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6/파생형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T-26



1. 개요
2.1. 현대화 개수형
2.1.1. T-26M
2.1.2. T-26-5
2.2. 무장 교체 파생형
2.2.1. T-26-37
2.2.2. T-26 (BPK)
2.2.3. KhT-26
2.2.4. KhT-130
2.2.5. KhT-133
2.2.6. KhT-134
2.3. 장갑 강화 파생형
2.3.1. T-26E
2.4. 장비 추가 파생형
2.4.1. T-26TU
2.4.2. T-26RT
2.4.3. 확성기 장착 T-26
2.4.4. T-26 (TM-1)
2.5. 무선전차 파생형
2.5.1. TT-26
2.5.2. TU-26
2.6. 자주포 개수형
2.6.1. T-26-4
2.6.2. T-26 (A-43)
2.6.3. AT-1
2.6.4. SU-26
2.6.5. SU-5
2.6.5.1. SU-5-1
2.6.5.2. SU-5-2
2.6.5.3. SU-5-3
2.6.6. SU-6
2.7. 비무장 파생형
2.7.1. ST-26
2.7.2. UST-26
2.7.3. T-26T
2.7.4. BSNP
2.7.5. TR-4
2.7.6. TR-26
2.7.7. TS-26 / T-26Ts
2.7.8. TTs-26
2.7.9. TPP-2
3.1. 현대화 개량형
3.1.1. Pz.Kpfw. T-26(r)
3.2. 자주포 개수형
3.2.1. 7,5 cm Pak 97/38(f) auf 740(r)
3.3. 비무장 파생형
3.3.1. Ausbildung Pz.Kpfw. T-26B 739(r)
4.1. 무장 교체 파생형
4.1.1. KhT-133/45
4.1.2. KhT-130/45


1. 개요[편집]


T-26 전차의 파생형을 정리한 문서.

T-26은 소련이 제작한 전차들 가운데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최초의 차량인데다, 수량이 매우 많아 여러 나라에 노획, 공여 등으로 사용되었고, 이 국가들에서도 개조를 행하였기에 파생형이 무려 50여가지에 이른다.


2. 소련[편집]



2.1. 현대화 개수형[편집]



2.1.1. T-26M[편집]



파일:T-26Mskoda.jpg

Т-26М
"T-26M"은 T-26의 현대화 개수형으로, 시제 차량으로만 생산되었다.

세묜 긴츠버그[1]와 그의 팀이 기존의 T-26S를 바탕으로 현가장치를 스코다 사에서 개발한 리프-스프링 현가장치로 교체하고,[2] 엔진을 빅커스 97마력 가솔린 엔진으로 교체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군부에서 채택을 거부하여 프로토타입만이 생산되었다.


2.1.2. T-26-5[편집]



파일:T-26-5.jpg

Т-26-5
"T-26-5"은 T-26의 현대화 개수형으로, 시제 차량으로만 생산되었다.

T-26M을 제작한 세묜 긴츠버그가 주도하는 팀에 의하여 다시한번 1939년에 T-26S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파생형이지만, 역시 군부의 채택 거부로 인하여 프로토타입 한 량만을 남기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T-26M과의 차이점은 궤도 폭이 줄었다는 점이며, 또한 신형 6기통 가솔린 엔진(745형)과 4기통 디젤엔진(744형)을 얹었다.


2.2. 무장 교체 파생형[편집]


T-26은 대량생산된 최초의 소련제 전차였기 때문에, 각종 무장을 탑재하는 테스트베드 및 베이스가 되었으며, 이 중에서는 T-26 계열 화염방사전차가 유명하다.

T-26 계열 화염방사전차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포탑이 T-26과 반대로 차체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를 베이스로 한 각국의 개조차량들도 이 차이점으로 원본과 구분이 가능하다.


2.2.1. T-26-37[편집]



파일:T-26-SH-37.jpg

Т-26-37
"T-26-37"은 1936년, T-26B에다 "보리스 쉬피타르니"가 개발한 SH-37 기관포를 탑재한 사양으로, 프로토타입 1대 생산에서만 그쳤다.

