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가타현 제5구

덤프버전 :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니가타현 제5구>
新潟県第5区
파일:shuinsen_Niigata5.svg
선거인 수275,224명 (2021)
상위 도도부현니가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요네야마 류이치




1. 개요[편집]


니가타현의 남부 지역인 나가오카시 일부(나가오카 지역, 야마코시 지역, 카와구치 지역), 오지야시, 우오누마시, 미나미우오누마시, 미나미우오누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니가타현지사를 역임한 입헌민주당 소속 요네야마 류이치.


2. 상세[편집]


중선거구제 시절부터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강력한 지역 기반[1]이었다. 그가 생전에 공들인 강력한 지역 기반의 영향으로 그의 딸인 다나카 마키코가 지역구를 물려 받은 이후에도 당적에 관계 없이 출마만 하면 당선됐었다. 허나 민주당으로 이적해 활동하던 다나카 마키코가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 후보에게 패배해 낙선하면서 그 강력한 지역 기반이 무너진 것과 동시에 다나카 부녀의 오랜 세습이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현재는 여타 시골 선거구들과 마찬가지로 자민당이 우세를 보이는 선거구 중 한 곳이 되었다.

다만 인물론이 어느 정도 통하는 곳인지, 다나카 마키코를 포함해 무소속 당선인을 3명이나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2] 이 영향 때문에 지금도 선거 때마다 가끔씩 주목 선거구로 관심을 끌기도 한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니가타현 제5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다나카 마키코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2002년호시노 유키오
[[무소속|
무소속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다나카 마키코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나가시마 다다요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이즈미다 히로히코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요네야마 류이치
[[무소속|
무소속
]]
[3]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나카 마키코96,759표1위

48.85%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호시노 유키오75,524표2위

38.13%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가타오카 마사히데15,823표3위

7.9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콘도 마사유키9,961표4위

5.03%낙선
유효표 수198,067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나카 마키코137,866표1위

68.62%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메구로 요시노스케50,208표2위

24.9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토 에이지12,827표3위

6.38%낙선
유효표 수200,901표투표율
72.70%
선거인 수


4.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호시노 유키오69,146표1위

[[무소속|
무소속
]]
47.86%당선
이시즈미 마사루60,045표2위

[[무소속|
무소속
]]
[4]
41.5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쿠와하라 카요코15,298표3위
10.59%낙선
유효표 수144,489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다나카 마키코98,112표1위
49.1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시노 유키오61,937표2위
31.02%낙선
시라카와 카즈히코30,086표3위
15.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이토 미노루9,506표4위
4.76%낙선
유효표 수199,641표투표율
70.93%
선거인 수287,091인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다나카 마키코105,484표1위
51.1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네야마 류이치82,993표2위
40.2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이토 미노루17,693표4위
8.58%낙선
유효표 수206,170표투표율
73.72%
선거인 수286,954인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나카 마키코103,202표1위
49.1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네야마 류이치86,453표2위
41.1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이베 마사이치17,698표3위
8.42%낙선
야마다 호다카1,458표4위
0.6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사마키 켄야1,323표5위
0.63%낙선
유효표 수210,134표투표율
75.52%
선거인 수284,942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가시마 다다요시80,488표1위
[5]45.7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나카 마키코51,503표2위
[6]29.26%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요네야마 류이치35,720표3위
[7]20.2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핫토리 코이치8,296표4위
4.71%낙선
유효표 수176,007표투표율
63.75%
선거인 수282,118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일부,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가시마 다다요시81,176표1위
[8]57.33%당선
파일:생활의당 로고.png모리 유코47,420표2위
33.4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핫토리 코이치12,993표3위
9.18%낙선
유효표 수141,589표투표율
52.33%
선거인 수279,756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일부,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즈미다 히로히코91,855표1위
[9]51.82%당선
오다이라 에쓰코79,655표2위
[10]44.9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사하라 레이카5,735표3위
3.24%낙선
유효표 수177,245표투표율
64.97%
선거인 수282,318인

