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목 생물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육조류 생물 목록

1. 개요
2. 분류 불명
3. 뉴질랜드굴뚝새아목(Acanthisitti)
4. 에우파스세레스(Eupasseres)
4.1. 산적딱새아목(Tyranni)
4.1.1. 구대륙산적딱새하목(Eurylaimides)[1]
4.1.1.1. 넓적부리새상과(Eurylaimoidea)
4.1.1.1.1. 눈매팔색조과(Philepittidae)
4.1.1.1.2. 넓적부리새과(Eurylaimidae)
4.1.1.1.3. 푸른넓적부리새과(Calyptomenidae)
4.1.1.1.4. 사파요아과(Sapayoidae)
4.1.2. 신대륙산적딱새하목(Tyrannides)
4.1.2.1. 화덕딱새소목(Furnariida)
4.1.2.1.1. 초승달가슴새과(Melanopareiidae)
4.1.2.1.2. 모기잡이새과(Conopophagidae)
4.1.2.1.3. 개미새과(Thamnophilidae)
4.1.2.1.4. 땅개미새과(Grallariidae)
4.1.2.1.5. 꼬리세움새과(Rhinocryptidae)
4.1.2.1.6.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
4.1.2.1.7. 화덕딱새과(Furnariidae)
4.1.2.2. 산적딱새소목(Tyrannida)
4.1.2.2.1. 무희새과(Pipridae)[2]
4.1.2.2.2. 장식새과(Cotingidae)
4.1.2.2.3. 타이티라새과(Tityridae)
4.1.2.2.4. 산적딱새과(Tyrannidae)
4.2. 참새아목(Passeri)
4.2.1. 덤불새과(Atrichornithidae)
4.2.2. 금조과(Menuridae)
4.2.3. 나무타기과(Climacteridae)
4.2.5.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
4.2.5.1. 요정굴뚝새과(Maluridae)
4.2.5.2. 수염솔새과(Dasyornithidae)
4.2.5.3. 보석새과(Pardalotidae)
4.2.5.4. 호주솔새과(Acanthizidae)
4.2.5.5. 꿀빨기새과(Meliphagidae)
4.2.5.6. 호주꼬리치레과(Pomatostomidae)
4.2.5.7. 나무달리기딱새과(Orthonychidae)
4.2.6. 까마귀하목(Corvides)
4.2.6.1. 메추리꼬리치레과(Cinclosomatidae)
4.2.6.2. 할미새사촌과(Campephagidae)
4.2.6.3. 모후아과(Mohouidae)
4.2.6.4. 호주동고비과(Neosittidae)
4.2.6.5. 꾀꼬리상과(Orioloidea)
4.2.6.5.1. 채찍새과(Psophodidae)
4.2.6.5.2. 늘어진살플러우빌과(Eulacestomatidae)
4.2.6.5.3. 때까치박새과(Falcunculidae)
4.2.6.5.4. 뿔종꿀빨기새과(Oreoicidae)
4.2.6.5.5. 얼룩베리쪼기새과(Paramythiidae)
4.2.6.5.6. 비레오새과(Vireonidae)
4.2.6.5.7. 때까치딱새과(Pachycephalidae)
4.2.6.5.8. 꾀꼬리과(Oriolidae)
4.2.6.6. 덤불때까치상과(Malaconotoidea)
4.2.6.6.1. 보트부리새과(Machaerirhynchidae)
4.2.6.6.2. 숲제비과(Artamidae)
4.2.6.6.3. 얼룩베리사냥꾼새과(Rhagologidae)
4.2.6.6.4. 덤불때까치과(Malaconotidae)
4.2.6.6.5. 보르네오때까치과(Pityriaseidae)
4.2.6.6.6. 안경딱새과(Platysteiridae)
4.2.6.6.7. 큰부리때까치과(Vangidae)
4.2.6.6.8. 큰나뭇잎새과(Aegithinidae)
4.2.6.7. 까마귀상과(Corvoidea)
4.2.6.7.1. 부채꼬리딱새과(Rhipiduridae)
4.2.6.7.2. 바람까마귀과(Dicruridae)
4.2.6.7.3. 까치딱새과(Monarchidae)
4.2.6.7.4. 이프리트과(Ifritidae)(☠)
4.2.6.7.6. 호주흙둥지새과(Corcoracidae)
4.2.6.7.7. 멜람피타과(Melampittidae)
4.2.6.7.8. 때까치과(Laniidae)
4.2.6.7.9. 볏어치때까치과(Platylophidae)
4.2.6.7.10. 까마귀과(Corvidae)
4.2.7. 참새하목(Passerides)
4.2.7.1. 사틴극락조과(Cnemophilidae)
4.2.7.2. 멜라노카리스과(Melanocharitidae)
4.2.7.3. 아랫볏찌르레기과(Callaeidae)
4.2.7.4. 스티치새과(Notiomystidae)
4.2.7.5. 호주울새과(Petroicidae)
4.2.7.6. 뜸부기꼬리치레과(Eupetidae)
4.2.7.7. 바위새과(Picathartidae)
4.2.7.8. 바위뛰기새과(Chaetopidae)
4.2.7.9. 흰턱딱새소목(Sylviida)
4.2.7.9.1. 힐리오타과(Hyliotidae)
4.2.7.9.2. 요정솔딱새과(Stenostiridae)
4.2.7.9.4. 스윈호오목눈이과(Remizidae)
4.2.7.9.5. 수염오목눈이과(Panuridae)
4.2.7.9.6. 종다리과(Alaudidae)
4.2.7.9.7. 니카토르과(Nicatoridae)
4.2.7.9.8. 아프리카솔새과(Macrosphenidae)
4.2.7.9.9. 개개비사촌과(Cisticolidae)
4.2.7.9.10. 섬개개비상과(Locustelloidea)
4.2.7.9.11. 흰턱딱새상과(Sylvioidea)
4.2.7.9.12. 오목눈이상과(Aegithaloidea)
4.2.7.10. 딱새소목(Muscicapida)
4.2.7.10.1. 여새상과(Bombycilloidea)
4.2.7.10.2. 딱새상과(Muscicapoidea)
4.2.7.10.3. 나무발바리상과(Certhioidea)
4.2.7.11. 참새소목(Passerida)[3]
4.2.7.11.1. 멧새상과(Emberizoidea)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멸종했다는 뜻.
※ S = 여름 철새, W = 겨울 철새, P = 나그네새
※ S/R, W/R = 일부 텃새화된 철새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독을 가진 종류.


