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

덤프버전 :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족→
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수소|{{{#d00,#fc3 H
{{{-5

수소
]]
[[헬륨|{{{#d00,#fc3 He
{{{-5

헬륨
]]
2[[리튬|{{{#000,#fff Li
{{{-5

리튬
]]
[[베릴륨|{{{#000,#fff Be
{{{-5

베릴륨
]]
[[붕소|{{{#000,#fff B
{{{-5

붕소
]]
[[탄소|{{{#000,#fff C
{{{-5

탄소
]]
[[질소|{{{#d00,#fc3 N
{{{-5

질소
]]
[[산소|{{{#d00,#fc3 O
{{{-5

산소
]]
[[플루오린|{{{#d00,#fc3 F
{{{-5

플루오린
]]
[[네온|{{{#d00,#fc3 Ne
{{{-5

네온
]]
3[[나트륨|{{{#000,#fff Na
{{{-5

나트륨
]]
[[마그네슘|{{{#000,#fff Mg
{{{-5

마그네슘
]]
[[알루미늄|{{{#000,#fff Al
{{{-5

알루미늄
]]
[[규소|{{{#000,#fff Si
{{{-5

규소
]]
[[인(원소)|{{{#000,#fff P
{{{-5

]]
[[황(원소)|{{{#000,#fff S
{{{-5

]]
[[염소(원소)|{{{#d00,#fc3 Cl
{{{-5

염소
]]
[[아르곤|{{{#d00,#fc3 Ar
{{{-5

아르곤
]]
4[[칼륨|{{{#000,#fff K
{{{-5

칼륨
]]
[[칼슘|{{{#000,#fff Ca
{{{-5

칼슘
]]
[[스칸듐|{{{#000,#fff Sc
{{{-5

스칸듐
]]
[[티타늄|{{{#000,#fff Ti
{{{-5

티타늄
]]
[[바나듐|{{{#000,#fff V
{{{-5

바나듐
]]
[[크로뮴|{{{#000,#fff Cr
{{{-5

크로뮴
]]
[[망가니즈|{{{#000,#fff Mn
{{{-5

망가니즈
]]
[[철(원소)|{{{#000,#fff Fe
{{{-5

]]
[[코발트|{{{#000,#fff Co
{{{-5

코발트
]]
[[니켈|{{{#000,#fff Ni
{{{-5

니켈
]]
[[구리|{{{#000,#fff Cu
{{{-5

구리
]]
[[아연|{{{#000,#fff Zn
{{{-5

아연
]]
[[갈륨|{{{#000,#fff Ga
{{{-5

갈륨
]]
[[저마늄|{{{#000,#fff Ge
{{{-5

저마늄
]]
[[비소|{{{#000,#fff As
{{{-5

비소
]]
[[셀레늄|{{{#000,#fff Se
{{{-5

셀레늄
]]
[[브로민|{{{#00f,#3cf Br
{{{-5

브로민
]]
[[크립톤|{{{#d00,#fc3 Kr
{{{-5

크립톤
]]
5[[루비듐|{{{#000,#fff Rb
{{{-5

루비듐
]]
[[스트론튬|{{{#000,#fff Sr
{{{-5

스트론튬
]]
[[이트륨|{{{#000,#fff Y
{{{-5

이트륨
]]
[[지르코늄|{{{#000,#fff Zr
{{{-5

지르코늄
]]
[[나이오븀|{{{#000,#fff Nb
{{{-5

나이오븀
]]
[[몰리브데넘|{{{#000,#fff Mo
{{{-5

몰리브데넘
]]
[[테크네튬|{{{#000,#fff Tc
{{{-5 __

테크네튬
__]]
[[루테늄|{{{#000,#fff Ru
{{{-5

루테늄
]]
[[로듐|{{{#000,#fff Rh
{{{-5

로듐
]]
[[팔라듐|{{{#000,#fff Pd
{{{-5

팔라듐
]]
[[은|{{{#000,#fff Ag
{{{-5

]]
[[카드뮴|{{{#000,#fff Cd
{{{-5

카드뮴
]]
[[인듐|{{{#000,#fff In
{{{-5

인듐
]]
[[주석(원소)|{{{#000,#fff Sn
{{{-5

주석
]]
[[안티모니|{{{#000,#fff Sb
{{{-5

안티모니
]]
[[텔루륨|{{{#000,#fff Te
{{{-5

텔루륨
]]
[[아이오딘|{{{#000,#fff I
{{{-5

아이오딘
]]
[[제논(원소)|{{{#d00,#fc3 Xe
{{{-5

제논
]]
6[[세슘|{{{#000,#fff Cs
{{{-5

세슘
]]
[[바륨|{{{#000,#fff Ba
{{{-5

바륨
]]
(란)[[하프늄|{{{#000,#fff Hf
{{{-5

하프늄
]]
[[탄탈럼|{{{#000,#fff Ta
{{{-5

탄탈럼
]]
[[텅스텐|{{{#000,#fff W
{{{-5

텅스텐
]]
[[레늄|{{{#000,#fff Re
{{{-5

레늄
]]
[[오스뮴|{{{#000,#fff Os
{{{-5

오스뮴
]]
[[이리듐|{{{#000,#fff Ir
{{{-5

이리듐
]]
[[백금|{{{#000,#fff Pt
{{{-5

백금
]]
[[금|{{{#000,#fff Au
{{{-5

]]
[[수은|{{{#00f,#3cf Hg
{{{-5

수은
]]
[[탈륨|{{{#000,#fff Tl
{{{-5

탈륨
]]
[[납|{{{#000,#fff Pb
{{{-5

]]
[[비스무트|{{{#000,#fff Bi
{{{-5

비스무트
]]
[[폴로늄|{{{#000,#fff Po
{{{-5

폴로늄
]]
[[아스타틴|{{{#000,#fff At
{{{-5 __

아스타틴
__]]
[[라돈|{{{#d00,#fc3 Rn
{{{-5

라돈
]]
7[[프랑슘 |{{{#000,#fff Fr
{{{-5 __

프랑슘
__]]
[[라듐 |{{{#000,#fff Ra
{{{-5

라듐
]]
(악)[[러더포듐 |{{{#000,#fff Rf
{{{-5 __

러더포듐
__]]
[[더브늄 |{{{#000,#fff Db
{{{-5 __

더브늄
__]]
[[시보귬 |{{{#000,#fff Sg
{{{-5 __

시보귬
__]]
[[보륨 |{{{#000,#fff Bh
{{{-5 __

보륨
__]]
[[하슘 |{{{#000,#fff Hs
{{{-5 __

하슘
__]]
[[마이트너륨 |{{{#000,#fff Mt
{{{-5 __

마이트너륨
__]]
[[다름슈타튬 |{{{#000,#fff Ds
{{{-5 __

다름슈타튬
__]]
[[뢴트게늄 |{{{#000,#fff Rg
{{{-5 __

뢴트게늄
__]]
[[코페르니슘 |{{{#00f,#3cf Cn
{{{-5 __

코페르니슘
__]]
[[니호늄 |{{{#000,#fff Nh
{{{-5 __

니호늄
__]]
[[플레로븀 |{{{#00f,#3cf Fl
{{{-5 __

플레로븀
__]]
[[모스코븀 |{{{#000,#fff Mc
{{{-5 __

모스코븀
__]]
[[리버모륨 |{{{#000,#fff Lv
{{{-5 __

리버모륨
__]]
[[테네신 |{{{#000,#fff Ts
{{{-5 __

테네신
__]]
[[오가네손 |{{{#000,#fff Og
{{{-5 __

오가네손
__]]
(란)[[란타넘|{{{#000,#fff La
{{{-5

란타넘
]]
[[세륨|{{{#000,#fff Ce
{{{-5

세륨
]]
[[프라세오디뮴|{{{#000,#fff Pr
{{{-5

프라세오디뮴
]]
[[네오디뮴|{{{#000,#fff Nd
{{{-5

네오디뮴
]]
[[프로메튬|{{{#000,#fff Pm
{{{-5 __

프로메튬
__]]
[[사마륨|{{{#000,#fff Sm
{{{-5

사마륨
]]
