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케니언 도

덤프버전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국가원수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발데즈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띠네즈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엔히크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17px-Samuel_Kanyon_Doe.jpg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새뮤얼 케니언 도(Samuel Kanyon Doe, 1951년 5월 6일 ~ 1990년 9월 9일)

라이베리아의 독재자이자, 수십만 명의 라이베리아인이 살해되고 수많은 라이베리아인들을 난민으로 만든 라이베리아 내전의 원인이 된 인물이다. 그리고 동시에 역사상 가장 잔인한 최후를 맞은 독재자 중 하나로 항상 거론되는 인물이기도 하다.[1]


2. 생애[편집]


라이베리아의 21대 대통령으로 1980년 4월 12일 쿠데타를 일으켜 전임 대통령 윌리엄 톨버트사형시키고 라이베리아 아프리카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통령에 올랐던 인물이다.[2] 쿠데타 당시 계급은 육군 상사였으며, 그의 나이는 고작 만 28세였다.[3][4]

윌리엄 톨버트와 갈등이 많았던 그는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궁을 공격해서 대통령인 톨버트와 그의 지지자 26명을 처형하고, 뒤이어 10일 뒤인 1980년 4월 22일에는 이미 처형당한 전임 대통령 윌리엄 톨버트의 형이자 상원의장인 '프랭크 톨버트(Frank E. Tolbert)', 하원의장 '리차드 아브롬 헨리즈(Richard Abrom Henries)', 외무부 장관 '찰스 세실 데니스(Charles Cecil Dennis)' 등 톨버트 행정부 각료 13명을 공개적으로 사형시켰다.[5] 이와 함께 새뮤얼 도는 '민족구제위원회(People's Redemption Council)'라는 군부 통치기구를 세우고 헌법을 정지시켰으며,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해 딱 5년 간만 군사 통치를 한 뒤 1985년에 정권을 민간에 이양하기로 발표하면서 라이베리아의 지도자로 올랐다.[6] 그 후 친미 반공 정책을 펴면서 미국의 지지를 얻으면서 원조를 받아냈고 이를 바탕으로 어찌저찌 나라를 이끌고 갔으나, 정작 새뮤얼 도의 라이베리아 국내 권력 기반은 취약했다.

1981년부터 1985년까지 4년간 총 7차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며, 그는 이 시도들을 모두 진압하기는 했으나 갈수록 의심이 많아지면서 억압 통치를 펼쳤으며 이에 동반하여 국내 경제 역시 악화되면서 민심을 잃어갔다. 그러다가 결정적으로 민심을 잃은 계기가 바로 1985년 10월 15일에 실시한 대통령 선거였는데, 새뮤얼 도 본인이 약속했던 선거였으나 권력을 내려놓을 생각이 전혀 없던 그는 대규모 부정선거를 저질렀다. 하지만 부정선거를 행했음에도 50.9%라는 겨우 과반을 넘는 득표를 해서, 가까스로 대통령직에 당선됐다. 부정선거를 통해서 어떻게든 권력 유지에는 성공했으나 새뮤얼 도의 권력 기반은 여전히 불안했는데, 1985년 11월 12일에는 기오(Gio)족 출신으로 1980년 도의 쿠데타에 가담했던 '토머스 키옹파(Thomas Quiwonkpa)' 장군이 이끄는 기오족과 마노(Mano)족의 병사들이 도 정권에 반발하여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러나 이 쿠데타는 실패하여 키옹파 및 사무엘 도 정권에 반기를 든 기오족과 마노족의 일원들은 11월 15일 처형되었다.[7] 이제 믿을 사람이 없어진 새뮤얼 도는 1986년 1월 6일 대통령직에 취임한 이후 더더욱 강경한 강압 정책을 폈는데, 자신을 지지하지 않거나 반대하는 부족들을 잔인하게 공격하고 탄압함과 함께 본인 부족 출신 사람들만 요직에 앉히면서 대내적으로는 전반적인 민심을 잃었다. 이를테면 도는 대통령직에 취임한 직후, 자신의 출신부족인 크란(Krahn)족만으로 구성된 라이베리아군(AFL, Armed Forces of Liberia)을 기오족과 마노족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파병하여 쿠데타에 대한 보복으로 기오족과 마노족을 학살했는데 그 희생자만 약 3,000명 가량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탈냉전의 기조가 확대되면서 미국은 친미 반공을 내세우면서 막장 독재 정치를 펴는 새뮤얼 도에게 굳이 지지를 보낼 필요가 없어지게 됐기에 지지를 철회하고 라이베리아로의 원조를 줄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대외적인 새뮤얼 도의 정치적 기반을 약화시켰다.

1989년 12월 24일 찰스 테일러를 중심으로 규합한 반군 세력에 의해 내전이 발발하자 이미 민심을 잃은 상태였던 새뮤얼 도의 정권은 점점 수세에 몰리기 시작했고, 이에 정부군은 1990년 7월 29일에 발생한 '몬로비아 교회 학살 사건(Monrovia Church massacre)' 등을 일으키면서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이후 더 이상 버틸 힘을 잃어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이 사실상 새뮤얼 도를 포기해버렸고, 새뮤얼 도는 수도인 몬로비아를 포위한 반군에 맞서 대통령 관저에서 농성했지만 답이 없었다. 절망한 그는 주라이베리아 미국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1990년 8월 5일부터 미해병대에 의해 '샤프 엣지 작전'이 실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군은 이미 라이베리아에 와 있던 상황이었는데,[8] 새뮤얼 도는 미군이 자신의 안전보장만 해주면 곧바로 대통령직을 사임하겠다고 미대사관에 제안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이미 새뮤얼 도와 그의 정권을 버렸기에 그의 안전보장 따위에는 관심이 없었고, 그를 보호하기 위해 정치적 부담을 떠안을 의사는 더욱 없었기에 그의 요청은 거절당한다.