이후 이런 컨셉의 경전차는 T-60과, ZUT-37[3]로 이어졌다.


2.2.2. T-26 (BPK)[편집]



파일:Twin-turreted_T-26_with_recoilless_gun.jpg

T-26 (БПК)
"T-26 (BPK)"는 T-26 1931년형 차체에 76.2mm B-3 무반동포[4]를 장착시킨 파생형이며, 총 20~30대가 제작되었다.


2.2.3. KhT-26[편집]



파일:1642094112_1-hdpic-club-p-tank-kht-26-1.jpg

ХТ-26
"KhT-26"은 KS-24 화염방사기와 기관총을 장비한 첫 번째 T-26 화염방사전차이다.

그러나 쌍포탑형 시기에 사용했던 포탑의 재고를 재사용한 탓에 방호력과 승무원의 거주성에 문제가 생겨 얼마 안가 HT-130으로 교체되었다.

1932년부터 1935년까지 총 552대가 생산되었다.


2.2.4. KhT-130[편집]



파일:OT-130_in_Museum_of_technique_2016-08-16.jpg

ХТ-130
"KhT-130"은 T-26B를 베이스로 하여 만들어진 화염방사전차이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총 401대가 생산되었다.

무선전차인 TT-26의 베이스로 주로 사용되었다.


2.2.5. KhT-133[편집]



파일:HT-133-3.jpg

ХТ-133
"KhT-133"은 T-26S의 포탑과 차체를 베이스로 하여 만들어진 화염방사전차 파생형이다.

특이하게도 T-26S와 달리 포탑링이 좌측으로 쏠려서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T-26S와 구분하면 마치 반전시켜 놓은 듯 한게 가장 큰 특징.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총 269대가 생산되었다.


2.2.6. KhT-134[편집]



파일:external/img.valka.cz/t_ot134-001_112.jpg

ХТ-134
"KhT-134"는 T-26 화염방사전차 계열의 최종형으로, 1940년 2대의 프로토타입으로만 만들어진 파생형이다. 차체는 1939년형을 이용했으며 이전까지의 화염방사 파생형들과 달리 주포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화염방사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화염방사기 위치는 조종석 옆의 튀어나온 구조물이다. 이 덕에 대전차전에서의 공격력은 잃지 않으면서도 화염방사를 동시에 할 수 있어 화염방사 전차의 후계형인 T-34-76을 베이스로 한 OT-34와 같은 차량들도 주포는 그대로 사용하되 차체기관총을 화염방사기로 바꾸게 되는 등 소련 화염방사전차 구조의 효시인 차량이라고 볼 수 있다.


2.3. 장갑 강화 파생형[편집]



2.3.1. T-26E[편집]



파일:T-26E.jpg

T-26 Экранировани[5]
"T-26E"는 T-26B, T-26S에 추가장갑을 증설한 파생형이다.

스페인 내전에 이은 겨울전쟁에서 핀란드군의 대전차 무기 다수가 T-26을 격파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닌그라드의 제174번 공장에서는 차체와 포탑에 추가 장갑을 부착하는 T-26의 새로운 변형을 설계했다.

이 변종은 "T-26E"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뜻은 러시아어로 "보호 (Экранировани)"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겨울전쟁 기간 동안 제작된 T-26S들이 이 수정을 받았고 테스트를 통해 추가 장갑이 방호력을 더 증강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겨울전쟁 기간 동안과 그 이후에 총 89대의 T-26E가 제작되었으며 T-26B 27대와 화염방사전차 27대는 제174번 공장에서, 15대의 T-26B는 최전선 근처 작업장에서 제작되었다.

