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광명시/정치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White.svg 경기도 제16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수원시 장안구|

수원 장안
]]
[[수원시 권선구|

수원 권선
]]
[[수원시 팔달구|

수원 팔달
]]
[[성남시 수정구(선거구)|

성남 수정
]]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성남 중원
]]
박종희신현태남경필이윤수조성준
고흥길임태희홍문종이종걸심재철
[[부천시 갑|

부천 원미 갑
]]
[[부천시 을|

부천 원미 을
]]
[[부천시 병|

부천 소사
]]
[[부천시 정|

부천 오정
]]
광명
안동선배기선김문수최선영전재희
평택 갑평택 을
양주·동두천
안산 갑안산 을
원유철정장선목요상김영환천정배
[[고양시 갑|

고양 덕양 갑
]]
[[고양시 을|

고양 덕양 을
]]
[[고양시 병|

고양 일산 갑
]]
[[고양시 정|

고양 일산 을
]]
[[의왕시·과천시|

의왕·과천
]]
유시민이근진정범구김덕배안상수
구리남양주
오산·화성
시흥군포
전용원조정무강성구박병윤김부겸
하남이천파주용인 갑용인 을
김황식이희규이재창남궁석공석
안성김포광주여주
이해구박종우박혁규이한동이규택
정병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광명시>
{{{-1 {{{#fff 광명시 일원
光明市
Gwangmyeong-City
선거인 수241,995명 (2002)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명시 전역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광명4동, 광명5동, 광명6동, 광명7동, 철산1동, 철산2동, 철산3동, 철산4동,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 소하1동, 소하2동, 학온동
신설년도1988년, 2000년(재신설)
이전 선거구광명시 갑, 광명시 을
이후 선거구
국회의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재희




1. 개요[편집]


1988년 소선거구제 신설 당시 신설된 선거구로, 12대 총선까지 같은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던 안양시, 시흥시, 안산시, 옹진군이 떨어져 나가고 1996년 광명시의 선거구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갑/을로 나누어져 폐지된 선거구였으나 2000년 16대 총선 당시 잠깐 부활했다 2004년 4년만에 다시 폐지된 선거구이다.

이 문서에서는 분구 이전인 12대, 13대, 14대 총선과 잠시 통합된 16대 총선 결과만을 서술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의원명당적임기
12대[1]이택돈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윤국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1일 ~ 1986년 12월 9일[2]
13대김병용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14대윤항렬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1월 25일[3]
손학규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3년 4월 24일 ~ 1996년 5월 29일
광명시(재신설)[4]
16대손학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2년 6월 30일[5]
전재희2002년 8월 9일 ~ 2004년 5월 29일


2.1.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안양시·광명시·시흥군·옹진군
안양시·광명시·시흥군·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면(金鍾勉)8,8054위

[[한국국민당(1981년)|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글자.svg
]]
2.12%낙선
2이택돈(李宅敦)194,6901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07%당선
3이석용(李奭鎔)70,9733위
[include(틀:민주한국당)]17.16%낙선
4김정길(金貞吉)6,1966위

파일:신정사회당 선거벽보 글씨.png
1.49%낙선
5윤국노(尹國老)121,9492위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29.48%당선
6곽인수(郭寅洙)10,9405위

2.64%낙선
선거인 수517,567투표율
78.50%
투표 수419,574
무효표 수6,021


2.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명시
광명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항렬(尹恒烈)27,743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5.61%낙선
2노병구(盧秉九)18,7474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7.30%낙선
3최정택(崔正澤)23,4713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21.66%낙선
4김병용(金炳龍)33,9781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31.36%당선
5이기한(李琪漢)2,4805위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2.28%낙선
6곽인수(郭寅洙)1,9066위

[[한국국민당(1981년)|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글자.svg
]]
1.75%낙선
선거인 수156,737투표율
69.70%
투표 수109,256
무효표 수931


2.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명시
광명시 일원[광명]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병용(金炳龍)28,627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8.77%낙선
2최정택(崔正澤)38,2922위
25.10%낙선
3윤항렬(尹恒烈)53,2691위
34.92%당선
4김은배(金殷培)2,3506위
1.54%낙선
5유주봉(兪柱奉)4719위
0.30%낙선
6류인렬(柳仁烈)14,5054위
9.51%낙선
7김성기(金成基)9307위
0.60%낙선
8김재주(金在周)13,1475위
8.62%낙선
9박인식(朴仁植)9138위
0.59%낙선
선거인 수222,575투표율
69.30%
투표 수154,142
무효표 수1,638


2.4. 1993년 재보궐선거[편집]


광명시
광명시 일원[광명]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학규(孫鶴圭)41,6831위
44.90%당선
2최정택(崔正澤)8,6022위
31.30%낙선
3정순주(鄭淳住)9696위
1.28%낙선
4권순필(權純必)1,7894위
6.54%낙선
5김재용(金在容)1469위
0.50%낙선
6김은호(金隱滈)1,1385위
4.10%낙선
7유덕상(兪德相)2288위
0.80%낙선
8이공훈(李公熏)4310위
0.20%낙선
9이철로(李哲魯)5217위
1.95%낙선
10차종태(車鐘太)3,0783위
11.24%낙선
선거인 수93,414투표율
41.20%
투표 수13,142
무효표 수294

무소속 후보들의 난립 속에 손학규가 이 선거에 당선되며 처음으로 정계에 진출하게 된다.

2.5.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명시 갑, 광명시 을 문서 참조


2.6.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광명시
광명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학규(孫鶴圭)65,8871위
47.35%당선
2조세형(趙世衡)64,0442위
46.03%낙선
3김재주(金在周)9,1913위
6.60%낙선
선거인 수233,821투표율
59.93%
투표 수140,130
무효표 수1,008
광명시 갑, 을이 통합되어 광명시 단일 선거구가 됐다. 1998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낙선한 손학규가 복귀하여 당선됐다.

이후 손학규는 2002년에 경기도지사 선거에 재도전하여 이번에는 당선되었다. 손학규가 의원직을 재차 사퇴하여 재보궐선거를 하게 됐다.


2.7. 200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광명시
광명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재희(全在姬)40,9751위
56.36%당선
2남궁진(南宮鎭)30,5222위
41.99%낙선
3오명환(吳明煥)1,1993위
1.65%낙선
선거인 수241,995투표율
30.39%
투표 수73,548
무효표 수852
전 광명시장 신분이었던 전재희가 경기도지사에 출마하며 사퇴한 손학규의 잔여임기를 수행하는 사람을 뽑는 선거인 2002년 8월 8일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 중선거구제[2] 1986년 12월 9일 사망[3] 1993년 1월 25일 사망[4] 16대 총선 선거구 획정 재조정에 따라 갑/을 분구 선거구가 다시 하나로 재통합 됨.[5] 2002년 6월 30일 사퇴[광명] A B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광명4동, 광명5동, 광명6동, 광명7동, 철산1동, 철산2동, 철산3동, 철산4동,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 소하1동, 소하2동, 학온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