모든 구간이 메인리스트 수준이며, 베리파이 당시에는 순간난이도로도 인게임 최상위 수준이었다.[20] Silent clubstep부터 Sakupen Circles까지의 맵들이다. 아직 표본이 적고 여전히 최상위권 맵이나 Top 10, Top 5 등의 다른 지표를 사용할 수 있어 이 단계의 맵들을 묶는 호칭은 특별히 없다.[21] Vision이 Silent clubstep을 약 83만 어템 정도 사용하여 클리어하였다. nifty가 Firework를 클리어한다면 Vision의 단일 맵 클리어에 사용한 어템 수 1위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22] 몇초간 기록하였으나, 이는 버그에 의한 것으로 공식적으로는 기록한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