1. 개요[편집]


  • 전체 조류 중 반 이상이 참새목에 속하며 과 수만 100개가 넘고 종 수도 6000종이 넘는다. 발가락 4개 중 3개는 앞으로, 1개는 뒤로 나있어 '나뭇가지에 앉는 새'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분류 불명[편집]



3. 뉴질랜드굴뚝새아목(Acanthisitti)[편집]



3.1. 뉴질랜드굴뚝새과(Acanthisittidae)[편집]



4. 에우파스세레스(Eupasseres)[편집]



4.1. 산적딱새아목(Tyranni)[편집]



4.1.1. 구대륙산적딱새하목(Eurylaimides)[4][편집]



4.1.1.1. 넓적부리새상과(Eurylaimoidea)[편집]


4.1.1.1.1. 눈매팔색조과(Philepittidae)[편집]


4.1.1.1.2. 넓적부리새과(Eurylaimidae)[편집]


4.1.1.1.3. 푸른넓적부리새과(Calyptomenidae)[편집]


4.1.1.1.4. 사파요아과(Sapayoidae)[편집]


4.1.1.1.5. 팔색조과(Pittidae)[편집]


4.1.2. 신대륙산적딱새하목(Tyrannides)[편집]



4.1.2.1. 화덕딱새소목(Furnariida)[편집]


4.1.2.1.1. 초승달가슴새과(Melanopareiidae)[편집]


4.1.2.1.2. 모기잡이새과(Conopophagidae)[편집]


4.1.2.1.3. 개미새과(Thamnophilidae)[편집]


