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판사/OST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악마판사




1. 개요
2. 가창곡
2.1. Part 1 : Tempest
2.2. Part 2 : 악몽
2.3. Part 3 : What you gonna do
2.4. Part 4 :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
3. 스코어
4. 삽입곡
5. 인터뷰
6. 관련 사이트



1. 개요[편집]


tvN 토일 드라마악마판사》의 OST 및 삽입곡 정보를 정리한 문서.
정세린 음악감독이 이 드라마의 음악을 맡았다.

파트
표지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art 1

파일:악마판사 OST Part 1.jpg

2021.07.17.
Tempest TITLE
허클베리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악마판사 OST Part 2.jpg

2021.07.24.
악몽
Sondi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악마판사 OST Part 3.jpg

2021.07.31.
What you gonna do
Zeena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악마판사 OST Part 4.jpg

2021.08.07.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
허클베리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ll Track

파일:악마판사 OST Full Track.jpg

2021.08.21.
악마판사 OST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각주]

2. 가창곡[편집]



2.1. Part 1 : Tempest[편집]


파일:악마판사_로고.png OST Part 1

파일:악마판사 OST Part 1.jpg

발매일: 2021.07.17
트랙
곡명
아티스트
링크
01
Tempest
허클베리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Tempest (Inst.)
허클베리핀



[ 가사 펼치기 · 접기 ]

새다 밤을 새우다
너의 눈빛 떠올리면서
그리고 새벽 빛이 비추면
난 어둠을 털어 버렸어
You said I'll live in the sunlight, in the sunlight, in the sunlight
You said I'll live in the moonlight, in the moonlight, in the moonlight
아무도 모르게 나만의 길을 갔어
머리 위로 비추고 있던 그 빛들
먼지를 털듯이 내 과거를 버렸어
워 내 안의 두려움도
You said I'll live in the sunlight, in the sunlight, in the sunlight
You said I'll live in the moonlight, in the moonlight, in the moonlight
아무도 모르게 나만의 길을 갔어
머리 위로 비추고 있던 그 빛들
먼지를 털듯이 내 과거를 버렸어
워 내 안의 두려움도
뒤틀린 곳에서 태어나 여기로 왔어
워 그때 널 만났어




작사 이기용

작곡 이기용

편곡 이기용, 이소영, 성장규

'Tempest'는 '폭풍'이라는 뜻의 셰익스피어의 마지막 희곡의 제목처럼, 배신과 시련, 절치부심 그리고 복수를 담고 있다. 특히 마술을 사용하는 장면에서 공개 재판을 진행하며 대중들을 좌지우지하는 주인공 요한이 연상되기도 한다.

'빛과 어둠' 그리고 '변화'를 가사로 그려낸 'Tempest'는 왜곡 많은 세상에서 자란 요한의 어두웠던 과거와 이후에 역동적이고 강렬하게 변모하는 그의 삶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전체적으로 비트가 묵직하게 실린 가운데, 전반부는 요한의 어릴 적 슬픈 모습을 멜랑꼴리한 감성으로, 중반부 이후에는 힘 있게 변하는 내면을 밴드 허클베리핀의 스타일로 표현했다.

[각주]

2.2. Part 2 : 악몽[편집]


파일:악마판사_로고.png OST Part 2

파일:악마판사 OST Part 2.jpg

발매일: 2021.07.24.
트랙
곡명
아티스트
링크
01
악몽
Nightmare
Sondi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악몽 (Inst.)
Sondia



[ 가사 펼치기 · 접기 ]

지난 기억 속의 나는 어떤 표정을 하는지
애써 떠올리려 해도 전혀 기억나질 않아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빛을 잃은 이 어둠 속에서 나를 꺼내줘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더는 막을 수도 없이 날 집어삼켜 oh
save me from myself
짙은 안갯속에 나는 길을 잃어버린 걸까
헤쳐 나가려고 해도 앞이 보이지가 않아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빛을 잃은 이 어둠 속에서 나를 꺼내줘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더는 막을 수도 없이 날 집어삼켜 oh
save me from myself
손을 뻗어 날 구해달라고
아무리 외쳐도 더는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숨이 막혀 이 고통 속에서 나를 구해줘
I can't breathe I can't breathe
더는 막을 수도 없이 날 집어삼켜 oh
save me from myself




작사 송양하, 김재현, 이주아

작곡 송양하, 김재현, 이주아, 육가연

편곡 송양하, 김재현, 이주아, 육가연

'악몽'은 몽환적인 사운드를 필두로 한 팝 스타일 Rock으로, 손디아의 짙은 음색과 화려한 기타 사운드가 잘 어우러져 강한 시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자신의 안에 자리한 어둠과 힘겹게 싸워나가는 내용을 담은 가사와 끝을 향해 갈수록 폭발적으로 터지는 멜로디가 서스펜스의 절정으로 치닫는 드라마의 감정선을 표현해낸 만큼, 리스너들에게 숨 막히는 긴장감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각주]

