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312 (r2판)

편집일시 :





파일:2312_5093.png


파일:DSCF5237.png

대원여객 차량.
북부운수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3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312_노선도.jpg

기점[1]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2]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4:30
막차[A]
00:20(평일) / 00:10(주말)
막차[A]
23:50(평일) / 00:00(주말)
평일배차
9~15분
주말배차
13~21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북부운수
인가대수
23대(예비 3대)[3][4][5]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7단지.강일고등학교 - 고덕리엔파크2.3단지(강일역) - 고덕자이 - 상일동근린공원 - 상일동주몽재활원 - 상일동빌라단지 - 길동자연생태공원 - 일자산입구 - 중앙보훈병원역 - 보훈병원 - 길동역 - 굽은다리역 - 명일역 - 구리암사대교 - 용마터널 - 사가정역 - 홈플러스면목점 - 면목5동주민센터 - 면목2동 - 상봉역.중랑우체국 - 망우역.상봉터미널 - 중랑구청사거리 - 서울의료원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2. 개요[편집]


대원여객, 북부운수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15년 4월 6일부로 2대가 증차되었다.[6]

  • 2015년 11월 7일부터 2대가 추가로 증차되었다.[7]

  • 2016년 1월 1일부로 8331번이 폐선되면서 1대가 증차되었다.

  • 2017년 8월 18일에 신내3지구 노선조정 영향으로 메트로버스 차량 4대가 전부 2227번 증차를 위해 넘어가면서 공동 배차에서 철수했다. 대신 북부운수 차량이 4대 증차되었다.

  • 2018년 6월 25일에 2312B(강동공영차고지 기점)에서 서울승합이 공동배차에서 철수하고[8], 대원여객에서 4대가 증차되었다. 당초 6월 11일에 변경 될 예정이었으나 준비문제로 연기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18년 8월 16일에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편되면서 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8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강동구 주민들의 9호선 접근성 개선을 목적으로, 2019년 7월 22일에 강동자이아파트/둔촌2동주민센터 대신 중앙보훈병원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다만, 노선 길이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운행 소요시간이 170분에서 185분으로 늘어나는 반면 운행 댓수는 그대로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6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에도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2019년 8월 중 일자미상으로 TOPIS 데이터 상의 기종점이 정반대로 바뀌었다.(중랑 기점, 강동 종점 → 강동 기점, 중랑 종점) 다만, 업체별로 기점이 다른 것은 여전히 유효하므로, 실 운행 상의 변동사항은 없다.

  • 2019년 10월 7일을 기해 노선변경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배차간격 불편 민원의 해소를 목적으로, 2312B번에 108번 출신 단축운행차량 2대가 증차되었고,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6회 증회되면서 2312B번에 한해 본래 11~15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이 10~20분으로 조정되었다. 또한 2312B번에 한해 본래 04:30/22:50이던 강동공영차고지 첫막차시각도 04:20/22:40으로 10분씩 앞당겨졌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23일을 기해 2312B번의 강동공영차고지 첫막차시각이 04:30/22:50으로 환원되었고,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 감회되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2312A번의 평일 배차간격도 2312B번과 동일한 10~20분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0년 2월 1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고, 그와 동시에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회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회 증회되었다.[9]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배차간격도 2312B번에 한해 평일 10~18분 간격, 토요일/공휴일 15~21분 간격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5월 1일을 기해 B노선에 예비차 1대가 증차되었다. 다만 비투입 예비차 증차이므로, 운행횟수에는 변동이 없다. 관련 공문

  • 2020년 6월 30일을 기해 강동첨단업무단지 경유에서 상일근린공원 경유로 변경되었고, A/B노선의 각 기점 막차시각이 22:4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그리고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85분에서 180분으로 줄어들고, B노선에 2대가 증차되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2대씩 증편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10회씩 증회되었다. 또한 B노선의 경우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배차간격은 10~18분에서 8~15분으로,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10~21분에서 10~18분으로 줄어들었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2020년 7월 21일을 기해 A/B노선의 각 기점 막차시각이 22:20으로 앞당겨졌다. 그리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5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8~15분이던 B노선의 평일 배차간격이 9~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8월 2일을 기해 대원여객 측에서 108번 폐선분 2대와 5624번 감차분 2대가 넘어옴과 동시에 북부운수 측 차량이 2대 감차되었고[10], 대원여객이 108 폐선분 2대 + 5624 감차분 2대 + 2312B(강동차고지 출발) 3대를 2312A(중랑차고지 출발)로 보내 운행하기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2대가 증차되었고, 다음과 같은 운행계통 변화가 생겼다.관련 공문
    [ 8월 2일 운행계통 변경내용 펼치기 / 접기 ]
    -
    2312A(중랑발)
    2312B(강동발)
    평일 막차시간
    22:20
    →22:50
    변동 없음
    토요일, 공휴일
    막차시간
    22:20
    →22:40
    22:20
    →22:30
    평일, 토요일
    운행횟수
    38회→63회
    (+25회)
    52회→38회
    (-14회)
    공휴일 운행횟수
    29회→43회
    (+14회)
    38회→29회
    (-9회)
    평일, 토요일
    배차간격
    10~18분
    →9~15분
    9~16분
    →11~15분
    공휴일 배차간격
    10~21분
    →13~19분
    10~18분
    →15~21분


