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광주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구(광주광역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서구 갑(광주)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서구(광주광역시)/정치|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시청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서구 갑서구1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서구2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서구 을서구3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서구4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구의회(광주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예정)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1석, 구청장 소속 정당
]]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석
재적

13석



2. 지역 특징[편집]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이라는 광주광역시이지만, 서구는 15대부터 17대까지 연속으로 3선을 한 정동채 전 의원을 제외하면 지역구 의원이 계속 바뀌고 있다. 5.18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정상용이 재선을 했고 이후에 참여정부 때 문화관광부장관을 지낸 바 있는 정동채가 3선을 한게 최다선이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13대, 14대에 두 개였다가, 당시 서구 을에 해당되는 지역이 남구로 분리되면서 잠시 한 개로 줄었지만 인구 증가로 17대부터 다시 두 개 선거구로 늘어났다. 17대 총선때 서구 지역구가 분구되었을 때 정동채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인 염동연에게 갑 선거구를 내주고 자신은 을 선거구로 옮겨서 동반 당선된 경력이 있다. 이후 18대 총선 때 두 의원이 모두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갑 선거구는 참여정부때 국무조정실장을 지낸바 있는 조영택이 당선되었고 을 선거구는 참여정부때 농림부장관을 지낸바 있는 김영진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호남 물갈이론이 불거져서 민주당에서 두 의원을 모두 날려 버리고(...) 갑 선거구에 박혜자를 공천했으며 을 선거구는 야권 연대를 위해 통합진보당 오병윤에게 양보했다. 조영택 전 의원은 당의 결정에 반발해 탈당하여 박혜자와 맞대결을 펼쳤고 여기에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연설비서관을 역임한바 있는 정용화까지 출마하며 3파전이 벌어졌으나 결과는 손쉽게 박혜자의 승리. 을 선거구는 새누리당 이정현통합진보당 오병윤의 대결이 펼쳐졌는데 이정현이 새누리당 최초로 호남 지역구에서 당선되나 했지만 결국은 오병윤이 당선되었다. 사실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이정현 후보가 근소하게 앞선게 많기는 했지만 부동층이 너무 많아 선거 막판에 오병윤 후보로 쏠림 현상이 일어났다.

그러나 오병윤 전 의원은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 때 지역내의 민심을 잃었고, 2년 뒤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재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그리고 치러진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원래 자신의 홈그라운드였던 서구 갑에서 선거구를 옮긴 새정치민주연합 조영택 전 의원, 새누리당 정승, 새정연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정배 전 의원의 3파전이 펼쳐졌는데, 결과는 싱겁게 천정배 전 의원의 승리로 끝났다.

서구가 이렇게 선거 때마다 치열한 이유는 광산구와 더불어 젊은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이 삽질하면 바로 심판 모드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소속을 찍거나 국민의당을 밀어주는, 선거 유동성이 높은 지역구라고 할 수 있다. 구청장만 하더라도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제대로 공천 못해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지방선거에서는 과거 민주노동당이나 통합진보당이 구의원, 시의원을 찍기도 했다. 특이하게 참여정부 때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이병완이 서구의회 의원이 되기도 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서구 갑에서 국민의당 송기석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후보가 출마하면서 본의 아니게 종친회가 열렸다(...) 서구 을에서는 국민의당 공동 대표인 천정배 전 의원이 여유있는 표차로 당선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파면되는 역사적 사태가 일어났고, 그 때문에 재보궐선거로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60.76%를 얻어 경쟁상대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약 30% 격차로 누르고 더블스코어 1위를 차지했다. 모든 동에서 안철수와 최소 18%, 많게는 38% 격차를 보였다. 안철수는 양동에서만 40%를 넘겼을 뿐 유덕동, 치평동(=상무지구), 금호2동, 동천동에서는 30% 미만의 득표율로 주저앉으면서 2016년 국회의원 선거과는 반대의 결과를 냈다. 한편 기존에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항상 약세를 보여온 보수 정당 후보들은 더한 쓴맛을 보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광천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선 2~3%에 그쳤다. (서구 을 지역 한정이긴 하지만)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친박 계열의 이정현 후보가 4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하고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같은 당의 정승[1] 후보가 11%를 득표한 것과는 너무도 비교되는 결과였다.[2]

그로부터 1년 후에 서구 갑 지역구 의원인 송기석 전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치러진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2년 전에 송기석 후보와 종친 간 대결을 펼쳤던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동시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서구청장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서대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역대 서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서구 갑[3]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정상용 (초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정상용 (재선)
서구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정동채 (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동채 (재선)
서구 갑서구 을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염동연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정동채 (3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조영택 (초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진 (5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박혜자 (초선)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오병윤 (초선)[4]