2.3. Part 3 : What you gonna do[편집]


파일:악마판사_로고.png OST Part 3

파일:악마판사 OST Part 3.jpg

발매일: 2021.07.31.
트랙
곡명
아티스트
링크
01
What you gonna do
Zeena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What you gonna do (Inst.)
Zeenan



[ 가사 펼치기 · 접기 ]

Hey man, I'm broken 고쳐지지가 않아
My God, I'm praying 날 용서하소서
다시 저지르나봐 또 그걸 기뻐하는 나
Mama, oh 내가 저들과 뭐가 다르죠

You don't need to call me hero, I'm not your warrior
숨을 수 있다면 나를 어서 피해

Rockin' rockin' rockin' rockin' like a fire fire
Gotta burn it all the pain
할 수 있음 멈춰봐 날 Hey what you gonna do
I'm a fire fire, you can't hide away from me
원한다면 부숴봐 Hey what you gonna do

Hey, my friend 그만 날뛰어줘 제발
지친 이 밤에 난 평화만을 원해
내 속에 있는 널 내가 어쩔 수 없는
Mama, oh 내가 저들과 뭐가 다르죠

You don't need to call me hero, I'm not your warrior
숨을 수 있다면 나를 어서 피해

Rockin' rockin' rockin' rockin' like a fire fire
Gotta burn it all the pain
할 수 있음 멈춰봐 날 Hey what you gonna do
I'm a fire fire, you can't hide away from me
원한다면 부숴봐 Hey what you gonna do

날아 날아 잿빛 하늘 위로 부러진 날개 신경쓰지 말고
이 어둠이 나를 삼키기 전에 내가 먼저 날 벌할지 몰라

I'm shooting like fire fire
Gotta burn it all the pain
할 수 있음 멈춰봐 날 Hey what you gonna do
I'm a fire fire, you can't hide away from me
원한다면 부숴봐 Hey what you gonna do




작사 Zeenan, OneTop

작곡 Zeenan, OneTop

편곡 Zeenan, OneTop

'What you gonna do'는 최근 슈퍼주니어-K.R.Y.의 '부산에 가면', 임창정의 '이미 널 잊었어' 등을 합작하며 엄청난 호흡을 보여주고 있는 OneTop & Zeenan 콜라보 팀의 공동작품으로, Southern Hard Rock 스타일의 곡. 블루지한 기타 리프 위에 AC/DC의 Brian Johnson을 연상시키는 보컬이 강력한 느낌을 준다.

원초적이고 마초적인 사운드 위에 인간의 양면성을 진중하게 들려주는 'What you gonna do'는 내면의 선과 악에 대한 상징으로 God, Mama, Friend 등 정의와 불의의 경계선에서 갈등하는 '악마판사' 속 주인공의 자아를 오롯이 대변하는 노래이다.

[각주]

2.4. Part 4 :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편집]


파일:악마판사_로고.png OST Part 4

파일:악마판사 OST Part 4.jpg

발매일: 2021.08.07.
트랙
곡명
아티스트
링크
01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
The Nights
허클베리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 (Inst.)
허클베리핀



[ 가사 펼치기 · 접기 ]

멀리에서 부는 바람
어디쯤에 잠들어
우- 너의 밤이여
우- 나를 비춘다

꿈 속의 꿈 그 안의 난
끝도 없이 맴돌아
우~ 너의 모습이
우~ 나를 깨운다

다시 네게 돌아가는 내 맘 난 모르겠어
너는 아직 오지 않고 난 너를 기다렸어

어두워진 거리에서 난 귀 기울여 널 듣고 있어
너는 아직 오지 않고 나는 너를 또 기다렸어

멀리에서 부는 바람
어디쯤에 잠들어
우~ 나의 밤이여
우~ 너를 비춘다

다시 네게 돌아가는 내 맘 난 모르겠어
너는 아직 오지 않고 난 너를 기다렸어

어두워진 거리에서 난 귀 기울여 널 듣고 있어
너는 아직 오지 않고 나는 너를 또 기다렸어
난 불안해 널 잃을까 또 어둠에 난 익숙해져
밤이 오는 거리에서 나는 너를 또 기다렸어




작사 이기용

작곡 이기용

편곡 이기용, 이소영, 성장규

첫 번째 OST 'Tempest'에 이어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로 밴드 '허클베리핀'이 직접 작사, 작곡을 맡아 허클베리핀만의 색깔을 담아냈다. 이번 곡은 전작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곡으로 낮게 읊조리는 허클베리핀 '이기용'의 과장 없는 목소리가 담백하게 마음을 울리는 곡이다.

