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583 (r2판)

편집일시 :

>
인천광역시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fff 공항
ㆍ[[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마을]]


파일:인천583임시.png
파일:인천583그린시티.jpg
장기동까지 운행하던 시절.2020년 개편 이후.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58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인천광역시 계양구 목상동(갈현교)종점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부평역)
종점
첫차05:30기점
첫차05:30
막차23:00막차23:10
평일배차17~20분주말배차토요일 20~24분 / 공휴일 23~29분
운수사명태양여객인가대수7대[1]
노선갈현교 - 목상교차로 - 목상동(새봄농원입구) - 청룡정 - 다남동역골입구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계양산전통시장 - 왕궁가든 - 계산국민체육센터 - 한국아파트 - 작전초등학교 - 계양새마을금고 - 북인천세무서 - 작전동삼성홈플러스 - 갈산역 - 부평구청역 - 백마장입구 → 부평시장역부평역 → 부평시장(가구의거리) → 백마장입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태양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7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북구(계양구) 3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봉오대로 개통 전에는 봉오대로743번길과 봉오대로744번길을 직진해서 다녔다.

  • 2002년 2월 1일에 지선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가 58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 4월 27일부터 2012년 6월 11일까지 청라국제도시 - 강서BRT 시범사업에 따라 까치말사거리에서 유턴이 금지되면서 계산동 방향 한정으로 신진아파트 대신 광명아파트(장제로)로 우회하였다.

  • 2012년 5월 24일부터 2013년 4월 11일까지 청라국제도시 - 강서BRT 시범사업에 따라 동작전사거리에서 유턴이 금지되면서 부평역 방향 한정으로 작전역에서 유턴했다.

  • 2012년 6월 12일부터 2013년 4월 11일까지 청라국제도시 - 강서BRT 시범사업에 따라 효서로 일부 구간에 하수관거 정비공사가 실시되면서 계산동 방향 한정으로 이마트 계양점 앞에서 유턴했다. 또한 다시 광명아파트 대신 신진아파트 정차로 변경되었다.

  • 2013년 4월 12일부터 부평역 방향은 작전역으로 가기 직전에 유턴하게 되었으며, 계산동 방향은 신진아파트 대신 광명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3년 9월 9일에 계산동 방향이 다시 광명아파트 대신 신진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으며, 이마트 계양점 앞에서 유턴하게 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성베드로병원 - 계산 현대 1차 - 계양대로' 구간이 삭제되고, 작전역에서 출발하여 안남고, 동보2차 정류장을 거쳐서 기존 581번이 다니던 길을 따라 계산역으로 올라간 다음 그 후로는 인천1호선과 나란히 계양역까지 간다음에 75번이 다니던 다남동, 목상동 길가를 지나 아라뱃길을 건너 갈현교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다시 바뀌었다.

  • 2017년 4월 15일에 '작전역 - 안남고 - 동보아파트' 구간이 단축되고, '부평역 - (→ 시장로터리 → 가구의 거리 →) - 백마장 입구 - 부평구청역 - 갈산역 - 부평정수장 - 작전 홈플러스 - 북인천세무서 - 작전초교' 구간이 연장되었다. 사실상 2016년 개편 이전으로 환원된 셈이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노선이 길어져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581번에서 1대를 가지고 왔다.

  • 2017년 5월 20일에 '갈현교 - 장기동' 구간이 연장되었다. 회차는 계양대교 밑에서 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장기동 - 갈현교 구간이 단축되었고 기종점이 서로 뒤바뀌었다. 운행거리 단축으로 배차간격이 17~20분으로 줄어들었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2016년 개편 당시 계양구권 노선 변경 가운데 개악으로 꼽히는 노선이었다. 대개편 이전에는 준수한 수요를 보이던 노선이었으나 부평역 구간이 단축된 2016년부터 2017년 4월 14일까지 수요가 대폭 감소하였다. 인천광역시도 이 점을 인지하여 2017년 노선 조정으로 부평역 경유로 환원했으나, 배차간격이 많이 길어져서 이전만큼의 수요가 많지 않다.

  • 기존에 부평역 - 계양역 구간을 오가는 방법은 간선버스를 이용하거나 인천 1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노선이 부평역까지 연장되면서 부평역과 계양역을 저렴하게 오갈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2]

  • 북인천세무서~병방사거리구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2001년 폐선된 (구)태건여객 71번 마을버스를 완벽하게 대체하고 있다.[3]

  • 배차간격이 평일 기준 17~20분으로 꽤 긴 편이다.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배차를 미리 확인하고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기사 교대를 기종점이 아닌 중간정류장인 계양새마을금고에서 한다.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6대 / 공휴일 5대 운행.[2] 부평역-계양역 구간을 전부 경유하는 노선으로 30번이, 계산역-계양역 구간엔 김포 81번이 그리고 임학역-계양역 구간엔 급행97번도 있다.[3] 71번 마을버스는 당시 유현사거리~부평역 구간을 운행하다가 1999년 지하철 개통 후 작전역으로 단축되어 운행하다가 2001년말 폐선된 노선이며 583번과 달리 계산역,경인교대입구역을 경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