[[무소속|
무소속
]]
천정배 (5선)[5]
20대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송기석 (초선)[6]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천정배 (6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갑석 (초선)[7]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갑석 (재선)
양향자 (초선)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역대 서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민주당무소속
이정일[8]김종식전주언[9]
2010 재보궐201420182022
무소속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김종식임우진서대석김이강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이정일 82.4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문영식 11.79%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이정일 100.00%[1]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종식 67.49%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상집 16.71%
2006년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전주언 43.16%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종식 36.70%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기수 11.06%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전주언 40.31%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옥 34.62%
3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서대석 10.96%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기수 10.68%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김종식 37.88%

2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서대석 35.38%
3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옥 24.03%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임우진 69.95%

2위:
[[무소속|
무소속
]]
신광조 23.70%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대석 66.61%

2위:
[[무소속|
무소속
]]
임우진 33.38%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이강 65.01%

2위: 서대석 34.98%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출신이다.[2] 이보다 훨씬 이전인 2008년에 치러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웃 선거구인 서구 갑에서 정용화11.14%를 득표한 적이 있기도 했다.[3] 현 서구 전지역.[4] 2014.12.19. 의원직 상실(통합진보당 해산 결정).[5] 2015.4.29. 재보궐선거.[6] 2018.2.8.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7] 2018.6.13. 재보궐선거.[8] 2002.4.4. 구청장직 사퇴(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9] 2010.8.23. 구청장직 사퇴(뇌물 수수로 구속).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광주광역시장[편집]


3.1.1.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영식(文英式)11,1522위
11.79%낙선
2이정일(李廷一)77,9741위
82.43%당선
3범진호(範進護)5,4573위
5.76%낙선
선거인 수148,678투표율
64.74%
투표 수96,250
무효표 수1,667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광주광역시장[편집]


3.1.2.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정일(李廷一)66,1701위[주의]
100%당선
선거인 수160,656투표율
43.53%
투표 수69,935
무효표 수3,765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광주광역시장[편집]


3.1.3.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필중(定必中)4,8914위
5.83%낙선
2김종식(金宗植)56,6161위
67.49%당선
3김상집(金相輯)14,0182위
16.71%낙선
4정영로(定英魯)8,3583위
9.96%낙선
선거인 수204,779투표율
41.74%
투표 수85,486
무효표 수1,603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광주광역시장[편집]


3.1.4.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식(金宗植)37,2972위
36.70%낙선
3전주언(全周彦)43,8311위
43.16%당선
4강기수(强氣數)11,2343위
11.06%낙선
6신현구(申鉉九)9,2064위
9.06%낙선
선거인 수221,034투표율
46.40%
투표 수102,573
무효표 수1,023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광주광역시장[편집]


3.1.5.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방수(河方數)3,8205위
3.40%낙선
2김선옥(金善玉)38,8602위
34.62%낙선
5강기수(强氣數)11,9974위
10.68%낙선
7서대석(徐大錫)12,3123위
10.96%낙선
8전주언(全周彦)45,2511위
40.31%당선
선거인 수222,260투표율
51.18%
투표 수113,764
무효표 수1,524

3.1.6. 2010년 재보궐선거[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선옥(金善玉)14,2353위
24.03%낙선
8서대석(徐大錫)20,9592위
35.38%낙선
9박금자(朴金子)1,5944위
2.69%낙선
10김종식(金宗植)22,4401위
37.88%당선
선거인 수225,485투표율
26.33%
투표 수59,386
무효표 수158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광주광역시장[편집]


3.1.7.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인현(林人鉉)8,8683위
6.33%낙선
2임우진(林宇鎭)97,8531위
69.95%당선
4신광조(信光調)33,1532위
23.70%낙선
선거인 수242,201투표율
58.71%
투표 수142,202
무효표 수2,328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광주광역시장[편집]


3.1.8.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대석(徐大錫)96,4411위
66.61%당선
6임우진(林宇鎭)[10]48,3422위
33.38%낙선
선거인 수247,275투표율
59.76%
투표 수147,795
무효표 수3,012

임우진 전 서구청장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서대석 후보한테 더블 스코어 차이로 패배해 재선에 실패했다.