겨울전쟁이 끝난 후 T-26E 20대가 추가로 제작되어 전차여단에 납품되었으며, 이후에도 T-26E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지속적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단점도 있었는데, 추가 장갑으로 인해 중량이 9.6톤에서 12톤으로 증가하여 섀시, 엔진 및 서스펜션에 더 큰 부담이 가해졌으므로 조종수는 저단 기어로 주행하면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 침공에 맞서기 위해 최전선에서 수백 대의 다양한 T-26에 15~40mm 두께의 추가 장갑이 대량으로 추가되었으며, 1941년에서 1942년 사이에 "레닌그라드", "오데사", "모스크바""세바스토폴"에서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졌다.[6]

그러나 겨울전쟁 당시의 개조에 비해 세계대전 시기의 T-26E는 자체 공축기관총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조잡하고 거칠었고 전면에만 겨우 증가장갑을 부착한 형태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T-26E에 대한 전투 기록은 상단의 독일군이 레닌그라드 근교에서 노획한 사진이 유일하다시피 하며, 이후 얼마 안가 T-34-76의 본격적인 물량공세와 나날이 갈수록 강해지는 독일군의 기갑 전력 탓에 T-26이 후방으로 돌려지면서 제작이 중단되었다.


2.4. 장비 추가 파생형[편집]



2.4.1. T-26TU[편집]



파일:Twin-turreted_T-26RT.jpg

Т-26ТУ
"T-26TU"은 T-26A-5에 추가로 핸드레일 안테나와 무전기를 장착한 지휘전차로, 총 3대가 T-26TU로 개조되었다.


2.4.2. T-26RT[편집]



파일:2d341272bbf5749c68161b5f797ffae8.jpg

Т-26РТ
"T-26RT"는 1933년부터 개발된 T-26B 기반 지휘전차다.

T-36 1933년형 포탑에는 71-TK-1 안테나[7]를 설치했으며 1934년형에는 71-TK-2 안테나, 1935년형부터는 71-TK-3 안테나를 설치했다.

1937년 생산분부터 TPU-3 무전기가 기본 장착되어 나오면서 굳이 따로 생산할 필요가 사라졌기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중화민국에 공여된 사양이 전량 이것으로, 일반 사양의 T-26에는 무전기가 없기에 T-26RT가 공여된 것으로 추측된다.

지휘전차 사양이었으나 굉장히 많은 수가 생산되었는데, 레닌그라드 제174번 공장에서 3,887대가 생산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4.3. 확성기 장착 T-26[편집]



Т-26 с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ем
"확성기 장착 T-26"은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소련 육군 제55군단에서 독일 국방군의 사기를 꺾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T-26B에 선전용 확성기를 장착한 파생형이다.


2.4.4. T-26 (TM-1)[편집]



Т-26 (ТМ-1)
"T-26 (TM-1)"은 1940년 2월 경 소련에서 무장이 탈거된 T-26RT를 베이스로 하여 TM-1 금속탐지기를 장착하여 제작한 지뢰탐지전차 파생형이다.

핀란드와의 겨울전쟁 중, 대전차지뢰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자 이를 사전에 발견하는 차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소련 군부에서도 이를 제작할 것을 174번 공장 관계자들 및 레닌그라드 대학교 지구물리학부 교수진들에게 건의하였다.

그러나 테스트 결과, TM-1 금속탐지기는 신뢰성이 매우 불안정했던데다가 전력 및 출력의 부족 탓에 2단 이상으로 변속을 하면 곧 바로 퍼져버리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이러한 물건을 실전에 투입할 수도 없었기에 지뢰를 탐지 가능한 범위조차 알 수 없어 겨울전쟁 중 프로젝트가 승인은 되었다가 독소전쟁 발발 중 훨씬 개선된 지뢰 탐지기가 개발되며 생산되지 않았다.

대신 TM-1 금속탐지기의 기술은 소련 해군에게 큰 도움이 되었는데, 이는 한정된 전력만을 사용해야하는 진공관 회로의 특성상, 경전차보다 잠수함이나, 순양함 등의 대형 선박에서 운용하는 발전기가 더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 가능하였기에 선박용으로 개수한 금속탐지기가 각 함정에 탑재되며 침몰한 선박 및 화물의 위치를 찾는 데에 사용되었다.


2.5. 무선전차 파생형[편집]



2.5.1. TT-26[편집]



파일:EiS9Jv-MCHHJnu-pEYqaMdyET2B6PKV0HTND-mHZDRQ.jpg

ТТ-26[8]
"TT-26"은 T-26B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무선전차이다.

