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000"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북마케도니아
관련 문서
<^|1><height=34><color=#d20000><bgcolor=#ffe600,#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Фудбалска репрезентација на Македонија
정식명칭Фудбалска репрезентација на Македонија[1]
FIFA 코드MKD
협회북마케도니아 축구 연맹 (FFM)
연맹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블라고야 밀레프스키 (Благоја Милевски)
주장스테판 리스토프스키 (Стефан Ристовски)
최다출전자고란 판데프 (Горан Пандев) - 122경기
최다득점자고란 판데프 (Горан Пандев) - 38골
홈 구장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 (Тоше Проески арена)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4:1 승),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크란 (1993년 10월 13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11:1 승),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에셴 (1996년 11월 9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0 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맨체스터 (2023년 6월 19일)
UEFA 유로출전 1회 (2020)
별칭Црвени Рисови (적색 스라소니), Црвени Лавови (적색 사자)
FIFA 랭킹66위(2023년 10월 26일 기준 / #)
Elo 랭킹65위(2023년 11월 29일 기준 / #)
공식 소셜 미디어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하의78
양말
1. 개요
2. 역사
2.1. 2018년 이전
2.2. 2018년 이후
4. 현재 선수 명단
5. 역대 전적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1. 개요[편집]


북마케도니아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블라고야 밀레브스키이다. 적색 스라소니들(Црвени лавови)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의 상대전적은 1무 1패로 열세. 1998년 4월 18일 차범근호가 북마케도니아로 가서 첫 경기를 벌여 2-2로 비겼으며 2000년 6월 7일에 이란에서 열린 LG컵 대회 경기로 벌어진 한국과 두번째 경기에서 박지성에게 A매치 데뷔골을 헌납하고 패배했다.#

가장 유명한 선수로는 인터 밀란에서 뛴적이 있는 고란 판데프가 있으며 그는 A 매치에서 35골을 터뜨려 북마케도니아 축구 대표팀 역사상 가장 많은 A 매치 득점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독립 직후 1990년대에는 다르코 판체프가 말년에 활약하기도 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주전 골잡이로 이름을 날렸었다.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뛰었던 에즈잔 알리오스키, SSC 나폴리엘리프 엘마스, 레반테 UD에니스 바르디, RCD 마요르카알렉산다르 트라이코프스키, 라요 바예카노의 주전 골키퍼 스톨레 디미트리예프스키, 역대 최연소 경기 출전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는 VfB 슈투트가르트다르코 추를리노프,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뛰고있는 아리얀 아데미스테판 리스토프스키 등이 있다.

은근 이 나라의 국대급 선수들이 K리그에 자주 온 편이다. 하지만 한 명을 제외하면 모두 썩 좋은 성적을 내진 못했는데, 블라제 일리요스키가 등록명 바조라는 이름으로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해 K리그에 입문했었고, 썩 좋은 활약을 못한채 금방 자국리그로 복귀했고, 4년 뒤 다시한번 강원 FC에 입단하며 K리그에 도전했으나 4년전보다 더 안좋은 모습을 보이며 방출되었다. 하지만 자국리그에서는 엄청난 활약을 보이는 공격수로 대표팀에 자주 소집되는 자원이다.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나름 활약한 크르스테 벨코스키도 인천에서는 인상적이진 못했으나 보스니아 1부리그 FK 사라예보에서 날라다니면서 30대의 나이에 다시 대표팀에 복귀하여 UEFA 유로 2020 명단에 들고 대회가 끝나고나서 은퇴를 했다.

유일하게 한국 팬들에게 인정받는 선수는 스테보. 포항,수원,전남 등에서 뛰면서 한국 팬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고 국가대표팀에도 종종 차출되어서 K리그를 현지에 많이 알리는 등 좋은 영향을 많이 끼쳤다.[2]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JAKO이다.


2. 역사[편집]



2.1. 2018년 이전[편집]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 8번 출전하였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성적을 보려면 여기로.

1991년 독립 이후에는 월드컵 본선에 아직까지 진출하지 못하였다. 구 유고 구성 팀 중 가장 축구실력이 약하다고 평가받는 팀이다.


2.2. 2018년 이후[편집]


전력은 약하지만 다크호스 역할은 자주 해냈다.