'너를 떠올린 건 항상 밤이었다'는 감성적인 미디엄 템포의 곡으로, 혼자 있는 밤에 떠오르는 사람을 생각하며 기쁘기도 슬프기도 한 누군가의 마음을 담은 곡이다. 사람들과 있을 때의 가면을 벗고 마주하는 누군가와 자신의 이야기를 담으며, 깊은 밤 자신의 내면 깊은 곳을 들여다보는 한 인간을 표현했다.

[각주]

3. 스코어[편집]


파일:악마판사_로고.png OST

파일:악마판사 OST Full Track.jpg

발매일: 2021.08.21.
트랙
곡명
아티스트
링크
09
진실의 적
정세린

10
부조리
정세린

11
제가 심연입니다
구본춘

12
외면과 다른 내면 (Feat. Dennyiah)[Track12]
주인로

13
디스토피아의 빛
정세린

14
뒤집힌 도시
김현도

15
안녕, 도련님?
홍은지

16
악마의 실체
정혜빈

17
인간의 잔혹한 이기심
정세린

18
너희들만 있다면..
정세린

19
재판은 게임이야
손성락

20
선택의 기로
이윤지

21
고통스러운 과거
강미미

22
사냥감과 사냥꾼
노유림

23
양보 없는 기싸움
정세린

24
인간에 대한 환멸
심희진

25
과거의 거울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2 1st mov.)[Track25]
Sergei Rachmaninoff, 주인로

26
빛을 동경하는 어두움
정세린

27
피어나는 진실
변상후

28
팩트 체크
강미미

29
국민참여재판
김현도

30
한 조각 선의를 찾아서
정세린

31
Something Stronger
주인로

32
당신이 원하는 정의
강미미

33
공정과 정의
변상후

34
야심과 권력
노유림

35
파멸의 늪
홍은지

36
냉혹한 괴물
손성락

37
천사 혹은 악마
강미미

38
권력의 덫
이윤지

39
외로움을 녹이는 온기
정세린

40
Blind Spot
강미미

41
추적
노유림

42
위선과 사악함
손성락

43
불길한 기운
심희진

44
참교육
김현도

45
온전한 내편
정세린

46
나한테 네가 있잖아
이윤지

47
Ruthless
신유진

48
무너진 세상
정세린

49
위선자들
홍은지

50
폭주하는 정의
주인로

51
Paradox
신유진

52
사회의 악
정혜빈

53
슬픈 복수
정세린

54
강력한 판결
정세린

55
Gnossienne No.1[Track55]
Erik Satie



4. 삽입곡[편집]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Track25]
    2화 무도회, 4화 사회적 책임재단 자선경매장에서 연주된 곡.

  • 에릭 사티 - Gnossienne 1번[Track55]
4회에서 상습폭행으로 태형 30대를 선고받은 아들(영민)의 형 집행지휘서를 받아든 차경희 장관이 괴로워하는 장면에 깔린다.

  • Dennyiah - Evergreen[Track12]
    4화 요한의 드레스룸에서 가온에게 옷을 골라줄 때 처음 나온 곡. 5화에서 남석훈에게 상습 성범죄자 교도소에서 복역할 것을 명할 때에도 나온다.

[Track12] A B Meanboy - Evergreen과 같은 보컬 샘플곡을 드라마에 맞게 편곡했다. #[Track25] A B 왈츠씬에 맞춰 3박자로 편곡했다. 정세린 음악감독은 “기존의 왈츠곡보다 묘한 감정, 강렬한 주제가 잘 들리는 곡이라 골랐다”며 “판사 강요한의 계략 테마곡으로, 여러 버전으로 편곡해 극 중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 곡은 체코 현지의 체코국립관현악단(CNSO, Czech National Symphony Orchestra)을 섭외해 녹음했다. #[Track55] A B 정세린 음악감독은 “비틀린 정치적 야망과 모성애, 태형장으로 끌려가는 영민의 두려움과 태형집행장의 기묘한 느낌을 모두 살릴 수 있는 곡”이라고 설명했다. #


5. 인터뷰[편집]




6. 관련 사이트[편집]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MUSIC&NEW 뮤직앤뉴 공식 트위터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뮤직앤뉴(MUSIC&NEW) 공식 인스타그램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Movie Closer (무비 클로저) 공식 페이스북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USIC&NEW 뮤직앤뉴 공식 유튜브 채널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0:27:19에 나무위키 악마판사/OS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