[[유로퓸|{{{#000,#fff Eu
{{{-5

유로퓸
]]
[[가돌리늄|{{{#000,#fff Gd
{{{-5

가돌리늄
]]
[[터븀|{{{#000,#fff Tb
{{{-5

터븀
]]
[[디스프로슘|{{{#000,#fff Dy
{{{-5

디스프로슘
]]
[[홀뮴|{{{#000,#fff Ho
{{{-5

홀뮴
]]
[[어븀|{{{#000,#fff Er
{{{-5

어븀
]]
[[툴륨|{{{#000,#fff Tm
{{{-5

툴륨
]]
[[이터븀|{{{#000,#fff Yb
{{{-5

이터븀
]]
[[루테튬|{{{#000,#fff Lu
{{{-5

루테튬
]]
(악)[[악티늄|{{{#000,#fff Ac
{{{-5

악티늄
]]
[[토륨|{{{#000,#fff Th
{{{-5

토륨
]]
[[프로트악티늄|{{{#000,#fff Pa
{{{-5

프로트악티늄
]]
[[우라늄|{{{#000,#fff U
{{{-5

우라늄
]]
[[넵투늄|{{{#000,#fff Np
{{{-5 __

넵투늄
__]]
[[플루토늄|{{{#000,#fff Pu
{{{-5 __

플루토늄
__]]
[[아메리슘|{{{#000,#fff Am
{{{-5 __

아메리슘
__]]
[[퀴륨|{{{#000,#fff Cm
{{{-5 __

퀴륨
__]]
[[버클륨|{{{#000,#fff Bk
{{{-5 __

버클륨
__]]
[[캘리포늄|{{{#000,#fff Cf
{{{-5 __

캘리포늄
__]]
[[아인슈타이늄|{{{#000,#fff Es
{{{-5 __

아인슈타이늄
__]]
[[페르뮴|{{{#000,#fff Fm
{{{-5 __

페르뮴
__]]
[[멘델레븀|{{{#000,#fff Md
{{{-5 __

멘델레븀
__]]
[[노벨륨|{{{#000,#fff No
{{{-5 __

노벨륨
__]]
[[로렌슘|{{{#000,#fff Lr
{{{-5 __

로렌슘
__]]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알칼리 금속
]]
[[알칼리 토금속 |{{{#000,#fff >

알칼리 토금속
]]
[[란타넘족|{{{#000,#fff >

란타넘족
]]
[[악티늄족|{{{#000,#fff >

악티늄족
]]
[[전이 원소 |{{{#000,#fff
>
전이 금속
]]
[[전이후 금속 |{{{#000,#fff
>
전이후 금속
]]
[[준금속|{{{#000,#fff
>
준금속
]]
[[비금속|{{{#000,#fff
>
다원자 비금속
]]
[[비금속|{{{#000,#fff
>
이원자 비금속
]]
[[비활성 기체 |{{{#000,#fff
>
비활성 기체
]]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19K*
>
포타슘 / 칼륨 >

 | 
Potassium / Kalium
분류알칼리 금속상태고체
원자량39.0983밀도0.862 g/cm3
녹는점63.5 °C끓는점759 °C
용융열2.33 kJ/mol증발열76.9 kJ/mol
원자가1이온화에너지418.8, 3052, 4420 kJ/mol
전기음성도0.82전자친화도48.4 kJ/mol
발견H. Davy (1807)
CAS 등록번호7440-09-7
이전 원소아르곤(Ar)다음 원소칼슘(Ca)
* 과거 연금술이 활발하던 시절 탄산나트륨과 탄산칼륨을 뭉뚱그려 부르던 아랍어 '알낄리'(الْقِلْي; al-qily)에서 qily → Kali로 따온 것에서 유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tassium.jpg
라틴어Kalium
영어Potassium
중국어
일본어カリウム[1][2]
에스페란토Kalio

파일:attachment/K-usage.jpg

1. 개요
2. 명칭
3. 특성
4. 동위원소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4주기 1족 알칼리 금속이며, 원소 기호는 K이다. 불꽃 산화 반응 스펙트럼 색은 보라색이다.

라틴어, 독일어: Kalium
영어: Potassium


2. 명칭[편집]


나트륨과 함께 대학교 들어가면 이름이 바뀌는 원소. 현재 고2~3이 쓰는 화학 교과서는 칼륨/포타슘이 혼용되었던 2009년에 개정된 거라 칼륨으로 적혀있는 경우가 많지만,[3] 보통 대학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공부하게 되는 일반화학 교과서엔 칼륨 대신 대부분 영문명 기준을 따라 포타슘으로 적혀있다. 또한 교수들의 상당수가 미국 대학 출신이기 때문에 포타슘이라고 부른다. 다만 노년기에 접어든 교수들중 독일 쪽에서 유학한 사람들은 칼륨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대한 화학회는 2008년 개정에서는 독일어인 칼륨을 공식 명칭으로 하고 포타슘도 혼용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2014년에 '포타슘' 단독 표기로 변경했다. 화학 분야로 한정하면 칼륨이라고 하면 잘못된 표기가 된다. (Na도 소듐 단독 표기로 변경함.) 다만, 화학을 벗어나 물리학[4], 약학, 생물학, 식품학, 농업[5] 등으로 넘어가면 칼륨이 여전히 맞는 표기이고 널리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칼륨, 칼리, 포타슘, 가리(加里)가 제시되어 있으며 모두 표준어이다. 다만 기준은 칼륨이며 칼리, 포타슘은 칼륨과 동의어라고만 되어 있고[6] 가리는 칼리의 음역어로서 제시하고 있다. 영영사전이나 영한사전에도 Kalium으로 등재돼 있기는 하다. 아무래도 영어사전인지라 찾아보면 영어식 명칭인 Potassium을 보라고 안내돼 있다.

potassium의 미국식 영어 발음은 '퍼태시엄 [pəˈtæsiəm]'에 가깝다.

칼륨을 처음 단리한 사람은 영국인 험프리 데이비 경(Sir Humphry Davy, 1778-1829)으로, 1807년에 자신이 개발한 전기분해법을 써서 식물의 타고 남은 재를 정제한 탄산 칼륨염([math(\rm K_2CO_3)]) 혼합물에서 칼륨을 분리하였다. 이 혼합물을 가리켜 영어로 포타시(potash[7])라고 하기 때문에, 험프리 데이비는 자국어인 영어에 기반하여 새로운 원소의 이름을 포타슘(potassium)이라고 명명하였다. 사실 험프리의 칼륨 단리(1807) 이전부터 독일에서도 potash(와 soda; [math(\rm Na_2CO_3)])에 관한 연구 성과[8]는 나오고 있던 상황이었고 독일에서도 potash를 독일어로 직역한 Pottasche(Pott+Asche)가 화학자들 사이에서 쓰이고 있었는데, 언어 순혈주의 성향이 짙은 독일어답게[9] 험프리가 sodium과 potassium으로 명명하기 전부터도 독일에서는 여전히 여러 학자들이 새 명칭을 중구난방으로 내놓고 있는 상황이었다. 당시 쓰였던 potash의 독일어식 명칭은 '식물성 알칼리'(Pflanzenalkali), '식물의 알칼리염'(vegetabilisches Laugensalz), 'Pottasche' 등이었는데 이 개판오분전인 상황과 'Pottasche는 어원을 고려했을 때 학술 용어로서 부적절하다'며 불만을 품고 있던 클라프로트(Martin Heinrich Klaproth; 1743~1817)가 1797년에 저 명칭들 대신에 '칼리'(Kali)라고 쓸 것을 제안한 게 '칼륨' 명칭의 시초이다.