2018-19 네이션스리그 리그 D에서 우승했다.

의외의 선전으로 자국 축구 역사상 첫 메이저 대회 진출에 성공했다. 유로 2020 예선에서는 폴란드,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라트비아와 한 조에 속해서 조 1,2위 폴란드, 오스트리아에 승점이 크게 뒤진 조 3위에 머물렀지만, 2018-19 네이션스리그 리그 D에서 우승한 전적으로 유로 2020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행운을 얻었고, 플레이오프 준결승 대진으로 만날수 있는 가장 강팀인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을 만나 비관적인 전망이 대세였지만, 다르코 벨코프스키의 결승골로 2-1로 승리하는 작은 이변을 연출하며 플레이오프 결승전에 진출했다! 1달 뒤 열린 조지아와의 플레이오프 결승 일전에서 노장 고란 판데프의 결승골로 사상 최초로 유로대회 본선에 나서는 역사를 만들게 되었다.

유로 2020 24강 본선 조별리그에서는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와 한 조에 묶였고 3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23등)했다. 그래도 판데프가 자신의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수 있는 메이저대회에서 사상 첫 골을 기록하며 후회없이 대회를 마쳤다.

6개국 중 4포트로 들어간 약팀의 입장인데도 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서도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는 중이다. 카타르 월드컵 유럽예선 J조에 속해 2021년 4월 1일(한국 시간), 독일 원정에서 후반 막판 엘리프 엘마스의 결승골로 2-1로 승리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날짜를 보면 알겠지만 그야말로 만우절 거짓말 같은 승리였다. 이 경기를 스포츠조선에서 보도했을 때 헤드라인으로 '뒤스부르크의 기적'이라고 이름붙였다. 참고로 이 독일 원정 경기는 북마케도니아가 독립한 이후 독일과 처음 만난 경기이다.

그러나 UEFA 유로 2020이 끝나고 팀의 지주인 고란 판데프가 국가 대표팀 은퇴를 선언하면서 대체할 공격수를 찾는게 시급해졌다.

카타르 월드컵 유럽예선 J조에서 5승 3무 2패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며 루마니아, 아르메니아를 제치고 2위 자리를 따냈다. 무엇보다도 독일을 제외하곤 동급으로 평가받았던 팀들에게 21골이나 집어넣으며 공격면에서도 많이 발전했다는걸 보여줬다.

독일에게 본선 직행권을 가져오진 못했지만 2위 자격으로서 PO 진출권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플레이오프 패스 C 준결승에서 알렉산다르 트라이코프스키의 극장 결승골로 이탈리아를 원정에서 1:0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로써 월드컵 우승 4회에 빛나는 독일과 이탈리아를 이기며 이변을 이어가게 되었다. 더더욱 경악스러운 것은 두 경기 모두 원정에서 이겼다는 것. 그러나 뒤이은 포르투갈과의 패스 C 결승전에서는 결국 수준차를 극복하지 못하며 0:2로 완패하였다. 본선 진출에는 실패하면서 이탈리아전 승리의 기세를 이어나가지는 못했지만, 이것을 계기로 앞으로 더 발전해 나간다면 더 이상은 변방이 아닌 다크호스라는 평가를 들을 수도 있을 듯 하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D3223D><rowcolor=#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고란 판데프]] || '''122회''' || 2001.6.6 || 2021.6.21 || || 2 || 고체 세들로스키 || '''100회''' || 1996.3.27 || 2010.5.29 || }}}