현역 나가시마 다다요시 의원의 재출마가 예상되었으나, 나가시마 의원이 선거를 앞두고 뇌졸중으로 쓰러져 사망하면서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게 되었다. 자민당에서는 무주공산이 된 이 지역에 이즈미다 히로히코 전 니가타현 지사를 공천한다. 한편 민진당과 사민당 등 야권에서는 니가타현 최초의 여성 시장이라는 기록을 가진 오다이라 에쓰코 전 우오누마시 시장을 추대하기로 협의하고, 이에 오다이라 전 시장이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며 화답하자 공산당, 자유당에서도 오다이라를 추천하면서 오다이라가 야권 단일 후보로 출마하게 되었다.

‘지사 vs 시장’이라는 빅매치가 성사된 영향인지 지역구 투표율이 직전 선거 대비 무려 12.64% 상승한 64.97%를 기록했다. 그만큼 지역에서 관심도가 높았던 모양이다.

선거 결과 자민당의 이즈미다 히로히코가 51.8%의 득표율로 야권 단일 후보인 오다이라 에쓰코를 꺾고 당선되었다. 오다이라는 86.7%라는 높은 석패율을 기록했으나, 비례대표 중복 출마를 할 수 없는 무소속 후보인 탓에 그대로 낙선했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이즈미다 히로히코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5구
나가오카시 일부, 오지야시, 고시군, 키타우오누마군,
미나미우오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요네야마 류이치
(米山隆一)
79,447표1위
[11]44.9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즈미다 히로히코
(泉田裕彦)
60,837표2위
[12]34.43%비례당선
모리 다미오
(森民夫)
36,422표3위
20.61%낙선
유효표 수176,706표투표율
65.20%
선거인 수275,224인

선거 당시 니가타 5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 자민당 이즈미다 히로히코 의원이 재출마한다.

여대생 매춘 논란으로 중도 사임했던 요네야마 류이치 전 니가타현지사가 니가타 5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두 전직 지사간의 매치가 성사되었다.# 두 전직 지사간의 매치가 확정되자 벌써부터 이번 선거의 주목 선거구로 부상하고 있다. 요네야마 전 지사가 여대생 매춘 논란이라는 심각한 결함을 갖고 있으나, 이즈미다 의원도 지역에서 평가가 썩 좋지 않다.#

모리 타미오 전 나가오카시 시장도 출마를 선언, 두 전직 지사에게 불만을 품은 부동층의 지지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보수표를 조금 더 빼앗아가 이즈미다 후보를 불리하게 한다는 의견이 더 많다.

재미있게도 세 후보 모두 서로 간에 인연이 있다. 이즈미다와 요네야마는 전임-후임 니가타현지사의 관계이고, 요네야마와 모리는 2016년 니가타현지사 선거 당시 상대 후보였다. 모리와 이즈미다는 과거 니가타 추에쓰 지진 당시 나가오카시 시장과 니가타현지사로서 협력했던 적이 있다.

개표 결과, 무소속 요네야마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 이즈미다 후보는 2위를 기록하여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모리 다미오 후보는 3위로 낙선했지만, 20.6%라는 의미있는 득표율을 거두며 이즈미다의 지역구 패배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요네야마 류이치

당선된 요네야마 의원은, 무소속 신분으로 입헌민주당 회파에 참여하다가, 2022년 9월 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조에쓰시, 토카마치시, 이토이가와시, 묘코시, 우오누마시, 미나미우오누마시, 미나미우오누마군, 나카우오누마군을 관할하게 되며 기존 6구에 5구 일부를 붙인 구도로 개편되었다.

양당 모두 기존 6구 기반의 우메타니 의원과 다카토리 의원을 내세워 재대결할 것으로 보인다.

[1] 당시 명칭은 니가타 3구[2] 호시노 유키오(42회 보궐), 다나카 마키코(43~44회), 요네야마 류이치(49회).[3] 2022.09.27
입당.
[4]
,
,
추천
[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추천[10] , , , 추천[11] , , 니가타현 위원회 추천[12]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