Das in der neuen chemischen Nomenclatur zum generischen Namen erhobene Wort Pottasche kann bei uns Deutschen auf keinen allgemeinen Beifall Anspruch machen; da es nur einen schlechten etymologischen Werth hat, und bloss daher entstanden ist, dass man ehemals zum Ausglühen der eingedickten Holzaschenlaugen sich eiserner Töpfe (niedersächsisch Pott) statt der jetzigen Kalziniröfen bedient hat.

Mein Vorschlag gehet dahin: statt der bisherigen Benennungen, Pflanzenalkali, vegetabilisches Laugensalz, Pottasche u. s. w. den Namen Kali festzusetzen; und statt der Benennungen Mineralalkali; Soda u. s. w. zu dessen ältern Namen Natron zurück zu kehren.

새 화학 명명법에서 'potash'[10]

라는 원소명은 우리 독일인들에게 전반적으로 환영받지 못한다. 왜냐하면 영 좋지 않은 어원학적 가치와 오늘날 쓰이는 소성로가 아닌 옛날에 농축된 나무의 잿물을 식힐 때 쓰던 '철제 항아리'(서부 저지 독일어로 Pott)라는 기원밖에 없기 때문이다.

나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명칭인 '식물성 알칼리', '식물의 알칼리염', 'potash', 기타 등등 대신에 'Kali'로 통일(확정)하고, '무기물 알칼리', 'soda' 등 대신에 오래 전에 쓰던 명칭[11]

Natron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1] 앞 부분 'カリ'만 따서 '가리'라고도 불렀는데(예:청산가리), 노인들 중 일부는 이 '가리'에 익숙해서 '가리'라고 하지 않고 '칼륨'이라고 하면 못 알아들을 수도 있다. 그리고 농촌에서 비료성분을 읽을 때 '가리'라는 단어를 더 많이 쓴다.[2]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칼리의 음역어로서 加里를 제시하고 있다.[3] 단, 물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트륨이 소듐으로 용어가 변경되었다.[4] 이쪽도 분야에 따라서는 포타슘을 주로 쓰는 곳도 있다. ex) 초전도체 연구[5] 비료. 이쪽은 아예 일본식 약칭을 따른 "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6] 다시 말하지만 비표준어라는 뜻은 아니다.[7] pot + ash 정제과정에 냄비(pot)를 이용했는데 냄비밑에 쌓인 재(ash)여서 potash라고 불렀다.[8] 대표적으로 마그라프(Andreas Sigismund Marggraf; 1709~1782)가 1758년에 발표한 업적이 있는데, 마그라프의 해당 논문 이전에는 사람들이 soda([math(\rm Na_2CO_3)])와 potash([math(\rm K_2CO_3)])가 같은 물질이라고 알고 있었으며, 유럽에서는 '나트론'(natron), 아랍권에서는 '알낄리'(الْقِلْي; al-qily)라고 불렸다. 마그라프는 불꽃 반응을 통해 두 물질이 다르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했다.[9] 독일어는 Fernsehen(fern=먼, sehen=보다), Klimaanlage(Klima=기후, Anlage=시설), Zugmaschine(Zug=끄는 것, maschine=기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웬만한 외국어는 전부 자국어로 순화해서 수입하는 언어로 유명하다.[10] 독일어로는 Pottasche[11] 즉, 과거 유럽 연금술사들이 potash와 soda를 아울러 부르던
'칼리'는 soda와 potash를 아랍에서 뭉뚱그려 부르던 '알낄리'(الْقِلْي; al-qily)에서 유래[12]했고, 클라프로트는 '칼리'의 제안과 더불어 soda를 '나트론'(Natron)이라 부르자고도 제안했다. 이후 10년 뒤 험프리가 potassium의 단리를 발표하고 나서 길버트(Ludwig Wilhelm Gilbert; 1769~1824)가 해당 논문을 독일어로 번역할 때, 역주에서 potassium의 독일어 명칭으로서 Kali를 라틴어화한 Kalium을 제안하기도 했다.

In unserer deutschen Nomenclatur würde ich die Namen Kalium und Natronium vorschlagen, wenn man nicht lieber bei den von Herrn Erman gebrauchten und von mehreren angenommenen Benennungen Kali-Metalloid and Natron-Metalloid, bis zur völligen Aufklärung der chemischen Natur dieser räthzelhaften Körper bleiben will. Oder vielleicht findet man es noch zweckmässiger fürs Erste zwei Klassen zu machen, Metalle und Metalloide, und in die letztere Kalium und Natronium zu setzen. — Gilbert.

이 수수께끼 물질의 화학적 특성이 완전히 밝혀지기 전까지는, 에어만 씨[13]

가 쓰기 시작하고 몇몇이 받아들이고는 있는 '칼리-준금속'(Kali-metalloid)과 '나트론-준금속'(Natron-Metalloid) 같은 명칭이 탐탁치 않은 분들에게 우리의 독일어식 명명법[14]으로서 '칼륨'과 '나트로늄'(Natronium)을 제안하는 바이다. 혹 어쩌면 일단 금속과 준금속 두 분류를 만들어서 후자에 '칼륨'과 '나트로늄'을 배치하는 게 더 유용할 수도 있다. - 길버트.

[12] 아랍어에서 '알-'(الْ; al-)은 정관사이므로 실제 의미는 뒤의 '낄리'(قِلْي)에 있다. 알칼리의 어원이기도 하다.[13] Paul Erman, 1764~1851. 독일의 물리학자.[14] 원문 In unserer deutschen Nomenclatur(영어로 치면 In our german nomenclature)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명칭이 독일어 내에서 통용되는 것을 전제로한 제안임을 알 수 있고, 무슨 독일이 패권을 부려서 전세계를 상대로 원소 이름 교정을 강제할 목적으로 이름을 지은 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때까지도 원소를 로마자 알파벳 기호로 나타내는 체계가 없었다는 점이다. 1814년 스웨덴의 왼스 베셸리우스(Jöns Jacob Berzelius, 1779~1848)가 원소 기호 체계를 발표하면서 최종적으로 [math(\rm K)]라는 기호와 '칼륨'이라는 명칭으로 확정짓게 된다.[15] 즉 '칼륨'이라는 명칭을 붙인 사람은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스웨덴인이다. 독일어권 내에서만 쓰려고 했던 용어가 베셸리우스의 업적으로 인해 전세계로 퍼진 셈이다.