4.1.2.1.4. 땅개미새과(Grallariidae)[편집]


4.1.2.1.5. 꼬리세움새과(Rhinocryptidae)[편집]


4.1.2.1.6.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편집]


4.1.2.1.7. 화덕딱새과(Furnariidae)[편집]


4.1.2.2. 산적딱새소목(Tyrannida)[편집]


4.1.2.2.1. 무희새과(Pipridae)[5][편집]


4.1.2.2.2. 장식새과(Cotingidae)[편집]


4.1.2.2.3. 타이티라새과(Tityridae)[편집]


4.1.2.2.4. 산적딱새과(Tyrannidae)[편집]


4.2. 참새아목(Passeri)[편집]



4.2.1. 덤불새과(Atrichornithidae)[편집]



4.2.2. 금조과(Menuridae)[편집]



4.2.3. 나무타기과(Climacteridae)[편집]



4.2.4. 바우어새과(Climacteridae)[편집]



4.2.5.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편집]



4.2.5.1. 요정굴뚝새과(Maluridae)[편집]


4.2.5.2. 수염솔새과(Dasyornithidae)[편집]


4.2.5.3. 보석새과(Pardalotidae)[편집]


4.2.5.4. 호주솔새과(Acanthizidae)[편집]


4.2.5.5. 꿀빨기새과(Meliphagidae)[편집]


4.2.5.6. 호주꼬리치레과(Pomatostomidae)[편집]


4.2.5.7. 나무달리기딱새과(Orthonychidae)[편집]


4.2.6. 까마귀하목(Corvides)[편집]



4.2.6.1. 메추리꼬리치레과(Cinclosomatidae)[편집]


4.2.6.2. 할미새사촌과(Campephagidae)[편집]


4.2.6.3. 모후아과(Mohouidae)[편집]


4.2.6.4. 호주동고비과(Neosittidae)[편집]


4.2.6.5. 꾀꼬리상과(Orioloidea)[편집]


4.2.6.5.1. 채찍새과(Psophodidae)[편집]


4.2.6.5.2. 늘어진살플러우빌과(Eulacestomatidae)[편집]


4.2.6.5.3. 때까치박새과(Falcunculidae)[편집]


4.2.6.5.4. 뿔종꿀빨기새과(Oreoicidae)[편집]


4.2.6.5.5. 얼룩베리쪼기새과(Paramythiidae)[편집]


4.2.6.5.6. 비레오새과(Vireonidae)[편집]


4.2.6.5.7. 때까치딱새과(Pachycephalidae)[편집]


4.2.6.5.8. 꾀꼬리과(Oriolidae)[편집]


4.2.6.6. 덤불때까치상과(Malaconotoidea)[편집]


4.2.6.6.1. 보트부리새과(Machaerirhynchidae)[편집]


4.2.6.6.2. 숲제비과(Artamidae)[편집]


4.2.6.6.3. 얼룩베리사냥꾼새과(Rhagologidae)[편집]


4.2.6.6.4. 덤불때까치과(Malaconotidae)[편집]


4.2.6.6.5. 보르네오때까치과(Pityriaseidae)[편집]


4.2.6.6.6. 안경딱새과(Platysteiridae)[편집]


4.2.6.6.7. 큰부리때까치과(Vangidae)[편집]


4.2.6.6.8. 큰나뭇잎새과(Aegithinidae)[편집]


4.2.6.7. 까마귀상과(Corvoidea)[편집]


4.2.6.7.1. 부채꼬리딱새과(Rhipiduridae)[편집]


4.2.6.7.2. 바람까마귀과(Dicruridae)[편집]


4.2.6.7.3. 까치딱새과(Monarchidae)[편집]


4.2.6.7.4. 이프리트과(Ifritidae)(☠)[편집]


4.2.6.7.5. 극락조과(Paradisaeidae)[편집]


4.2.6.7.6. 호주흙둥지새과(Corcoracidae)[편집]


4.2.6.7.7. 멜람피타과(Melampittidae)[편집]


4.2.6.7.8. 때까치과(Laniidae)[편집]