1930년대에 소련은 이미 무선전차를 만들어 실전배치하였으며, 여러 파생형이 있지만 가장 많이 만들어진 것이 T-26B 베이스의 TT-26이었다.[9]

성능은 모델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500~1500m까지 무선조종이 가능했는데, 통신 범위에서 벗어나서 연결이 끊어지면 30초 동안 엔진을 켜둔 상태로 다시 통신이 연결될 때까지 그 자리에 정지하면 재연결까지 가능했으며, 또한 16~24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었고 재밍이나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주파수로 명령어 수신이 가능했다.

무장으로는 DT 기관총, 화염방사기, 연막탄 등이었고, 일부 차량의 경우 200~700kg 가량의 폭약을 지고 다니다 적진이나 벙커에 투하 후 폭파하는 임무도 수행하였으며, 이 밖에도 화학전용 무기도 사용 가능했지만 실전에서 쓰이지는 않았다.

소련군이 세운 TT-26의 운용교리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조종전차가 최대한 멀리서 조종하고 조종전차 자신도 전투를 수행해서 화력지원을 해주면서 무선조종사를 보호하며,[10] 유인 및 대보병전의 임무를 수행하는 교리로 운용되었다.

조종법은 각 명령어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서 조종했으나, 험한 지형에서 자주 전투불능에 빠져 무선전차부대가 독립적으로 운용되기 보다는 유인 기갑부대와 같이 운용되었다.

TT-26을 필두로 한 소련의 무선전차들은 겨울전쟁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고, 거의 전쟁 내내 운용되었는데, 소련군이 무선전차를 투입하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겨울전쟁 시기 핀란드군과의 전투에서 압도적인 전력차에도 불구하고 패퇴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이다.

TT-26이 활약한 것 중 하나는 겨울전쟁 중 숨마 전투에서 화염방사기를 장착하고 돌격해 핀란드군을 퇴각시킨 일화인데, 직접 조준하는 게 아니라 원격으로 포신을 막 회전시키며 갈겨댔기에 명중률은 좋지 않았다.

추가로 소련군은 독소전쟁까지 2개 대대급 무선전차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독소전 시기에도 일부 차량을 사용했다.


2.5.2. TU-26[편집]



파일:TU-26.jpg

ТУ-26
"TU-26"은 T-26B를 베이스로 하여 만들어진 무선전차 조종전차이다.

기존 T-26B에 무선 조종장치를 달아놓은 정도의 차이만 존재하며, 만약 무선전차가 오작동을 하거나, 적에게 포위당할 시에는 포수가 주포로 무선전차를 파괴시켜 노획되지 않게 했다.


2.6. 자주포 개수형[편집]



2.6.1. T-26-4[편집]



파일:T-26-4.jpg

Т-26-4
"T-26-4"는 T-26B 기반의 자주곡사포로, T-35의 주포인 76.2mm KT-28 곡사포를 장착하였다. 이후 T-26-4의 포탑은 BT-7A 자주포 디자인에도 사용된다.


2.6.2. T-26 (A-43)[편집]



파일:T-26_with_A-43_turret.jpg

Т-26 (А-43)
"T-26 (A-43)"은 1933년형 섀시 기반에 A-43 포탑을 올린 보병화력지원용 프로토타입 자주포이다.


2.6.3. AT-1[편집]



파일:external/wiki.gcdn.co/320px-AT-1_1.jpg

АТ-1
"AT-1"는 T-26B를 베이스로 제작된 시제 자주포 파생형이다.

1934년, 기존의 T-26B를 바탕으로 키로프 제185번 공장에서 대포병 임무를 맡는 새로운 전차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얼마 뒤, 이를 바탕으로 설계도가 하나 제출되었는데, 이 설계도에는 "AT-1"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년 뒤인 1935년에는 제174번 공장에서 AT-1 프로토타입 2대가 생산되어 테스트를 받았고, 소련 군부에서도 괜찮은 평을 내렸으나 1936년에 담당 개발자가 간첩 혐의로 숙청되어 개발이 중단되었다.