국가별로 구분해 보면 재미있는데(링크의 좌단), 유럽권에서는 라틴어의 직계 후손이라 할 수 있는 로망스어군 언어를 쓰는 나라들이 라틴어식 명칭이 아니라 영어식 명칭과 비슷하게 쓰고 있다.[16] 그리고 영국을 제외한 게르만어파 국가들은 독일에서부터 아이슬란드[17]까지 죄다 라틴어식 명칭인 칼륨, 나트륨이다. 슬라브권도 대부분 나트리, 칼리라고 쓴다. 그야말로 주객전도가 아닐 수 없는 셈.

미국 학제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의대나 공대, 자과대 등 대부분의 자연계 학과에서는 대부분 소듐, 포타슘이라고 부른다.[18] 그러나 과학 분야가 아닌 일상에서 칼륨을 갑자기 생판 다른 이름인 포타슘으로 바꾸면 혼란이 크므로 국립국어원 기준 표준어는 칼륨으로 되어 있다.[19]

그러나 정작 미국에서조차 의학이나 생물학 등의 학술용어에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라틴-독일식 용어를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성분을 부르는 호칭은 '소듐', '포타슘'으로 지칭하지만, 그것이 적용된 화합물이나 용어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라틴 조어를 사용하고, '여기에서 kali 는 우리말(영어) 의 포타슘 원소를 가리키는 것이다' 라고 이해하는 식이다.

한 예를 들면, '고 칼륨 혈증' 을 의미하는 'Hyperkalemia'는 hyper+kalium+emia 로서 미국 의학교육에서 가르치고, 미국 의사들이 사용하고, 'kalium 은 영어의 potassium을 말하는 화학 원소다' 라고 당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학생들은 화학기호의 K와 전문용어의 kalium 을 보고 그것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potassium과는 발음이 다르지만 라틴 조어를 이루는 역사적이자 공식적인 용어라고 이해한다. 미국인들조차 학술용어로서의 원소 표현이 일상 영어에서의 영양성분에 적힌 단어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데, 우리나라에서 '화학계에서 영어 표현법 일부가 영어 표기와 같아진다' 라는 지엽적인 간소화 만으로 기존의 다른 모든 학문계와 국민적인 인식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지는 의문시된다.

원소 기호는 라틴어명인 칼륨에서 따온 K로 유지.[20]

카자흐스탄이 칼륨의 최대 생산국이라는 말이 있지만 코미디 영화 '보랏'에서 나온 드립(영화에선 영어식 명칭인 포타슘이라고 나온다)으로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는 축에도 못 끼며 오히려 카자흐스탄은 우라늄의 최대 생산국이다.


3. 특성[편집]



3.1. 알칼리 금속[편집]


순수한 칼륨은 금속 형태로 되어 있으며 보통 섭취되는 칼륨은 이온상태로 되어 있다. 알칼리 금속답게 금속 칼륨은 반응성이 매우 강해서 물에 닿으면 연기를 내며 보랏빛, 분홍빛으로 아름답게 불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새끼 손가락 손톱의 3분의 1 정도로만 물에 넣어도 굉음과 함께 엄청난 연기를 내뿜으며 반응하며, 증기로 이루어진 버섯구름을 볼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기도 하고 드라이 아이스 상태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기도 한다.

그런 고로 칼륨을 보관할 때는 석유나 파라핀 속에 보관한다. 하지만 칼륨은 너무나 반응성이 좋기 때문에 석유에 보관해도 약 3개월만 지나면 그 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반응해 과산화물을 만든다. 그리고 이 과산화물은 용기 뚜껑을 열 때 마찰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칼륨을 장기 보관 할 때는 아예 아르곤 기체에 쑤셔넣은 다음 용기를 완전 밀봉을 하는데, 유리앰풀에 넣고 앰풀 끝부분을 가열해 녹여서 막는다.


3.2. 산업[편집]


과거에는 비누유리를 만드는데 나무재 잿물에서 추출한 탄산칼륨이나 수산화칼륨을 썼다. 나무재 잿물에 동물의 지방을 반응시켜 만든게 비누의 기원이다. 특히 칼륨비누는 투명한 액상 비누로 샴푸 등에 많이 쓰인다. 유리를 만들 때 첨가하면 녹는 온도가 낮아져 제조가 쉬워지고 유동성이 증가해 복잡한 유리가공 등 다루기가 훨씬 쉬워진다. 굳은 후에도 유리에 탄력성이 있어 충격에도 강해져 강화유리가 된다.

흑색화약의 주성분도 초석이라고 알려진 질산칼륨이다. 그래서 화약을 만드려면 나무를 태운 목탄회(potash)를 물에 녹여 칼륨염 용액을 만든다. 그다음에 요소가 많이 포함된 오줌과 똥 등 을 발효 산화시켜 만든 암모니아와 칼륨염 용액을 반응시켜 질산칼륨 용액을 만들고 이를 끓여 졸여서 결정화 시킨게 화약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인 초석이다.

산업적으로는 대부분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황산칼륨의 형태로 사용하는데 이런 칼륨염을 집합적으로 칼리회(potash 목탄회) 라고 부른다. 질소 인산과 함께 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소 성분이라 비료료 쓰이는데 그게 칼리비료 (염화칼륨 또는 황산칼륨)로 가장 큰 칼륨염의 소비처이다. 수산화칼륨은 가성가리라고도 불리며 가성소다라 불리는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대표적인 알칼리로 비누 제조 등 화학공업에 많이 쓰인다. 전세계적으로 화학공업에 칼륨염의 수요가 많은데 톤당 200-500달러로 변동이 심하고 요즘은 330달러 정도로 제법 비싸다.

18세기말에만 해도 칼륨염의 수요는 대부분 대규모로 나무를 벌채해 태워서 그 잿물을 정제해 소성해서 칼리회(탄산칼륨, potash)로 만들었다. 그래서 목탄회라고 부르는 것. 막 독립한 미국은 산림이 풍부해 이런 목탄 칼리회의 세계적 생산지이자 주요 수출품이었다. 미국 특허청의 제 1번 특허가 바로 이 칼리회 제조법 개선일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었다. 그 특허장에 서명한 사람이 바로 유명한 조지 워싱턴 본인이다.

하지만 칼리회 생산에는 대량의 나무가 소모되어 이로 인한 대규모 산림벌채와 훼손이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19세기에 독일에서는 칼륨염이 다량 함유된 암염광산이 발견되어 목탄회 칼륨염 생산은 퇴조하고 암염광산 채굴로 주로 생산했다. 독일은 칼륨염 생산을 거의 독점하다시피해서 1차대전 무렵에 전략물자로 수출을 통제하기도 했다. 그래서 미국은 독일산 칼륨염 산업을 대체하기 위해 유타주 등에서 대규모 암염광산을 개발했다. 하지만 광산의 깊이가 깊어 천연가스 폭발사고가 잦고 인건비가 비싸지자 현대에는 간수를 이용한 채굴로 전환한다. 간수법은 칼륨염 암염광맥에 석유시추 하듯이 파이프를 깊이 박아 우물을 파고 물을 주입해 칼륨염을 함유한 소금층을 녹이고 염이 녹은 소금물 간수(brine)를 뽑아올려 연못같은 염전에서 자연 증발시켜 칼륨염을 생산한다. 그런 간수 연못은 조류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황산구리 등을 첨가해 짙은청색 연못처럼 보인다. 구글 위성지도에서도 볼수 있다.

칼륨은 고릴라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를 만들 때 쓰이기도 한다. 유리를 칼륨염에 넣고 가열하여 유리 내의 나트륨과 이온 치환 반응을 시켜서 응력을 올려 유리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원리이다.