4. 특징[편집]



  • 541번, 9401번과 더불어 운행 도중 통행료를 내는 단 셋뿐인 노선이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이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다음으로 전 차량 하이패스 OBU가 장착되어 있으며, 용마터널 통행료로 중형차량 요금인 2,600원이 자동 지불된다. 개통 초기엔 일부 차량에 아직 단말기가 설치되지 않았는지 요금소에서 에러 메시지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당연히 해결된 상태이다.[11]

  • 특이하게 업체에 따라 기종점이 서로 다르다.[12] 또한 종점이라 하더라도 바로 회차하지 않고, 차고지 안에서 몇 분 대기한 후 다시 나오므로 주의. KD차의 경우에는 중랑차고지에서 강동차고지로 가기 전 수 분간 대기하지만, 주박은 아예 하지 않으며 단지 회차 겸 배차 조절 용도이다. 북부운수 차량도 마찬가지로 강동차고지는 회차용도로만 사용할 뿐이다.

  • 심야버스를 제외하면 기점 첫/막차와 종점 첫/막차가 동일한 몇 안되는 노선이다. 다른 사례는 774번, 1213번, 4318번이 있다.

  • 배차간격의 편차가 꽤 큰 편이다. 보통 1~2분 정도 차이나는게 정상이지만 2312번은 4~5분씩 늦는다. 그 이유는 무정차 구간(용마터널, 구리암사대교)에서 발생하는 교통 변수이다. 중앙보훈병원역 추가 경유 이후로는 시간대에 따라 2311번, 201번 못지 않게 체감 배차가 길어질 때가 있다.

  • 약수터 → 예닮요양병원 구간에서는 길동사거리로 이어지는 인가된 경로를 벗어나 양병원과 달려라병원 사이에 있는 왕복 2차선 사잇길 쪽으로 직진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13] 길동사거리의 정체가 극심할 경우에만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예외적으로 이 길로 간다.

  • 2311번이 중랑구와 송파구를 잇는 노선이면, 2312번은 중랑구와 강동구를 잇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 중랑구청사거리 - 사가정역 이동 시에는 2015번, 2230번을 타는 것이 좀 더 빠르다. 특히 2230번은 어느 방향에서 타든 사가정역까지는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홈플러스면목점 - 엔터식스 구간은 2015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나, 운행방향이 서로 다르다.

  • A/B 노선 차량 구분은 4318번과 달리 차내 노선도가 아닌, 후면 노선번호 스티커로 가능하다.[14] 동일 노선이라도 2312A/2312B 간 환승이 가능하니 참고. 관련 게시물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312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979명
-
2015년
5,202명
△ 3,223
2016년
7,368명
△ 2,166
2017년
8,292명
△ 924
2018년
8,366명
△ 74
2019년
8,560명
△ 194
2020년
7,276명
▽ 1,284
2021년
7,661명
△ 385
※ 하차 인원 미포함

  • 신설 당시 우려와 달리 현재는 자리가 잡혀 승객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명일역, 굽은다리역, 길동역, 상일동역[15], 강일역[16]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사가정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망우역, 상봉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신내역, 망우역, 상봉역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이음, ITX-청춘[17])


[1] 대원여객(2312B) 출발점[2] 북부운수, 대원여객(2312A) 출발점[A] A B 교통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3] 북부운수 6대(2312A 6대) / 대원여객 17대(2312A 7대 + 2312B 10대)(예비 2대)[4] 대원여객 예비차 중 1대는 본 노선(A, B공동 사용)과 01A/B, 3323번 세 노선 공동 사용, 또 다른 1대는 2416번과 공동사용. 북부운수는 본 노선 소속 예비차 인가 없이 2311번 예비차 공동 사용.[5] 토요일 / 공휴일 15대(대원여객 총 11대 (A노선 5대, B노선 6대), 북부운수 4대) 운행.[6] 107번에서 1대, 272번에서 1대씩 감차하여 증차했다.[7] 273번과 3411번에서 감차하여 증차했다.[8] 공동배차 철수 후 투입 노선은 3318번에 1대, 3321번에 2대, 3411번에 1대.[9] 본래 1월 17일을 기해 운행횟수 증회만 실행될 예정이었으나, 시행 일자가 재조정되고 예비차 감차가 추가되었다.[10] 북부운수 감차분은 262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11]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중 하이패스 OBU를 장착한 노선은 9401번이다. 간선버스는 541번.[12] 북부운수는 신내동, 대원여객은 강일동과 신내동 동시 사용. 비슷한 사례는 4318번심야버스들(N30번 제외)이 해당된다.[13] 예닮요양병원 정류장으로 가는 건 똑같다.[14] 오히려 이 행선판 덕분에 구분하기 더 쉬워졌으며, blu를 부착했던 시절에는 A/B 표시를 하지 않았다.[15] 고덕천교차로 정류장 하차 후 도보 3분.[16] (중랑 방면 한정)고덕리엔파크 2,3단지 하차.[17] 평일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