AT-1은 기존의 대전차자주포들이 사용하던 다른 76mm 포보다 성능이 더 좋은 76.2mm PS-3 포를 사용하였으며, 동시대의 다른 전차들이 사용한 조준경과 망원경보다 성능이 좋은 것들을 장착했다.

나머지의 DT 동축기관총들은 볼마운트 형식으로 전차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한 정씩 장착되어 있었다.


2.6.4. SU-26[편집]



파일:SU-26.jpg

СУ-26
"SU-26"은 T-26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자주포로 1941년 말 레닌그라드 174번 공장에서 14대가 제작되었으며, 이 중 12대가 76.2mm M1927 여단곡사포를 장비했고 2대는 37mm 대전차포를 장비하였다.

치열했던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에 제작되었기에, 전면의 소총탄만 겨우 막을 포방패를 제외한 장갑은 존재하지 않았고, 그마저도 전선에서 격파되거나 상태가 안 좋은 차량들을 회수하여 개조하였기에 극소량 만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SU-26에 탑승했던 전차병들은 조국을 위하여 독일군과 맞서 싸웠으며 어찌나 치열하게 싸웠는지 1944년, 레닌그라드의 봉쇄가 해제된 이후에는 14대 중 오직 1량만 생존한 상태였다.

이후 남은 한대가 퇴역하고 모든 차량이 격파되어 잔존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이 중 늪지대에 빠져있던 "122번차"의 잔해가 복원되어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SU-26이 되었다.

전투 당시에는 포가 단포신 곡사포인데다가, 방호력이 매우 낮았기에 대전차전에서 사용하지 않고 보병들을 엄호하는 등의 후방에서 포격 지원을 하는데에 주로 사용되었다.

추가로, T-26의 포탑링을 개조하여 포를 얹었기 때문에 포가 360° 전방위 회전이 가능했다.

SU-T-26, SU-26, SU-76, SU-76P, T-26-6 등 다양한 제식명을 갖고 있다.


2.6.5. SU-5[편집]


"SU-5 시리즈"는 "소형 트리플렉스"라고 불린 경자주포 시리즈로, 1934년 개발되어 시험운행에 들어갔다. 3개의 버전 모두 붉은 광장에서의 열병식에 등장했지만 76.2mm 버전인 SU-5-1과 152.4mm 박격포 버전인 SU-5-3은 각각 1대씩만 시험용으로 생산되는 선에서 그쳤으며, 그나마 122mm 버전인 SU-5-2가 총 31대 정도로 양산되었다.


2.6.5.1. SU-5-1[편집]


파일:1329341667_su-5-1.jpg

СУ-5-1
"SU-5-1"은 76.2mm M1902/32 사단포를 탑재한 사양이며, 프로토타입 1대가 1934년에 생산되었다.


2.6.5.2. SU-5-2[편집]


파일:1329341662_su-5-2.jpg

СУ-5-2
"SU-5-2"는 122mm M1910/30 사단곡사포를 탑재한 사양이며, SU-5 시리즈 중 유일하게 31대가 양산되었다.

이 때문에 SU-5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실전을 치룬 차량인데, 하산 호 전투 당시에 12문이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2.6.5.3. SU-5-3[편집]


파일:1329341628_su-5-3.jpg

СУ-5-3
"SU-5-3"은 152.4mm M1931 사단박격포를 탑재한 사양이며, SU-5-1과 마찬가지로 프로토타입 1대가 1934년에 생산되었다.


2.6.6. SU-6[편집]



파일:1383621632_su-6_1.jpg


파일:external/s4.postimg.org/SU_6_6.jpg

СУ-6
"SU-6"은 76.2mm 3-K 대공포를 탑재한 자주포로, 1935년에 1대의 프로토타입만 제작되었다.


2.7. 비무장 파생형[편집]



2.7.1. ST-26[편집]



파일:external/www.panzernet.net/extra012.jpg

СТ-26
"ST-26"은 T-26 1931년식을 베이스로 포탑 하나를 철거하고 그 위에 가교를 얹은 교량전차다.