한편 갈수록 상황이 막장으로 치닫자, 이에 1990년 8월, ECOWAS[9]는 라이베리아에 국제합동군인 ECOMOG[10]을 파병하기로 결정한다.[11] 내전으로 인해 무너진 라이베리아 국내 질서를 회복시키고, 반군과 정부군 간의 휴전을 중재하며, 새뮤얼 도의 사임을 종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운명의 1990년 9월 9일, 수도 몬로비아에 ECOMOG가 세운 기지에 새뮤얼 도가 방문했다.[12] ECOMOG는 일종의 국제평화유지군인지라 수개 국가의 군대가 모였고, 군사 업무도 각국 군대가 교대로 행했는데 경비가 교대하는 동안의 혼잡한 틈을 타 자신의 부하였던 프린스 존슨이 설립한 INPEL[13]이 난입하여 새뮤얼 도의 경호병력과 ECOMOG를 제압하고 새뮤얼 도를 체포하여 INPEL의 진지로 압송했다.[14] 프린스 존슨이 기다리던 INPEL의 진지로 연행된 새뮤얼 도는 심각한 고문과 폭행을 당했다. 도는 존슨에게 필사적으로 대화하고 싶다고 애원했지만, 존슨은 그의 말을 들어주지 않고 부하에게 명령하여 12시간 동안 그의 귀와 발가락, 손가락을 잘라내는 가혹한 고문을 가했으며 그 후에 총살형에 처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모조리 녹화해 전세계에 공개하였다. 영상(성인인증 필요) 남은 시체는 머리가 삭발되고 담뱃불로 화상을 입은 채로 먼로비아 거리에 나체로 전시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베리아 문서 참고.


3. 기타[편집]


파일:새뮤얼 케니언 도의 방한 당시 우표.jpg
그가 방문했을 당시 발행된 우표
1982년 5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했다. 이때 서울대학교에서 명예 정치학 박사를 수여하기도 했는데, 도는 굉장히 자랑스러워했다고 하며[15] 이 이후 스스로를 '도 박사(Dr. Doe)'로 자칭했다고 한다. 당시 방한했을 때 유창순 국무총리와 만난 자리는 여기를 참고하고, 내한 및 국립묘지 참배는 여기를 참고하길 바란다.

파일:L$50.jpg
라이베리아 50달러 지폐의 인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라이베리아 문서의 r6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라이베리아 문서의 r6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18:29에 나무위키 새뮤얼 케니언 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사람 앞에선 차우세스쿠도 온건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도 역시 행적상 최악의 독재자로 평가받으므로 자업자득이며, 실제로 그를 추모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2] 새뮤얼 도 이전까지 라이베리아의 대통령은 모두 미국계 라이베리아인이었다.[3] 다만 케냐에서는 도의 쿠데타 2년 뒤인 1982년에는 일등병이 쿠데타를 일으키기도 했으며, 2000년에는 피지에서 무려 군 경력도 없는 일반인이 용병을 이끌고 쿠데타를 일으키기도 했다. 물론 둘 다 실패로 끝났다.[4] 도보다 더 젊은 나이에 권력을 잡은 지도자는 북한김정은(만 27세)와 아이티장클로드 뒤발리에(만 19세)도 있지만, 이들은 아버지(김정일/프랑수아 뒤발리에)의 권력을 세습받은 거라 자력으로 집권한 지도자 중에서는 사상 최연소 국가원수인 셈이다.[5] 처형된 톨버트 행정부 각료들은 제대로 된 재판도 없이 나체로 벗겨진 채 모욕당하며 수도 몬로비아를 행진해야 했으며, 행진이 끝난 후 해변에서 공개 총살됐다고 한다.[6] 라이베리아의 헌법이 정지된 상태이기에, 대통령직으로 지도자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니라 '민족구제위원회 의장(Chairman of the People's Redemption Council)' 자격으로 지도자 자리에 오른 것이다.[7] 토머스 키옹파 장군은 처형 당시 고작 만 30살이었다.[8] '샤프 엣지 작전(Operation Sharp Edge)'은 라이베리아 내전에 휘말린 미국 시민을 보호하고 대피시키기 위해 행해진 작전이었다.[9]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10]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모니터링 그룹,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Monitoring Group[11] 이 파병 결정에는 몬로비아 교회 학살 사건이 결정적이었다고 한다.[12] 새뮤얼 도가 어째서 이날 ECOMOG의 기지를 방문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3] 라이베리아 독립 애국 전선, Independent National Patriotic Front of Liberia[14] 이 제압 과정에서 새뮤얼 도의 경호병력 약 80명이 살해됐으나, ECOMOG의 인원은 INPEL의 지시에 잘 따랐기 때문에 그 누구도 다치지 않았다고 전한다.[15] 새뮤얼 도는 정규교육을 고등학교까지만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