3.1.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9.1. 광주광역시장[편집]

서구
서구 일원
정당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
득표수71,87315,5524,782
득표율74.60%16.14%4.90%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46,841
투표 수97,941
무효표 수1,601
투표율39.67%

8회 지선 서구 개표 결과
광주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1위/2위)
득표수
(득표율)
71,873
(74.60%)
15,552
(16.14%)
4,782
(4.90%)
+56,321
(▲58.46)
양동80.92%12.53%3.43%▲68.39
양3동79.49%11.94%4.31%▲67.55
농성1동77.83%14.66%3.96%▲63.17
농성2동77.46%14.25%4.34%▲63.21
광천동74.42%17.92%3.34%▲56.50
유덕동75.85%12.94%4.23%▲62.91
치평동73.09%17.54%4.61%▲55.55
상무1동74.84%15.57%4.41%▲59.27
상무2동76.70%14.07%4.82%▲62.63
화정1동77.21%14.66%4.02%▲62.55
화정2동73.86%18.00%4.81%▲55.86
화정3동74.80%16.69%4.94%▲58.11
화정4동74.32%17.32%5.12%▲57.00
서창동70.00%20.57%5.25%▲49.43
금호1동75.31%14.26%6.00%▲61.05
금호2동75.67%14.26%5.95%▲61.41
풍암동74.00%16.64%5.50%▲57.36
동천동75.13%14.62%5.08%▲60.51
후보강기정주기환장연주
거소·선상투표68.71%19.32%6.13%▲49.39
관외사전투표71.34%19.14%4.75%▲52.20

3.1.9.2. 서구청장[편집]

{+1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이강(金利剛)62,3041위
65.01%당선
4서대석(徐大錫)33,5222위
34.98%낙선
선거인 수246,841투표율
39.67%
투표 수97,938
무효표 수2,112

[광주광역시 서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무소속
]]
격차
후보김이강서대석
득표수
(득표율)
62,304
(65.01%)
33,522
(34.98%)
+28,782
(▲30.03)
양동
59.53%40.46%▲19.07
양3동
60.60%39.39%▲21.21
농성1동
61.34%38.65%▲22.69
농성2동
59.87%40.12%▲19.75
광천동
65.76%34.23%▲31.53
유덕동
65.18%34.81%▲30.37
치평동
65.61%34.38%▲31.23
상무1동
65.39%34.60%▲30.79
상무2동
63.27%36.72%▲26.55
화정1동
66.77%33.22%▲33.55
화정2동
65.60%34.39%▲31.21
화정3동
62.08%37.91%▲24.17
화정4동
63.17%36.82%▲26.35
서창동
57.65%42.34%▲15.31
금호1동
62.44%37.55%▲24.89
금호2동
65.87%34.12%▲31.75
풍암동
66.58%33.41%▲33.17
동천동
68.31%31.68%▲36.63
후보김이강서대석
거소·선상투표
73.83%26.16%▲47.67
관외사전투표
67.08%32.91%▲34.17


공천을 받지 못한 서대석 전 서구청장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더불어민주당 김이강 후보가 65.01% 득표율을 득표하며 더블 스코어에 가까운 격차로 낙승하였다.

3.2. 대통령 선거[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광주 서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5,648178,033
득표율8.06%91.7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39,898
투표 수194,600
무효표 수497
투표율81.12%

18대 대선 광주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648
(8.06%)
178,033
(91.72%)
-162,385
(▼83.66)
81.12%
양동10.30%89.56%▼79.2675.14
양3동5.88%93.84%87.9679.44
농성1동8.37%91.38%▼83.0175.75
농성2동9.32%90.36%▼81.0474.80
광천동8.75%91.04%▼82.2976.61
유덕동6.92%92.89%▼85.9782.92
치평동8.34%91.49%▼83.1583.58
상무1동7.87%91.96%▼84.0977.13
상무2동8.06%91.70%▼83.6476.33
화정1동8.05%91.73%▼83.6878.33
화정2동7.34%92.45%▼85.1180.65
화정3동8.90%90.95%▼82.0580.08
화정4동7.85%91.98%▼84.1382.65
서창동9.59%89.87%▼80.2877.78
금호1동7.26%92.61%▼85.3582.75
금호2동6.72%93.15%▼86.4385.87
풍암동8.26%91.54%▼83.2882.80
동천동6.56%93.27%▼86.7184.82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8.14%91.29%83.15
국내부재자투표12.95%86.27%▼73.32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광주 서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24,1833,18262,2184,6279,247
득표율60.76%1.55%30.44%2.26%4.52%
순위1위5위2위4위3위
선거인 수247,595
투표 수204,787
무효표 수432
투표율82.71%