1932년에 3대, 1934년에 44대, 1935년에 20대, 1936년에 2대, 1937년에 1대, 1939년에 1대 총 71대를 생산했다.


2.7.2. UST-26[편집]



파일:UST-26.jpg

УСТ-26
"UST-26"는 ST-26 가교전차를 개량한 파생형이다.


2.7.3. T-26T[편집]



파일:external/en.academic.ru/T-26T_Artillery_Tractor.jpg

Т-26Т[11]
"T-26T"는 T-26 섀시 기반의 화포견인차 파생형으로 도합 7.7톤 이하의 화포를 견인할 수 있었으며, T-26T-2라는 상부에 방수포를 부착한 모델도 존재하였다.

이름의 T는 러시아로 "트랙터 (Трактор)"를 의미한다.

1945년 만주 작전 당시 관동군을 상대할 때에도 소수가 사용되었다.


2.7.4. BSNP[편집]



파일:external/www.armchairgeneral.com/T_26Commander_2.jpg

БСНП
"BSNP"는 T-26 차체 기반의 정찰차량이다. 맨 위에 핸드 레일처럼 생긴 기구는 71-TK 안테나다.


2.7.5. TR-4[편집]



파일:TR4tank.jpg

ТР-4
"TR-4"는 탄약 수송차량 파생형이다.


2.7.6. TR-26[편집]



파일:TR1tank.jpg

ТР-26
"TR-26"는 병력/물자 수송형 파생형이다. 후방에 탑승칸이 있는 것이 특징.


2.7.7. TS-26 / T-26Ts[편집]



파일:1529063388_t-26-c-3.jpg

ТС-26 / Т-26Тс
"TS-26 / T-26Ts"는 T-26을 베이스로 제작한 연료 수송차량 파생형이다.


2.7.8. TTs-26[편집]



파일:TTs-26tank.jpg

ТТс-26
"TTs-26"는 TR-26과 유사한 연료 수송차량 파생형이다.


2.7.9. TPP-2[편집]



파일:TPP-2.jpg

ТПП-2
"TPP-2"는 시제형으로 제작된 파생형으로, 참호를 도약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중앙에 있는 반원 형태의 바퀴를 빠르게 굴리면서 짧은 시간 점프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차에 무게에 비해 해당 바퀴의 추진력이 낮은 터라 낮은 높이만 도약 가능하였으며, 결정적으로 참호를 건너는 데에 쓸모가 별로 없었기에 결국 프로젝트가 사장되고 말았다.


3. 나치 독일[편집]



3.1. 현대화 개량형[편집]



3.1.1. Pz.Kpfw. T-26(r)[편집]



Pz.Kpfw. T-26(r)
"Pz.Kpfw. T-26(r)"은 독일 국방군 측에서 노획한 T-26들을 개조하여, T-26의 측면에 추가로 전차병 전용 소지품 상자를 증설하고, 전면 라이트를 노텍 제의 라이트로 교체 후, 동축 기관총과 조준경을 모두 독일제로 갈아 치우는 등 개조를 한 파생형이다.


3.2. 자주포 개수형[편집]



3.2.1. 7,5 cm Pak 97/38(f) auf 740(r)[편집]



파일:7,5cm_PaK_97_38_f_auf_740_r_at_kubinka.jpg

7,5 cm Pak 97/38(f) auf 740(r)
"7,5 cm Pak 97/38(f) auf 740(r)"는 1943년에 노획한 T-26에다 포탑을 제거하고 7,5cm PaK 97/38(f)[12]를 얹은 대전차자주포로, 위장도색을 도포하는 등의 개조를 거친 것이 특징이다. 총 10량이 개조되었으며, 전량 제563대전차자주포대대 소속 3중대에 배치되어 1944년 가을까지 사용했다.

현재 잔존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바딤 자도로지니 박물관이 레플리카로 제작한 1문을 소장 중에 있다.


