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덤프버전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독일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국가원수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발데즈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띠네즈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엔히크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 제7대 대통령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عبد العزيز بوتفليقة
파일:12730_6045_1358.jpg
국적파일:프랑스령 모로코 국기.png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출생1937년 3월 2일
파일:프랑스령 모로코 국기.png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우지다[1]
사망2021년 9월 17일 (향년 84세)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알제
직업정치인
신장159cm
경력알제리 외무부 장관 (1963년 – 1979년)
유엔 총회 의장 (1974년 9월 17일 – 1975년 9월 15일)
알제리 대통령 (1999년 4월 27일 – 2019년 4월 2일)
알제리 국방부 장관 (2003년 5월 5일 – 2019년 4월 2일)
민족해방전선 위원장 (2005년 1월 28일 – 2021년 9월 17일)
정당민족해방전선
종교이슬람

1. 개요
2. 독재자
3. 기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랍어: عبد العزيز بوتفليقة / 영어: Abdelaziz Bouteflika

1937년 3월 2일 출생. 모로코에서 출생했으며, 1999년부터 2019년까지 20여년 간 알제리를 통치한 독재자이다.


2. 독재자[편집]


1999년, 알제리 前 대통령인 리아만 제루알이 알제리 군부의 압박으로 사임했고 이후에 실시된 알제리 대통령 선거에서 74%로 당선되었다. 부테플리카 당선에는 알제리 군부가 배후에 있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에도 2004년에 당선되었는데 2008년 개헌으로 사실상 종신대통령이 되면서 임기를 늘리고 독재자의 싹수를 보였다. 2009년 선거에서도 90%대의 압도적인 표로 당선된데 이어서 아랍의 봄 당시 튀니지를 중심으로 아랍 민주화 운동이 발생해서 위기가 올 뻔 했지만 넘어갔고 2014년 선거에서도 재선되었다. 그러나 절대권력은 영원하지 않았는데 임기 말에 뇌졸중으로 여러 차례 쓰러져 수술을 받았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의 회담에서 허공에 말을 하는 등의 이상 증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부테플리카는 5선 출마를 감행하려 했는데, 이미 부테플리카 정권 3기부터 알제리 경제는 나빠져서 알제리 국민들은 부테플리카의 출마를 지지하지 않았고 부테플리카의 5선 출마에 대해 군부랑 국민들의 감정이 나빠지자 2019년 2월 11월 출마를 포기했다.

그의 오랜 장기집권과 경제난에 알제리 국민들은 2019년 2월부터 지속적으로 부테플리카의 사직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고, 부테플리카에게 등 돌린 군부도 부테플리카의 임기가 끝나는 2019년 4월 28일 이전까지 대통령직 사퇴를 압박/종용했다. 결과적으로 4월 28일보다 빠른 현지시간 4월 2일 부테플리카는 대통령직에서 자진 사임했다.

퇴임 후 알제 서부의 한 주택에서 머물다가 2021년 9월 17일에는 노환으로 사망했다.

3. 기타[편집]


부테플리카 시기에도 살라피스트 반군과의 교전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약 10만명 ~ 15만명의 알제리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부테플리카가 재임 초에 먼저한게 반군 잔당에 대한 강경 토벌이었다.#

임기 말에 별명은 슈뢰딩거의 고양이. 임기 말에 지지를 잃은 데다가, 뇌졸중 수술을 받고 휠체어 거동을 하게 되었는데 죽으면서 살아있고 살아있으면서 죽어있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임기 중반기인 2011년부터 퇴진 운동이 시작되었고, 2012년 총선과 2017년에 알제리 총선 투표율이 각각 42%, 38%로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컸다.

알제리의 청년 실업률은 30%를 넘어가는 상황이고, 높은 물가랑 정부 불신으로 젊은 층들의 정치 참여 역시 저조한 상황으로 이는 현재에도 지속 중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5:17:44에 나무위키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우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