3.3. 반수치사량[편집]


염화칼륨을 기준으로 반수치사량은 2.5 g/kg이다. 칼륨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심장 마비가 올 수 있다. 심장 박동은 Na-K 펌프에 의해 신호가 조절되는데, 과량의 칼륨은 이 펌프에 작동 이상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심장 박동을 위한 안정된 활동 전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세포가 충분히 분극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세포 외부와 내부의 칼륨 농도 차이가 충분히 크다면 막전위는 낮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만약 혈중 칼륨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경우 막전위가 자연스럽게 탈분극된다. 이렇게 되면 세포가 과민해져서 조그마한 자극에도 빠르게 반응하며, 이는 심장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주된 원인이 된다.

사형 방법 중 하나인 약물주사형에 쓰는 약물이 염화칼륨이다. 안락사 전문의인 잭 케보키언은 이를 이용해 1998년 호흡마비제인 숙시닐콜린과 염화칼륨을 섞어 주입하는 타나트론이라는 안락사 기계를 개발하기도 했다. 현재도 염화칼륨은 심장 관련 수술에서도 심정지액으로 쓰이기도 하며,[21] 동물의 안락사 주사약물에도 사용 되기도 한다.


3.4. 무기염류[편집]


인체에도 0.2% 약 140 그램 정도 포함되어 있고 극히 일부는 방사성 칼륨이라 대표적인 인체내에 있는 방사성동위원소이다. 그외 바나나에도 칼륨이 풍부하고 게토레이 등의 스포츠음료에도 들어있다. 체내에서 나트륨과 함께 콩팥이 강력하게 농도를 조절하는 무기염류 중 하나로, 나트륨은 135~145mmEq/L, 칼륨은 3.5~5.5mmEq/L가 정상범위이다. 정상 범주가 나트륨과는 달리 2mmEq/L밖에 안 될 정도로 폭이 좁으며, 나트륨은 급격하게 농도가 변하지 않는 이상 사망까지 고려할 정도는 아닌데 칼륨은 조금만 수치가 벗어나도 바로 부정맥을 일으키기 때문에 그만큼 예민하게 조절되고 있다.

식물체 내에서 수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물에는 칼륨이 적건 많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질소, (인산염)과 함께 비료의 3대 요소로 꼽힌다. 칼륨은 체내에서 염분(나트륨)과 상호 작용을 하여 균형을 이루게 되는데, 식물을 그냥 먹으면 짭짤한 것이 땡기는 이유가 바로 칼륨 때문이다.

초식동물이 소금을 매우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식이 풀이다보니 칼륨 섭취량은 많은데 나트륨을 섭취할 기회가 없다보니 나트륨 확보에 필사적인데 이를 위해 땀, 소변, 흙도 먹으며 특히 소금만 보면 환장한다. 이를 이용해 고대 로마에서는 염소를 이용한 간지럽히기 고문도 있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를 참조. 서진의 초대 황제사마염후궁들도 이를 이용해 후궁 처소를 방문하는 황제의 수레를 끄는 의 미끼로 소금물을 뿌리기도 했다. 한편 대부분의 식물은 생장하는데 나트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오히려 칼륨을 필요로 한다.

칼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미역(100g 당 5,500mg), (100g 당 3,503mg), 검은콩(100g 당 1,483mg), 다시마(100g 당 1,242mg), 멸치(100g 당 1,149mg), 땅콩(100g 당 705mg), 조개(100g 당 628mg), 시금치(100g 당 558mg), 감자, 아보카도(100g 당 485mg), 돼지감자(100g 당 429mg), 단호박(100g 당 419mg), 바나나(100g 당 358mg), 고구마(100g 당 337mg), 키위(100g 당 312mg), (100g 당 310mg), 토마토(100g 당 237mg), 애호박(100g 당 224mg), 우유(100g 당 151mg), 수박(100g 당 109mg) 등이 있다. 해조류나 어패류, 식물에는 칼륨이 적건 많건 거의 대부분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육식만으로 식사를 하지 않는 한 딱히 결핍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맥주 효모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KFC에서 닭고기 밑간을 할 때 칼륨, 소금, MSG를 1:1:2 비율로 넣는다는 말이 있었으나,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 베이스에는 칼륨이 없다고 나와있다.

KFC 공식문서를 보면 Original Recipe® Chicken에는 Potassium이 없고, Original Recipe® Bites에만 Potassium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저염 소금에 나트륨 대신 들어가는 것이 칼륨이다. 즉, 염화나트륨의 절반 정도를 염화칼륨으로 대체한 것이 저염 소금이다. 혈압을 조절해야 하는 고혈압 환자들이 염화나트륨 대신 염화칼륨을 먹는다.

신장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신부전 환자에게는 칼륨이 치명적이다. 특히 투석을 받고 있는 신부전 환자는 체내에 있는 칼륨을 스스로 배출 할 수 없는데, 칼륨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과다 섭취하여 체내 칼륨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칼륨이 들어있는 음식은 모두 피하고, 야채나 과일은 데쳐서 먹어야 한다. 칼륨이 든 채소류는 시금치처럼 섭취를 위해 물에 데치고 헹구면 칼륨이 많이 빠져 나간다. 식이조절을 위해 야채를 매우 많이 먹는 상황이거나 신장이 약하다면 데쳐서 헹궈먹는 것이 좋다. 혹은 먹을 채소를 조리전 장시간 물에 담아 칼륨을 낮추는 방법도 있다.


4. 동위원소[편집]



동위원소
[ ~10 ]
Z01
nnH2345
01HHeLiBeB6
11n2H3He4Li5Be6BC7
23H4He5Li6Be7B8CN8
34H5He6Li7Be8B9C10NO910
45H6He7Li8Be9B10C11N12OFNe
56H7He8Li9Be10B11C12N13O14F15Ne
67H8He9Li10Be11B12C13N14O15F16Ne
79He10Li11Be12B13C14N15O16F17Ne
810He11Li12Be13B14C15N16O17F18Ne
912Li13Be14B15C16N17O18F19Ne
1014Be15B16C17N18O19F20Ne
1115Be16B17C18N19O20F21Ne
1216Be17B18C19N20O21F22Ne
1318B20N21O22F23Ne
1420C21N22O23F24Ne
1522N23O24F25Ne
1622C23N24O25F26Ne
1724N26F27Ne
1826O27F28Ne
1928F29Ne
2029F30Ne
2130F31Ne
2231F32Ne
2333Ne
2434Ne
25
2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5em, 16%); min-height:2em; border-radius:5px; background:#99999944"
[ ~20 ]
Z1112
nNaMg1314
718Na19MgAlSi
819Na20Mg21Al22Si1516
920Na21Mg22Al23SiPS
1021Na22Mg23Al24Si25P26S1718
1122Na23Mg24Al25Si26P27SClAr
1223Na24Mg25Al26Si27P28S29Cl30Ar1920
1324Na25Mg26Al27Si28P29S30Cl31ArKCa
1425Na26Mg27Al28Si29P30S31Cl32Ar33K34Ca
1526Na27Mg28Al29Si30P31S32Cl33Ar34K35Ca
1627Na28Mg29Al30Si31P32S33Cl34Ar35K36Ca
1728Na29Mg30Al31Si32P33S34Cl35Ar36K37Ca
1829Na30Mg31Al32Si33P34S35Cl36Ar37K38Ca
1930Na31Mg32Al33Si34P35S36Cl37Ar38K39Ca
2031Na32Mg33Al34Si35P36S37Cl38Ar39K40Ca
2132Na33Mg34Al35Si36P37S38Cl39Ar40K41Ca
2233Na34Mg35Al36Si37P38S39Cl40Ar41K42Ca
2334Na35Mg36Al37Si38P39S40Cl41Ar42K43Ca
2435Na36Mg37Al38Si39P40S41Cl42Ar43K44Ca
2536Na37Mg38Al39Si40P41S42Cl43Ar44K45Ca
2637Na38Mg39Al40Si41P42S43Cl44Ar45K46Ca
2739Mg40Al41Si42P43S44Cl45Ar46K47Ca
2840Mg41Al42Si43P44S45Cl46Ar47K48Ca
2942Al43Si44P45S46Cl47Ar48K49Ca
3043Al44Si45P46S47Cl48Ar49K50Ca
3146P48Cl49Ar50K51Ca
3248S49Cl50Ar51K52Ca
3350Cl51Ar52K53Ca
3451Cl52Ar53K54Ca
3553Ar54K55Ca
3655K56Ca
3756K57Ca
3858Ca
39
40