19대 대선 광주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4,183
(60.76%)
3,182
(1.55%)
62,218
(30.44%)
4,627
(2.26%)
9,247
(4.52%)
+61,965
(△30.32)
82.71%
양동51.42%1.67%43.35%1.10%2.17%△8.0775.13
양3동59.54%1.25%32.99%1.92%3.70%△26.5579.60
농성1동55.56%1.71%37.09%1.48%3.77%△18.4773.71
농성2동55.08%1.78%36.45%1.95%4.40%△18.6375.01
광천동57.18%2.04%34.48%2.39%3.49%△22.7075.32
유덕동64.83%1.37%26.50%2.07%4.71%△38.3382.57
치평동62.65%1.53%28.74%2.42%4.31%△33.9182.99
상무1동60.42%1.62%30.74%2.16%4.69%△29.6875.98
상무2동56.69%1.85%35.06%1.97%3.98%△21.6374.93
화정1동58.60%1.56%32.31%2.25%4.76%△26.2976.88
화정2동60.60%1.56%31.05%2.09%4.37%△29.5583.81
화정3동56.44%1.83%35.83%1.80%3.80%△20.6179.30
화정4동58.05%1.86%33.72%1.98%4.0%△24.3382.30
서창동56.32%1.78%35.89%1.99%3.36%△20.4375.37
금호1동59.85%1.37%32.39%1.85%4.19%△27.4680.34
금호2동64.09%1.13%27.21%2.17%4.66%△36.8886.55
풍암동61.71%1.36%30.02%2.15%4.42%△31.6982.91
동천동65.01%1.29%26.95%1.93%4.34%38.0684.9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4.50%1.98%33.99%5.04%2.70%△20.51
관외사전투표63.29%1.73%24.94%3.46%6.09%△38.35
재외투표74.17%0.71%12.98%1.67%10.24%61.19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광주 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70,35726,262
득표율84.63%13.0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48,147
투표 수202,633
무효표 수1,355
투표율81.66%

제20대 대통령 선거 광주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70,357
(84.63%)
26,262
(13.04%)
144,095
(▲ 71.59)
양동
88.50%9.87%▲ 78.63
양3동
87.44%10.15%▲ 77.30
농성1동
85.45%12.51%▲ 72.94
농성2동
84.48%12.40%▲ 72.08
광천동
83.77%14.14%▲ 69.63
유덕동
86.64%11.03%▲ 75.62
치평동
83.16%14.43%▲ 68.73
상무1동
84.92%12.60%▲ 72.33
상무2동
85.82%12.06%▲ 73.77
화정1동
83.80%13.51%▲ 70.30
화정2동
83.77%14.22%▲ 69.55
화정3동
84.26%13.43%▲ 70.83
화정4동
84.99%12.77%▲ 72.21
서창동
85.96%11.86%▲ 74.10
금호1동
86.65%11.47%▲ 75.18
금호2동
87.56%10.58%▲ 76.98
풍암동
84.72%13.21%▲ 71.51
동천동
86.96%10.89%▲ 76.07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4.80%20.80%▲ 54.00
관외사전투표
81.36%15.72%▲ 65.64
국외부재자투표
82.47%13.29%▲ 69.1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서구 갑[11][A][12]84.78%12.90%▲ 71.88
서구 을[13][A][14]85.83%12.12%▲ 73.71

광주 서구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
동천마을 1단지87.40%9.42%▲65.51
종원팰리스빌86.93%11.22%▲65.51
내방마을 주공86.03%11.75%▲74.28
금호타운 4차85.28%12.80%▲72.48
현대81.41%14.95%▲66.46
마륵 한신휴플러스80.66%17.67%▲67.43
금호타운 2차79.59%16.37%▲73.92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3단지78.25%19.72%▲58.53
주은모아78.05%18.92%▲65.51
sk뷰79.74%18.87%▲65.51

제20대 대통령 선거 광주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70,357
(84.63%)
26,262
(13.04%)
144,095
(▲ 71.59)
양동
88.50%9.87%▲ 78.63
양3동
87.44%10.15%▲ 77.30
농성1동
85.45%12.51%▲ 72.94
농성2동
84.48%12.40%▲ 72.08
광천동
83.77%14.14%▲ 69.63
유덕동
86.64%11.03%▲ 75.62
치평동
83.16%14.43%▲ 68.73
상무1동
84.92%12.60%▲ 72.33
상무2동
85.82%12.06%▲ 73.77
화정1동
83.80%13.51%▲ 70.30
화정2동
83.77%14.22%▲ 69.55
화정3동
84.26%13.43%▲ 70.83
화정4동
84.99%12.77%▲ 72.21
서창동
85.96%11.86%▲ 74.10
금호1동
86.65%11.47%▲ 75.18
금호2동
87.56%10.58%▲ 76.98
풍암동
84.72%13.21%▲ 71.51
동천동
86.96%10.89%▲ 76.07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4.80%20.80%▲ 54.00
관외사전투표
81.36%15.72%▲ 65.64
국외부재자투표
82.47%13.29%▲ 69.1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서구 갑[15][A][16]84.78%12.90%▲ 71.88
서구 을[17][A][18]85.83%12.12%▲ 73.71