3.3. 비무장 파생형[편집]



3.3.1. Ausbildung Pz.Kpfw. T-26B 739(r)[편집]



파일:OT-130+45mm1.jpg

Ausbildung Pz.Kpfw. T-26B 739(r)
"Ausbildung Pz.Kpfw. T-26B 739(r)"는 노획한 화염방사전차인 OT-130의 기관총을 독일제 MG34로 교체하고, 화염방사기가 있을 자리에 가짜 포신을 부착한 훈련용 전차이다.


4. 핀란드[편집]



4.1. 무장 교체 파생형[편집]



4.1.1. KhT-133/45[편집]



파일:Perinnepanssariosasto_T-26_Lippujuhlan_päivä_2014_1.jpg

KhT-133/45



KhT-133/45 211번차 기동 영상
"KhT-133/45"는 핀란드군이 화염방사전차인 HT-133을 노획한 후, 화염방사기를 탈거한 뒤 45 Psv.K/32 전차포[13] 동축기관총을 장착하여 T-26S와 유사하게 개조한 파생형이다.


파일:3451057802_970d54c142_b.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KhT-133/45 네임드 차량 "튜네" Ps. 164-7번차
개조 과정을 거치다보니, 포탑에서 포만 교체한 개체도 있고, T-26S의 포탑을 옮겨 장착한 개체도 있다. 포만 스왑한 개체는 문단 최상단의 211번차이며, 네임드 차량인 "튜네"는 T-26S의 포탑을 옮겨 장착한 파생형이다.

개조 과정을 거치다보니, 포탑에서 포만 교체한 개체도 있고, T-26S의 포탑을 옮겨 장착한 개체도 있는데, 특히 문단 최상단에 있는 단차는 T-26S의 포탑을 옮긴 뒤, 동축기관총을 추가한 사양이다.

1944년에 소련 장교가 살피는 사진과, 파롤라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개체들과 유기된 개체를 포함하여 최소 4대 이상 이렇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4.1.2. KhT-130/45[편집]



파일:KhT-26_with_BT-5_turret.jpg

KhT-130/45
"KhT-130/45"는 핀란드군이 HT-130 화염방사전차를 노획한 후 화염방사기를 탑재한 포탑을 탈거한 뒤 노획한 BT-5의 포탑을 올려 T-26B와 유사하게 개조한 파생형이다.

특히 이 개조품의 경우, BT-5와 T-26B 모두 포탑링 크기가 동일했기 때문에 차체와 포탑을 억지로 섞은 강제 결합품임에도 불구하고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았다. 최소 2대가 개조되었다.

[1] 나중에 이 사람은 SU-76M의 바탕이 되는 SU-76을 개발하였으나, 대실패로 끝나고 이에 대한 책임으로 경질되고 만다.[2] LT vz. 35가 사용하는 현가장치와 동일하다.[3] T-70 차체에 T-26-37과 동일하게 SH-37을 얹은 대공전차. 역시 프로토타입으로 그침.[4] 1933년 L.V. 쿠체르프스키가 디자인한 무반동포이다.[5] 1941년 11월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참전한 차량이다.[6] 강조하였듯이, 모두 독소전쟁 초중기에 공방전을 격렬하게 치뤘던 도시들이다. 이 도시들은 전후에 영웅 도시 칭호를 수여받았다.[7] 포탑 주변의 손잡이처럼 생긴 것이 안테나다.[8] 사진의 개체는 T-26B를 베이스로 포를 탈거하고 DT 기관총을 장착한 것이다. 현재 애국 공원이 소장 중.[9] 이밖에도 T-18, T-38, BT-5, BT-7 등의 경전차나 장갑차를 베이스로도 제작하였다.[10] 만약 무선전차가 전투불능이 된다면 조종전차의 승무원은 무선전차를 주포로 파괴하였다.[11] 1937년 5월 1일 노동절 퍼레이드 당시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촬영된 사진이며, 견인 중인 화포는 76.2mm 1936년형 사단포 F-22이다.[12] 프랑스 침공 당시 노획한 M1897 75mm 야포에 독일제 머즐브레이크를 장착시킨 대전차포이다.[13] 45mm 20-K 1932년형 전차포의 핀란드 방위군 제식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1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1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3:02:02에 나무위키 T-26/파생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