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B 아레나

덤프버전 : r (♥ 0)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2024-25 시즌 구단별 홈구장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ffffff,#191919> [[안지 아레나|{{{-2 안지}}}[br]아레나]][* 기존에 사용하던 트루트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br][[FC 디나모 마하치칼라|[[파일:Dinamo_logo_PNG.pn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3b1; font-size: 0.8em;" [[FC 디나모 마하치칼라|{{{#ffffff '''디나모 마하치칼라'''}}}]]}}} ||<width=25%> [[VTB 아레나|{{{-2 VTB}}}[br]아레나]][br][[FC 디나모 모스크바|[[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4a6; font-size: 0.8em" [[FC 디나모 모스크바|{{{#ffffff '''디나모'''}}}]]}}} ||<width=25%> [[로스토프 아레나|{{{-2 로스토프}}}[br]아레나]][br][[FC 로스토프|[[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c4da2; font-size: 0.8em" [[FC 로스토프|{{{#fff100 '''로스토프'''}}}]]}}} ||<width=25%> [[RZD 아레나|{{{-2 RZD}}}[br]아레나]][br][[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4422; font-size: 0.8em"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ffffff '''로코모티프'''}}}]]}}} || ||<rowbgcolor=#ffffff,#191919> [[아크 바르스 아레나|{{{-2 아크 바르스}}}[br]아레나]][br][[FC 루빈 카잔|[[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1831; font-size: 0.8em" [[FC 루빈 카잔|{{{#ffffff '''루빈 카잔'''}}}]]}}} || [[옷크리티예 반크 아레나|{{{-2 옷크리티예 반크}}}[br]아레나]][br][[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22A46; font-size: 0.8em"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ffffff '''스파르타크'''}}}]]}}} ||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2 솔리다르노스티}}}[br]사마라 아레나]][* 기존에 사용하던 크리스탈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br][[FC 아크론 톨리야티|[[파일:FC_Akron_logo_1_2023.pn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FC 아크론 톨리야티|{{{#ffffff '''아크론'''}}}]]}}} || [[아흐마트 아레나|{{{-2 아흐마트}}}[br]아레나]][br][[FC 아흐마트 그로즈니|[[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765B; font-size: 0.8em" [[FC 아흐마트 그로즈니|{{{#ffffff '''아흐마트'''}}}]]}}} || ||<rowbgcolor=#ffffff,#191919> [[가조비크 스타디움|{{{-2 가조비크}}}[br]스타디움]][br][[FC 오렌부르크|[[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956AE; font-size: 0.8em;" [[FC 오렌부르크|{{{#FFF '''오렌부르크'''}}}]]}}} || [[가즈프롬 아레나|{{{-2 가즈프롬}}}[br]아레나]][br][[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9ad6; font-size: 0.8em"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ffffff '''제니트'''}}}]]}}} || [[VEB 아레나|{{{-2 VEB}}}[br]아레나]][br][[PFC CSKA 모스크바|[[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1133; font-size: 0.8em" [[PFC CSKA 모스크바|{{{#ffffff '''CSKA'''}}}]]}}} ||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2 크라스노다르}}}[br]스타디움]][br][[FC 크라스노다르|[[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A22; font-size: 0.8em" [[FC 크라스노다르|{{{#ffffff '''크라스노다르'''}}}]]}}} || ||<rowbgcolor=#ffffff,#191919>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2 솔리다르노스티}}}[br]사마라 아레나]][br][[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64893; font-size: 0.8em;"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FFF '''크릴리야 S.'''}}}]]}}} || [[니즈니 노브고로드 스타디움|{{{-2 니즈니 노브고로드}}}[br]스타디움]][br][[FC 니즈니 노브고로드|[[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5E9F; font-size: 0.8em;" [[FC 니즈니 노브고로드|{{{#FFF '''파리 NN'''}}}]]}}} || [[중앙 무역 연합 스타디움|{{{-2 중앙 무역 연합}}}[br]스타디움]][br][[FC 파켈 보로네시|[[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height=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7B1; font-size: 0.8em;" [[FC 파켈 보로네시|{{{#FFF '''파켈'''}}}]]}}} || [[아레나 힘키|{{{-2 아레나}}}[br]힘키]][br][[FC 힘키|[[파일:FC 힘키 로고.sv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AF111D; font-size: 0.8em" [[FC 힘키|{{{#ffffff '''힘키'''}}}]]}}} || ||<-4><rowbgcolor=#071130> '''{{{#FFF *표시 - 인조잔디 구장}}}''' || ||<-4><bgcolor=#000> '''[[틀:러시아 퍼스트 리그 경기장|[[파일:1st_League_Logo_2022.png|width=30]] {{{#FFB700 ▶}}}]]''' || ||<-4><bgcolor=#f7f7f7,#222> [[틀:라리가 경기장|[[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 | [[틀:프리미어 리그 홈구장|[[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리그]] | [[틀:세리에 A 홈구장|[[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 | [[틀:분데스리가 홈구장|[[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분데스리가]][br][[틀:리그 1 홈구장|[[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리그 1]] | [[틀:프리메이라 리가 홈구장|[[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 | [[틀: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경기장|[[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리그]] | [[틀:쉬페르리그 홈구장|[[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br][각주] ||