3.3. 국회의원 선거[편집]



3.3.1. 서구 갑 / 서구 을 (13대~14대)[편집]





3.3.2. 서구 (15대~16대)[편집]




3.3.3. 서구 갑 / 서구 을 (17대~현재)[편집]




21대 총선 서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서구 갑)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송갑석김명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285
(82.18%)
8,474
(10.05%)
+ 60,811
(△72.12)
85,304
(64.86%)
양동84.97%8.24%△76.7263.18%
양3동86.63%8.18%△78.4464.71%
농성1동84.05%10.14%△73.9157.06%
농성2동82.27%10.64%△71.6357.96%
광천동82.93%8.96%△73.9660.21%
유덕동82.82%10.02%△72.8064.70%
치평동80.06%11.65%△68.4062.38%
상무1동81.88%10.02%△71.8757.42%
화정1동81.68%9.89%△71.7957.72%
화정2동83.07%10.27%△72.8066.81%
동천동82.30%9.80%△72.5067.20%
후보송갑석김명진격차
거소·선상투표70.50%17.51%△53.00
관외사전투표81.86%8.90%△72.95
재외투표85.96%5.26%△77.19[19]
국회의원 선거 (서구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양향자천정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1,279
(75.83%)
15,754
(19.49%)
+ 45,525
(△56.34)
81,972
(67.62%)
상무2동77.37%18.34%△59.0356.52%
화정3동75.12%21.43%△53.6961.88%
화정4동72.59%23.56%△49.0468.53%
서창동74.87%20.41%△54.4662.31%
금호1동74.24%21.08%△53.1664.78%
금호2동77.55%17.46%△60.0869.09%
풍암동75.87%19.88%△55.9965.37%
후보양향자천정배격차
거소·선상투표62.04%29.56%△32.48
관외사전투표76.79%16.66%△60.12
재외투표86.79%9.43%△77.36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75
(3.36%)
98,185
(60.39%)
15,917
(9.79%)
8,081
(4.97%)
13,667
(8.40%)
+ 82,268
(△50.61)
167,278
(66.17%)
양동3.63%69.50%5.80%5.25%5.93%△63.5663.10%
양3동2.21% 67.41%7.50%4.05%7.37%△59.9264.71%
농성1동3.04%65.52%8.45%4.98%6.34%△57.0657.06%
농성2동3.54%62.74%7.99%3.62%7.32%△54.7557.96%
광천동3.68%62.75%7.69%5.54%7.60%△55.0660.24%
유덕동2.87%62.51%9.54%4.23%8.03%△52.9764.69%
치평동4.18%60.65%9.17%5.52%8.60%△51.4862.38%
상무1동3.31%60.16%9.67%5.37%8.96%△50.4957.41%
상무2동3.16%62.28%9.09%4.50%6.94%△53.1856.51%
화정1동3.94%62.29%7.96%4.78%7.87%△54.3257.72%
화정2동3.35%62.65%9.23%5.62%8.29%△53.4266.81%
화정3동3.65%60.59%8.58%5.20%7.60%△52.0161.88%
화정4동3.77%61.26%8.84%5.22%7.45%△52.4268.54%
서창동3.36%57.61%11.77%5.08%6.72%△45.8462.36%
금호1동3.03%59.53%10.46%5.01%7.57%△49.0764.81%
금호2동2.36%58.68%12.83%4.13%9.16%△45.8569.08%
풍암동3.57%59.12%10.68%5.18%9.26%△48.4465.37%
동천동2.85%62.28%10.13%5.04%8.21%△52.1567.20%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6.02%47.95%8.17%7.09%5.37%△39.78
관외사전투표3.55%55.57%10.38%4.82%10.19%△45.19
재외투표3.70%55.55%5.55%1.85%21.29%△34.26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10] 민주평화당·무소속 임우진 단일화 후보.[11] 서구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A] A B C D 관외투표 제외.[12] 지역구 국회의원 :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재선).[13] 서구 상무2동, 화정3동, 화정4동, 금호1동, 금호2동, 서창동, 풍암동.[14] 지역구 국회의원 : 양향자 (무소속, 초선).[15] 서구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16] 지역구 국회의원 :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재선).[17] 서구 상무2동, 화정3동, 화정4동, 금호1동, 금호2동, 서창동, 풍암동.[18] 지역구 국회의원 : 양향자 (무소속, 초선).[19]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주동식 후보(5표, 8.7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