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災}}}재앙 재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7획
고등학교
-
}}}
일본어 음독
サイ
일본어 훈독
わざわ-い
}}}
표준 중국어
zā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재앙 재(災). 재앙, 화재, 죄악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선 U+707D에 배정되어 있다.

이 글자는 여러 종류의 이체자가 있는데, 대부분의 이체자가 (불 화)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화재'라는 의미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우선 중국에서 간체자로 사용되는 灾(U+707E)는 갑골문 때부터 내려온 자형으로, 지붕(집)을 나타내는 (갓머리)와 불을 나타내는 로 이루어져 있는데, 집 안이나 지붕에 불이 난 모습을 본떠서 '화재'라는 의미를 나타낸 회의자이다. 𤆎(+2418E, +火)와 烖(+70D6)는 뜻을 나타내는 火에 각각 소리를 나타내는 (재주 재)와 𢦏(재, 才 + 戈의 생략형)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다음으로 𡿧(+21FE7) 자는 앞에서 설명한 이체자와 좀 다른 케이스인데, (개미허리)의 중간을 가로획이 관통하는 모습이다. 이에 대해서는 해석이 두 가지이다. 첫째로 물이 범람하는 모습(즉 홍수)을 본뜬 글자라는 해석이고, 둘째로 어떤 물체에 의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함을 본뜬 글자라는 해석이다. 어느 쪽이 되었든 이전과는 다르게 수재(水災)를 다룬 글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이체자인 災는 이 𡿧자와 火를 합쳐 수재와 화재를 동시에 다루는 글자이다. 원래 전서에서는 𡿧 밑에 火의 형태로 묘사되어 있었으나, 현재 자형에서는 가로획이 사라져 巛 밑에 火의 형태로 묘사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흐릴/재앙 생)
  • (액 액)
  • (서자 얼)[1]
  • (재앙 앙)
  • (재앙 화)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빛날 경)
  • (뜸 구)
  • (새집 소)
  • (막힐 옹)
  • (구울 자)
  • (꿩 치)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2:04:1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자(庶子)' 이외에 '재앙'이라는 뜻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