[ ~30 ]
Z2122
nScTi
1638Ti2324
1738Sc39TiVCr2526
1839Sc40Ti42CrMnFe2728
1940Sc41Ti42V43Cr44Mn45FeCoNi
2041Sc42Ti43V44Cr45Mn46Fe48Ni
2142Sc43Ti44V45Cr46Mn47Fe49Ni
2243Sc44Ti45V46Cr47Mn48Fe50Ni2930
2344Sc45Ti46V47Cr48Mn49Fe50Co51NiCuZn
2445Sc46Ti47V48Cr49Mn50Fe51Co52Ni53Cu54Zn
2546Sc47Ti48V49Cr50Mn51Fe52Co53Ni54Cu55Zn
2647Sc48Ti49V50Cr51Mn52Fe53Co54Ni55Cu56Zn
2748Sc49Ti50V51Cr52Mn53Fe54Co55Ni56Cu57Zn
2849Sc50Ti51V52Cr53Mn54Fe55Co56Ni57Cu58Zn
2950Sc51Ti52V53Cr54Mn55Fe56Co57Ni58Cu59Zn
3051Sc52Ti53V54Cr55Mn56Fe57Co58Ni59Cu60Zn
3152Sc53Ti54V55Cr56Mn57Fe58Co59Ni60Cu61Zn
3253Sc54Ti55V56Cr57Mn58Fe59Co60Ni61Cu62Zn
3354Sc55Ti56V57Cr58Mn59Fe60Co61Ni62Cu63Zn
3455Sc56Ti57V58Cr59Mn60Fe61Co62Ni63Cu64Zn
3556Sc57Ti58V59Cr60Mn61Fe62Co63Ni64Cu65Zn
3657Sc58Ti59V60Cr61Mn62Fe63Co64Ni65Cu66Zn
3758Sc59Ti60V61Cr62Mn63Fe64Co65Ni66Cu67Zn
3859Sc60Ti61V62Cr63Mn64Fe65Co66Ni67Cu68Zn
3961Ti62V63Cr64Mn65Fe66Co67Ni68Cu69Zn
4061Sc62Ti63V64Cr65Mn66Fe67Co68Ni69Cu70Zn
4163Ti64V65Cr66Mn67Fe68Co69Ni70Cu71Zn
4264TI65V66Cr67Mn68Fe69Co70Ni71Cu72Zn
4366V68Mn69Fe70Co71Ni72Cu73Zn
4467V68Cr69Mn70Fe71Co72Ni73Cu74Zn
4569Cr70Mn71Fe72Co73Ni74Cu75Zn
4670Cr71Mn72Fe73Co74Ni75Cu76Zn
4772Mn73Fe74Co75Ni76Cu77Zn
4874Fe75Co76Ni77Cu78Zn
4975Fe76Co77Ni78Cu79Zn
5077Co78Ni79Cu80Zn
5179Ni80Cu81Zn
5280Ni81Cu82Zn
5382Cu83Zn
5484Zn
5585Zn
56

[ ~40 ]
Z3132
nGaGe
2759Ge
2859Ga60Ge3334
2960Ga61GeAsSe
3061Ga62Ge63As64Se
3162Ga63Ge64As65Se3536
3263Ga64Ge65As66SeBrKr
3364Ga65Ge66As67Se69Kr3738
3465Ga66Ge67As68Se69Br70KrRbSr
3566Ga67Ge68As69Se70Br71Kr73Sr39
3667Ga68Ge69As70Se71Br72Kr73Rb74SrY40
3768Ga69Ge70As71Se72Br73Kr74Rb75Sr76YZr
3869Ga70Ge71As72Se73Br74Kr75Rb76Sr77Y78Zr
3970Ga71Ge72As73Se74Br75Kr76Rb77Sr78Y79Zr
4071Ga72Ge73As74Se75Br76Kr77Rb78Sr79Y80Zr
4172Ga73Ge74As75Se76Br77Kr78Rb79Sr80Y81Zr
4273Ga74Ge75As76Se77Br78Kr79Rb80Sr81Y82Zr
4374Ga75Ge76As77Se78Br79Kr80Rb81Sr82Y83Zr
4475Ga76Ge77As78Se79Br80Kr81Rb82Sr83Y84Zr
4576Ga77Ge78As79Se80Br81Kr82Rb83Sr84Y85Zr
4677Ga78Ge79As80Se81Br82Kr83Rb84Sr85Y86Zr
4778Ga79Ge80As81Se82Br83Kr84Rb85Sr86Y87Zr
4879Ga80Ge81As82Se83Br84Kr85Rb86Sr87Y88Zr
4980Ga81Ge82As83Se84Br85Kr86Rb87Sr88Y89Zr
5081Ga82Ge83As84Se85Br86Kr87Rb88Sr89Y90Zr
5182Ga83Ge84As85Se86Br87Kr88Rb89Sr90Y91Zr
5283Ga84Ge85As86Se87Br88Kr89Rb90Sr91Y92Zr
5384Ga85Ge86As87Se88Br89Kr90Rb91Sr92Y93Zr
5485Ga86Ge87As88Se89Br90Kr91Rb92Sr93Y94Zr
5586Ga87Ge88As89Se90Br91Kr92Rb93Sr94Y95Zr
5687Ga88Ge89As90Se91Br92Kr93Rb94Sr95Y96Zr
5789Ge90As91Se92Br93Kr94Rb95Sr96Y97Zr
5890Ge91As92Se93Br94Kr95Rb96Sr97Y98Zr
5992As93Se94Br95Kr96Rb97Sr98Y99Zr
6094Se95Br96Kr97Rb98Sr99Y100Zr
6195Se96Br97Kr98Rb99Sr100Y101Zr
6297Br98Kr99Rb100Sr101Y102Zr
6398Br99Kr100Rb101Sr102Y103Zr
64100Kr101Rb102Sr103Y104Zr
65101Kr102Rb103Sr104Y105Zr
66103Rb104Sr105Y106Zr
67105Sr106Y107Zr
68106Sr107Y108Zr
69107Sr108Y109Zr
70109Y110Zr
71111Zr
72112Zr
73
74