파일:dinamo.jpg
FC 디나모 모스크바
HC 디나모 모스크바
VTB 아레나
ВТБ Арена | VTB Arena
위치러시아 모스크바
소유·운영VTB 은행, FC 디나모 모스크바
홈 구단FC 디나모 모스크바 (2019년 ~ 현재)[1]
HC 디나모 모스크바 (2019년 ~ 현재)[2]
UEFA 명칭레프 야신 스타디온[3]
수용 인원축구 : 25,716석
아이스하키 : 10,523석
개장2018년 7월
건설 비용1억 5천만 달러



1. 역사
2. 구조


1. 역사[편집]


파일:Dynamo_Stadium.jpg

원래 이 자리에 위치한 경기장은 1928년에 건설하여 소련 국가 축구 대표팀이 사용해왔던 디나모 스타디온[4]이었다. 하지만 디나모 모스크바는 기존 경기장의 노후화로 인해 새 경기장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기 시작하였고 원래 경기장인 디나모 스타디움은 2008년에 철거되었다. 축구단은 힘키에 위치한 아레나 힘키로 옮겨 임시 홈구장에서 활약해오고 있던 상황. 2018년 6월에 완공되었다는 현지 뉴스가 나왔고 2018-19 시즌부터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잔디 문제로 인하여 한동안 경기를 치르지 못했고, 디나모 모스크바는 2019년 5월 26일이 되어서야 복귀할 수 있었다.[5] 사실 경기장의 위치는 예전 디나모 스타디움 그대로이자 경기장 건축물의 밑 구조는 그대로 쓸 예정이라 신축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고 무엇보다 위치가 매우 좋아서 축구팬들에게는 정말 최적의 장소. 임시 홈 구장으로 쓰고 있던 아레나 힘키는 힘키에 위치한 해당 구단이 그대로 쓸 예정이다.[6] VTB 아레나는 다른이름으로 레프 야신 스타디온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소련의 전설 골키퍼이자 디나모에서 뛰었던 야신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

파일:img_5987-1000x666-q100.jpg

파일:VTB_Arena8.jpg

파일:VTB_Arena7.jpg


2. 구조[편집]


경기장은 각진 형태가 아닌 약간 원형을 선택하였다. 네덜란드의 설계자인 에릭 반 에게라트와 마니카 아키텍처가 설계했다.

파일:hapFemG.jpg

다른 경기장들과 달리 아이스하키 구장과 축구장이 같이 통합되어 있으며 러시아내에서의 통합형 경기장은 처음이다. 축구장은 돔 형이 아니며 아이스하키 구장만 실내형 구장으로 이뤄져 있다. 통합 경기장의 총 관중석은 45,000석이다. 축구장이 26,700석이고 아이스하키 구장은 계절에 따라 농구장, MMA 경기장, 콘서트장으로 여러 차례 바꿔가면서 운용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관중석도 겨울 시즌에는 11,000석으로 줄어들며 겨울 시즌이 지나면 13,000석으로 늘어나게 된다. 필요시에는 15,000석까지 늘릴 수 있게 설계되었다. 구장 외에 쇼핑 및 엔터테인먼트 센터, 서포터 룸이 경기장 건물 안에 구비되어 있고 지하에는 자동차 1,600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20:26:09에 나무위키 VTB 아레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축구[2] 아이스하키[3] UEFA의 규정에 따라 UEFA 주관 대회에서는 스폰서의 이름이 포함 되어있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4] 러시아 발음으로는 스타디움을 스타디온으로 읽는다. [5] 참고로 이 날 경기가 2018-19 시즌 최종전이었으며, 아르세날 툴라를 상대로 3:3 무승부를 기록하였다.[6] 아레나 힘키는 디나모 스타디움 철거 시작일부터 FC 힘키와 같이 써오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