4.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키릴 문자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1스톨레 디미트리에프스키Stole DimitrievskiСтоле Димитриевски1993년 12월 25일540라요 바예카노
12데얀 일리에프Dejan IlievДејан Илиев1995년 2월 25일00AS 트렌친
22다미얀 시스코프스키Damjan ShishkovskiДамјан Шишковски1995년 3월 18일60도하 카토코피아스 FC
크리스티얀 나우모프스키Kristijan NaumovskiКристијан Наумовски1988년 9월 17일60KF 슈쿠피
DF2토도르 토도로스키Todor TodoroskiТодор Тодороски1999년 2월 26일10ŠKF 세레티
3스테판 아시코프스키Stefan AshkovskiСтефан Ашковски1992년 2월 24일120세프시 OSK 스픈투게오르게
4키레 리스테프스키Kire RistevskiКире Ристевски1990년 10월 22일540AEL 리마솔
5교코 자이코프Gjoko ZajkovЃоко Зајков1995년 2월 10일191PFC 슬라비아 소피아
6비사르 무슬리우Visar MusliuВисар Муслиу1994년 11월 13일421FC 잉골슈타트 04
8에즈잔 알리오스키Ezgjan AlioskiЕзѓан Алиоски1992년 2월 12일5612알 아흘리 SFC
14다르코 벨코프스키Darko VelkovskiДарко Велковски1995년 6월 21일403HNK 리예카
15니콜라 세라피모프Nikola SerafimovНикола Серафимов1999년 8월 11일00절러에게르세기 TE
보얀 디모스키Bojan DimoskiБoјаи Димoски2001년 11월 23일00FK 아카데미야 판데프
MF7엘리프 엘마스Elif ElmasЕлиф Елмас1999년 9월 24일389SSC 나폴리
10에니스 바르디Enis BardhiЕнис Барди1995년 7월 2일449레반테 UD부주장
11다르코 추를리노프Darko ChurlinovДарко Чурлинов2000년 7월 11일142FC 샬케 04[3]
16보반 니콜로프Boban NikolovБобан Николов1994년 7월 28일423FC 셰리프 티라스폴
20스테판 스피로프스키Stefan SpirovskiСтефан Спировски1990년 8월 23일491MTK 부다페스트 FC
다비드 바분스키David BabunskiДавид Бабунски1994년 3월 1일90데브레첸 VSC
발론 에테미Valon EthemiВалoн Етеми1997년 10월 3일00이스탄불스포르
에니스 파즐라기크Enis FazlagikjЕнис Фазлагиќ2000년 3월 27일00비스와 크라쿠프
톰체 그로자노프스키Tomche GrozdanovskiТомче Гроздановски2000년 3월 14일00FC 비온 즐라테모라우체
FW9알렉산다르 트라이코프스키Aleksandar TrajkovskiАлександар Трајковски1992년 9월 5일7620알 파이하 FC
18도리안 바분스키Dorian BabunskiДориан Бабунски1996년 8월 29일00데브레첸 VSC
19밀란 리스토프스키Milan RistovskiМилан Ристовски1998년 4월 8일102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23보얀 미오프스키Bojan MiovskiБојан Миовски1999년 6월 24일60MTK 부다페스트 FC
[4]


5. 역대 전적[편집]



5.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합계-


5.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편집]


UEFA 유로 : 35위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독립 이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1976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년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조별리그23위0300328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
합계진출 1회0300328


5.3.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편집]


두 차례의 맞대결 기록이 있다. 1998년엔 차범근호의 유럽 원정의 일환으로 스코페 원정경기를 가졌고, 2000년엔 테헤란에서 열린 LG컵 친선대회에서 맞붙었다. 2001년 경기에서 박지성의 A매치 데뷔골이 터졌다. 당시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 대표팀으로 국제대회 성적이 일천한 팀이었으나, 그래도 유고 구성국의 짬밥이 있어, 1998년엔 2-2 무승부를, 2001년에는 1-2로 석패를 당하며 꽤 호락호락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왼쪽이 북마케도니아 대표팀이다.
날짜장소스코어북마케도니아 득점대한민국 득점비고
1998년 4월 18일스코페 스타디움 (북마케도니아)2:2
(0:1)
요르기 흐리스토프,
이고르 규젤로프
장형석,
최용수
친선경기
2000년 6월 7일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이란)1:2
(0:0)
아르팀 사키리최철우,
박지성
2000 LG컵
4개국 친선대회
총 전적2전 1무 1패


6. 연령별 대표팀[편집]



6.1. U-23 대표팀[편집]



6.1.1. 올림픽[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992년 대회부터 23세 이하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본선진출 없음0/9[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7:57에 나무위키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마케도니아어[2] 좋은 인성이나 거구임에도 동적인 플레이 스타일 등으로 인해 외국인임에도 많은 사랑을 받고 갔다.[3]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임대.[4] 2022년 5월 31일 기준.[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5] 올림픽 본선 출전 비율(1992년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