[ ~50 ]
Z4142
nNbMo
3981Mo4344
4081Nb82MoTcRu
4182Nb83Mo85Ru
4283Nb84Mo85Tc86Ru4546
4384Nb85Mo86TcRhPd47
4485Nb86Mo87Tc88Ru89Rh90PdAg48
4586Nb87Mo88Tc89Ru90Rh91Pd92AgCd49
4687Nb88Mo89Tc90Ru91Rh92Pd93Ag94CdIn
4788Nb89Mo90Tc91Ru92Rh93Pd94Ag96In50
4889Nb90Mo91Tc92Ru93Rh94Pd95Ag96CdSn
4990Nb91Mo92Tc93Ru94Rh95Pd96Ag97Cd98In99Sn
5091Nb92Mo93Tc94Ru95Rh96Pd97Ag98Cd99In100Sn
5192Nb93Mo94Tc95Ru96Rh97Pd98Ag99Cd100In101Sn
5293Nb94Mo95Tc96Ru97Rh98Pd99Ag100Cd101In102Sn
5394Nb95Mo96Tc97Ru98Rh99Pd100Ag101Cd102In103Sn
5495Nb96Mo97Tc98Ru99Rh100Pd101Ag102Cd103In104Sn
5596Nb97Mo98Tc99Ru100Rh101Pd102Ag103Cd104In105Sn
5697Nb98Mo99Tc100Ru101Rh102Pd103Ag104Cd105In106Sn
5798Nb99Mo100Tc101Ru102Rh103Pd104Ag105Cd106In107Sn
5899Nb100Mo101Tc102Ru103Rh104Pd105Ag106Cd107In108Sn
59100Nb101Mo102Tc103Ru104Rh105Pd106Ag107Cd108In109Sn
60101Nb102Mo103Tc104Ru105Rh106Pd107Ag108Cd109In110Sn
61102Nb103Mo104Tc105Ru106Rh107Pd108Ag109Cd110In111Sn
62103Nb104Mo105Tc106Ru107Rh108Pd109Ag110Cd111In112Sn
63104Nb105Mo106Tc107Ru108Rh109Pd110Ag111Cd112In113Sn
64105Nb106Mo107Tc108Ru109Rh110Pd111Ag112Cd113In114Sn
65106Nb107Mo108Tc109Ru110Rh111Pd112Ag113Cd114In115Sn
66107Nb108Mo109Tc110Ru111Rh112Pd113Ag114Cd115In116Sn
67108Nb109Mo110Tc111Ru112Rh113Pd114Ag115Cd116In117Sn
68109Nb110Mo111Tc112Ru113Rh114Pd115Ag116Cd117In118Sn
69110Nb111Mo112Tc113Ru114Rh115Pd116Ag117Cd118In119Sn
70111Nb112Mo113Tc114Ru115Rh116Pd117Ag118Cd119In120Sn
71112Nb113Mo114Tc115Ru116Rh117Pd118Ag119Cd120In121Sn
72113Nb114Mo115Tc116Ru117Rh118Pd119Ag120Cd121In122Sn
73114Nb115Mo116Tc117Ru118Rh119Pd120Ag121Cd122In123Sn
74115Nb116Mo117Tc118Ru119Rh120Pd121Ag122Cd123In124Sn
75117Mo118Tc119Ru120Rh121Pd122Ag123Cd124In125Sn
76118Mo119Tc120Ru121Rh122Pd123Ag124Cd125In126Sn
77120Tc121Ru122Rh123Pd124Ag125Cd126In127Sn
78121Tc122Ru123Rh124Pd125Ag126Cd127In128Sn
79123Ru124Rh125Pd126Ag127Cd128In129Sn
80124Ru125Rh126Pd127Ag128Cd129In130Sn
81126Rh127Pd128Ag129Cd130In131Sn
82127Rh128Pd129Ag130Cd131In132Sn
83129Pd130Ag131Cd132In133Sn
84131Ag132Cd133In134Sn
85132Ag133Cd134In135Sn
86134Cd135In136Sn
87136In137Sn
88137In138Sn
89139Sn

[ ~60 ]
Z51
nSb52
52103SbTe
53104Sb105Te5354
54105Sb106TeIXe
55106Sb107Te108I109Xe55
56107Sb108Te109I110XeCs56
57108Sb109Te110I111Xe112CsBa
58109Sb110Te111I112Xe113Cs114Ba57
59110Sb111Te112I113Xe114Cs115BaLa
60111Sb112Te113I114Xe115Cs116Ba117La5859
61112Sb113Te114I115Xe116Cs117BaCePr
62113Sb114Te115I116Xe117Cs118Ba121Pr
63114Sb115Te116I117Xe118Cs119Ba120La121Ce60
64115Sb116Te117I118Xe119Cs120Ba121La122CeNd
65116Sb117Te118I119Xe120Cs121Ba122La123Ce124Pr125Nd
66117Sb118Te119I120Xe121Cs122Ba123La124Ce125Pr126Nd
67118Sb119Te120I121Xe122Cs123Ba124La125Ce126Pr127Nd
68119Sb120Te121I122Xe123Cs124Ba125La126Ce127Pr128Nd
69120Sb121Te122I123Xe124Cs125Ba126La127Ce128Pr129Nd
70121Sb122Te123I124Xe125Cs126Ba127La128Ce129Pr130Nd
71122Sb123Te124I125Xe126Cs127Ba128La129Ce130Pr131Nd
72123Sb124Te125I126Xe127Cs128Ba129La130Ce131Pr132Nd
73124Sb125Te126I127Xe128Cs129Ba130La131Ce132Pr133Nd
74125Sb126Te127I128Xe129Cs130Ba131La132Ce133Pr134Nd
75126Sb127Te128I129Xe130Cs131Ba132La133Ce134Pr135Nd
76127Sb128Te129I130Xe131Cs132Ba133La134Ce135Pr136Nd
77128Sb129Te130I131Xe132Cs133Ba134La135Ce136Pr137Nd
78129Sb130Te131I132Xe133Cs134Ba135La136Ce137Pr138Nd
79130Sb131Te132I133Xe134Cs135Ba136La137Ce138Pr139Nd
80131Sb132Te133I134Xe135Cs136Ba137La138Ce139Pr140Nd
81132Sb133Te134I135Xe136Cs137Ba138La139Ce140Pr141Nd
82133Sb134Te135I136Xe137Cs138Ba139La140Ce141Pr142Nd
83134Sb135Te136I137Xe138Cs139Ba140La141Ce142Pr143Nd
84135Sb136Te137I138Xe139Cs140Ba141La142Ce143Pr144Nd
85136Sb137Te138I139Xe140Cs141Ba142La143Ce144Pr145Nd
86137Sb138Te139I140Xe141Cs142Ba143La144Ce145Pr146Nd
87138Sb139Te140I141Xe142Cs143Ba144La145Ce146Pr147Nd
88139Sb140Te141I142Xe143Cs144Ba145La146Ce147Pr148Nd
89140Sb142I143Xe144Cs145Ba146La147Ce148Pr149Nd
90142Te143I144Xe145Cs146Ba147La148Ce149Pr150Nd
91143Te144I145Xe146Cs147Ba148La149Ce150Pr151Nd
92145I146Xe147Cs148Ba149La150Ce151Pr152Nd
93147Xe148Cs149Ba150La151Ce152Pr153Nd
94148Xe149Cs150Ba151La152Ce153Pr154Nd
95150Cs151Ba152La153Ce154Pr155Nd
96151Cs152Ba153La154Ce155Pr156Nd
97154La155Ce156Pr157Nd
98155La157Pr158Nd
99156La158Pr159Nd
100159Pr160Nd
101160Pr161Nd
102162Nd