4.2.6.7.9. 볏어치때까치과(Platylophidae)[편집]


4.2.6.7.10. 까마귀과(Corvidae)[편집]


4.2.7. 참새하목(Passerides)[편집]



4.2.7.1. 사틴극락조과(Cnemophilidae)[편집]


4.2.7.2. 멜라노카리스과(Melanocharitidae)[편집]


4.2.7.3. 아랫볏찌르레기과(Callaeidae)[편집]


4.2.7.4. 스티치새과(Notiomystidae)[편집]


4.2.7.5. 호주울새과(Petroicidae)[편집]


4.2.7.6. 뜸부기꼬리치레과(Eupetidae)[편집]


4.2.7.7. 바위새과(Picathartidae)[편집]


4.2.7.8. 바위뛰기새과(Chaetopidae)[편집]


4.2.7.9. 흰턱딱새소목(Sylviida)[편집]


4.2.7.9.1. 힐리오타과(Hyliotidae)[편집]


4.2.7.9.2. 요정솔딱새과(Stenostiridae)[편집]


4.2.7.9.3. 박새과(Paridae)[편집]


4.2.7.9.4. 스윈호오목눈이과(Remizidae)[편집]


4.2.7.9.5. 수염오목눈이과(Panuridae)[편집]


4.2.7.9.6. 종다리과(Alaudidae)[편집]


4.2.7.9.7. 니카토르과(Nicatoridae)[편집]


4.2.7.9.8. 아프리카솔새과(Macrosphenidae)[편집]


4.2.7.9.9. 개개비사촌과(Cisticolidae)[편집]


4.2.7.9.10. 섬개개비상과(Locustelloidea)[편집]


4.2.7.9.11. 흰턱딱새상과(Sylvioidea)[편집]


4.2.7.9.12. 오목눈이상과(Aegithaloidea)[편집]


4.2.7.10. 딱새소목(Muscicapida)[편집]


4.2.7.10.1. 여새상과(Bombycilloidea)[편집]


4.2.7.10.2. 딱새상과(Muscicapoidea)[편집]


4.2.7.10.3. 나무발바리상과(Certhioidea)[편집]


4.2.7.11. 참새소목(Passerida)[19][편집]


4.2.7.11.1. 멧새상과(Emberizoidea)[편집]

[1] 넓적부리새하목이라고 할 수도 있다.[2] 마나킨이라고도 한다.[3] 이전에는 참새상과로 알려져있었다.[4] 넓적부리새하목이라고 할 수도 있다.[5] 마나킨이라고도 한다.[6] 학명이 Tyrannus tyrannus 로 폭군이란 뜻이 두 번 붙었다.[7] 또는 삼광조아과.[8] 왕새극락조속에 속한다는 의견도 있다.[9] 마그니피센트극락조와 함께 왕새극락조속에 속한다는 의견도 있다.[10] 동양까치가 이 종의 아종에 속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11] 정작 영명은 이쪽이 뿔종다리라고 번역된다.[12] 붉은허리개개비는 현재 메뚜기개개비속이라는 별개의 속에 속한다.[13] 본래 붉은머리오목눈이과라는 별개의 과로 있었지만, 현재는 흰턱딱새과로 통합되었다. 다만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아직도 흰턱딱새과와 붉은머리오목눈이과를 별개로 보고 있다.[14] 한국의 꼬리치레는 이 과에 속하지 않는다.[15] 과거에는 꼬리치레과로 여겨졌다.[16] 동명의 식물과 착각하지 말자.[17] 솔리테어와는 다른 종이다.[18] '모기잡이새'하고는 다른 종이다.[19] 이전에는 참새상과로 알려져있었다.[20] 납부리새과라고도 한다.[21] 같은 이름을 가진 홍방울새라는 조류가 따로 있어서 헷갈릴 수 있다.[22] 또는 카르두엘리스아과[23] 또는 핀치과.[24] 다윈의 핀치들이 여기에 속한다.[25] 세토파가속에 통합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텔루라베스 생물 목록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텔루라베스 생물 목록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1:32:25에 나무위키 참새목 생물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