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노현 제2구 (r2판)

편집일시 :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가노현 제2구>
長野県第2区
파일:shuinsen_Nagano2.svg
선거인 수379,441명 (2022)
상위 도도부현나가노현
하위 행정구역나가노시(서부),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아즈미노시, 히가시치쿠마군,
키타아즈미군, 카미미노치군
국회의원
시모조 미쓰




1. 개요[편집]


나가노현나가노시 서부지역,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아즈미노시, 히가시치쿠마군, 키타아즈미군, 카미미노치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시모조 미쓰.[1]


2. 상세[편집]


대체적으로 민주당 계열 정당이 우세를 보이는 곳이나, 자민당 지지세도 적지 않은 경합 지역이다.

시모조 미쓰 의원은 전형적인 지역 정치 명문가 출신으로 조부 시모조 야스마로와 아버지 시모조 신이치로가 모두 참의원 의원과 국무대신직을 지냈다.[2] 야스마로는 엘리트 출신으로 귀족적인 기품을 가진 정치인으로 불렸다. 외조부 이시카와 이치로는 경단련 회장을 맡은 바 있다. 시모죠 미쓰의 아버지는 자민당 소속이었으나, 본인은 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나가노현 제2구 역대 중의원 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무라이 진[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시모조 미쓰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무타이 슌스케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시모조 미쓰
[4]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무라이 진122,483표1위

51.9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치즈키 유나이60,399표2위

25.61%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기타자와 세이코27,930표3위

11.8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미즈 게이지24,990표4위

10.60%낙선
유효표 수235,802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진95,046표1위

37.9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81,710표2위

32.66%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구치 와카코45,584표3위

18.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미즈 게이지27,858표4위

11.13%낙선
유효표 수250,198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108,397표1위

43.0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이 진98,756표2위

39.18%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구치 와카코26,865표3위

10.6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미즈 게이지18,038표4위

7.16%낙선
유효표 수252,056표투표율
66.00%
선거인 수388,988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124,973표1위
46.7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세키야 리키86,735표2위
32.4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구치 와카코30,991표3위
11.5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시노 마사키17,081표4위
6.39%낙선
도조 히데코7,591표5위
2.84%낙선
유효표 수267,371표투표율
70.01%
선거인 수389,698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158,666표1위
55.8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타이 슌스케79,267표2위
27.92%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나카가와 히로지18,603표3위
6.5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시노 마사키18,529표4위
6.53%낙선
카미조 쇼타로6,682표5위
2.35%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오츠키 호나미2,118표6위
0.75%낙선
유효표 수283,865표투표율
74.47%
선거인 수387,779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히가시치쿠마군, 미나미아즈미군,
키타아즈미군, 사라시나군 일부,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타이 슌스케93,092표1위
[공]39.4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64,278표2위
27.27%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모모세 도모유키49,489표2위
20.89%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키타무라 마사히로26,626표4위
11.3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아지오카 준지2,239표5위
0.95%낙선
유효표 수235,724표투표율
62.76%
선거인 수386,742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나가노시 일부,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아즈미노시,
히가시치쿠마군, 키타아즈미군,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타이 슌스케75,718표1위
[공]37.0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모조 미쓰63,558표2위
31.08%낙선
파일:유신당 로고.png모모세 도모유키41,232표3위
[include(틀:유신당)]20.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요사와 타츠야24,006표4위
11.74%낙선
유효표 수204,514표투표율
54.33%
선거인 수384,529인

유신당 후보로 출마했던 모모세 도모유키 전 의원은 2015년 나가노현 의회 의원 선거(마츠모토시·히가시치쿠마군 선거구)에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나가노시 일부,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아즈미노시,
히가시치쿠마군, 키타아즈미군,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시모조 미쓰78,343표1위
[5]35.4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타이 슌스케67,210표2위
[공]30.43%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나카가와 히로지41,274표3위
18.68%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데즈카 다이스케34,073표4위
15.42%낙선
유효표 수220,900표투표율
58.47%
선거인 수388,839인

자민당 무타이 의원과 희망의 당 시모조 전 의원의 4번째 맞대결이다. 사회민주당일본 유신회 후보도 득표력이 있다고 평가받는 인물들이라 2강 2중의 치열한 승부가 진행되었다.

시모조 후보가 5년만에 지역구를 탈환했다. 사민당 후보가 높은 지지율을 올리며 진보 성향표를 꽤 많이 빼앗아갔으나, 자민당 무타이 후보가 부흥대신 정무관 재직 중 부하 직원에게 업힌 채 물웅덩이를 건너는 모습이 방영되며 이미지가 매우 나빠졌다.# 이후의 실언으로 부흥대신 정무관직도 불명예스럽게 사퇴했고, 결국 선거구에서 패하고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되었다.

사회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던 나카가와 히로지 후보는 2019년 나가노현 의회 의원 선거(마츠모토시·히가시치쿠마군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2구
나가노시 일부, 마츠모토시, 오마치시, 아즈미노시,
히가시치쿠마군, 키타아즈미군, 카미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시모조 미쓰101,391표1위
47.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타이 슌스케68,958표2위
[공]32.32%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데즈카 다이스케43,026표3위
20.16%낙선
유효표 수213,375표투표율
57.04%
선거인 수382,082인

현역 입헌민주당 시모조 미쓰 의원, 자민당 무타이 슌스케 의원, 그리고 지난 중의원 선거에서 출마한 일본 유신회 데즈카 다이스케 후보가 재출마한다.

반면 지난 선거에 후보를 낸 사민당이나 공산당, 그 외의 군소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출마하지 않았다. 이럴 경우 지난 선거와 달리 진보표를 결집할 시모조 의원이 더 유리해지게 된다. 유신회 데즈카 후보도 지역구 당선은 무리이지만, 호쿠리쿠신에쓰 지역에 도야마현 제1구를 제외하면 자신만큼 높은 득표율을 거둘 유신회 후보가 없기에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당선을 노릴만 하다.

투표 결과, 입헌민주당 시모조 미쓰 후보가 지난 선거의 사민당 표까지 끌어들이며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자민당 무타이 슌스케 후보는 머리도 백발로 바꾸는 등 이미지 변신을 시도했으나, 차관 시절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지 못하고 더 큰 표차로 패배했다. 하지만 자민당이 호쿠리쿠신에쓰 지역에서 선전하는 덕분에, 이 지역에서 득표율 및 석패율 최하위를 기록하고도 비례대표 끝번호로 당선되었다.

유신회 데즈카 다이스케 후보는 3위였지만 20% 이상을 득표하며 선전했다. 도야마 1구에 출마한 유신회 요시다 도요후미 후보에게 밀려 비례대표 당선에는 실패했다. 득표율을 볼 때, 차라리 다음 선거에서는 자민당이 데즈카 후보를 영입해 시모조와 맞붙는 것이 나을수도 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6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시모조 미쓰 의원과 5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무타이 슌스케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유신회에서는 데즈카 다이스케 후보가 계속 지역구 지부장을 역임하며 3번째 중의원 선거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1] 희망의 당 소속으로 당선 이후 국민민주당에 합류했다.[2] 조부 야스마로는 문부대신을, 아버지 신이치로는 후생대신을 역임했다.[3]나가노현 지사.[4] 당선 이후 국민민주당에 합류, 이후 입헌민주당에 합류[공] A B C D 추천[5] 나가노현 총지부 연합회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