[ ~70 ]
Z616263
nPmSmEu
67128Pm129Sm130Eu
68129Pm130Sm131Eu6465
69130Pm131Sm132EuGdTb
70131Pm132Sm134Gd135Tb
71132Pm133Sm134Eu135Gd6667
72133Pm134Sm135Eu136GdDyHo
73134Pm135Sm136Eu137Gd138Tb139Dy140Ho6869
74135Pm136Sm137Eu138Gd139Tb140Dy141HoErTm
75136Pm137Sm138Eu139Gd140Tb141Dy142Ho143Er144Tm
76137Pm138Sm139Eu140Gd141Tb142Dy143Ho144Er145Tm
77138Pm139Sm140Eu141Gd142Tb143Dy144Ho145Er146Tm70
78139Pm140Sm141Eu142Gd143Tb144Dy145Ho146Er147TmYb
79140Pm141Sm142Eu143Gd144Tb145Dy146Ho147Er148Tm149Yb
80141Pm142Sm143Eu144Gd145Tb146Dy147Ho148Er149Tm150Yb
81142Pm143Sm144Eu145Gd146Tb147Dy148Ho149Er150Tm151Yb
82143Pm144Sm145Eu146Gd147Tb148Dy149Ho150Er151Tm152Yb
83144Pm145Sm146Eu147Gd148Tb149Dy150Ho151Er152Tm153Yb
84145Pm146Sm147Eu148Gd149Tb150Dy151Ho152Er153Tm154Yb
85146Pm147Sm148Eu149Gd150Tb151Dy152Ho153Er154Tm155Yb
86147Pm148Sm149Eu150Gd151Tb152Dy153Ho154Er155Tm156Yb
87148Pm149Sm150Eu151Gd152Tb153Dy154Ho155Er156Tm157Yb
88149Pm150Sm151Eu152Gd153Tb154Dy155Ho156Er157Tm158Yb
89150Pm151Sm152Eu153Gd154Tb155Dy156Ho157Er158Tm159Yb
90151Pm152Sm153Eu154Gd155Tb156Dy157Ho158Er159Tm160Yb
91152Pm153Sm154Eu155Gd156Tb157Dy158Ho159Er160Tm161Yb
92153Pm154Sm155Eu156Gd157Tb158Dy159Ho160Er161Tm162Yb
93154Pm155Sm156Eu157Gd158Tb159Dy160Ho161Er162Tm163Yb
94155Pm156Sm157Eu158Gd159Tb160Dy161Ho162Er163Tm164Yb
95156Pm157Sm158Eu159Gd160Tb161Dy162Ho163Er164Tm165Yb
96157Pm158Sm159Eu160Gd161Tb162Dy163Ho164Er165Tm166Yb
97158Pm159Sm160Eu161Gd162Tb163Dy164Ho165Er166Tm167Yb
98159Pm160Sm161Eu162Gd163Tb164Dy165Ho166Er167Tm168Yb
99160Pm161Sm162Eu163Gd164Tb165Dy166Ho167Er168Tm169Yb
100161Pm162Sm163Eu164Gd165Tb166Dy167Ho168Er169Tm170Yb
101162Pm163Sm164Eu165Gd166Tb167Dy168Ho169Er170Tm171Yb
102163Pm164Sm165Eu166Gd167Tb168Dy169Ho170Er171Tm172Yb
103165Sm166Eu167Gd168Tb169Dy170Ho171Er172Tm173Yb
104166Sm167Eu168Gd169Tb170Dy171Ho172Er173Tm174Yb
105168Eu169Gd170Tb171Dy172Ho173Er174Tm175Yb
106170Gd171Tb172Dy173Ho174Er175Tm176Yb
107172Tb173Dy174Ho175Er176Tm177Yb
108174Dy175Ho176Er177Tm178Yb
109176Ho177Er178Tm179Yb
110178Er179Tm180Yb
111180Tm181Yb
112181Tm182Yb
113183Yb
114184Yb
115185Yb
116
117

[ ~80 ]
Z71
nLu
79150Lu72
80151LuHf73
81152Lu153HfTa74
82153Lu154Hf155TaW75
83154Lu155Hf156Ta157WRe76
84155Lu156Hf157Ta158W159ReOs
85156Lu157Hf158Ta159W160Re161Os77
86157Lu158Hf159Ta160W161Re162OsIr78
87158Lu159Hf160Ta161W162Re163Os164IrPt
88159Lu160Hf161Ta162W163Re164Os165Ir166Pt
89160Lu161Hf162Ta163W164Re165Os166Ir167Pt7980
90161Lu162Hf163Ta164W165Re166Os167Ir168PtAuHg
91162Lu163Hf164Ta165W166Re167Os168Ir169Pt170Au171Hg
92163Lu164Hf165Ta166W167Re168Os169Ir170Pt171Au172Hg
93164Lu165Hf166Ta167W168Re169Os170Ir171Pt172Au173Hg
94165Lu166Hf167Ta168W169Re170Os171Ir172Pt173Au174Hg
95166Lu167Hf168Ta169W170Re171Os172Ir173Pt174Au175Hg
96167Lu168Hf169Ta170W171Re172Os173Ir174Pt175Au176Hg
97168Lu169Hf170Ta171W172Re173Os174Ir175Pt176Au177Hg
98169Lu170Hf171Ta172W173Re174Os175Ir176Pt177Au178Hg
99170Lu171Hf172Ta173W174Re175Os176Ir177Pt178Au179Hg
100171Lu172Hf173Ta174W175Re176Os177Ir178Pt179Au180Hg
101172Lu173Hf174Ta175W176Re177Os178Ir179Pt180Au181Hg
102173Lu174Hf175Ta176W177Re178Os179Ir180Pt181Au182Hg
103174Lu175Hf176Ta177W178Re179Os180Ir181Pt182Au183Hg
104175Lu176Hf177Ta178W179Re180Os181Ir182Pt183Au184Hg
105176Lu177Hf178Ta179W180Re181Os182Ir183Pt184Au185Hg
106177Lu178Hf179Ta180W181Re182Os183Ir184Pt185Au186Hg
107178Lu179Hf180Ta181W182Re183Os184Ir185Pt186Au187Hg
108179Lu180Hf181Ta182W183Re184Os185Ir186Pt187Au188Hg
109180Lu181Hf182Ta183W184Re185Os186Ir187Pt188Au189Hg
110181Lu182Hf183Ta184W185Re186Os187Ir188Pt189Au190Hg
111182Lu183Hf184Ta185W186Re187Os188Ir189Pt190Au191Hg
112183Lu184Hf185Ta186W187Re188Os189Ir190Pt191Au192Hg
113184Lu185Hf186Ta187W188Re189Os190Ir191Pt192Au193Hg
114185Lu186Hf187Ta188W189Re190Os191Ir192Pt193Au194Hg
115186Lu187Hf188Ta189W190Re191Os192Ir193Pt194Au195Hg
116187Lu188Hf189Ta190W191Re192Os193Ir194Pt195Au196Hg
117188Lu189Hf190Ta192Re193Os194Ir195Pt196Au197Hg
118190Hf191Ta192W193Re194Os195Ir196Pt197Au198Hg
119192Ta193W194Re195Os196Ir197Pt198Au199Hg
120193Ta194W195Re196Os197Ir198Pt199Au200Hg
121194Ta195W196Re197Os198Ir199Pt200Au201Hg
122196W197Re198Os199Ir200Pt201Au202Hg
123197W198Re199Os200Ir201Pt202Au203Hg
124199Re200Os201Ir202Pt203Au204Hg
125201Os202Ir203Pt204Au205Hg
126202Os203Ir204Pt205Au206Hg
127203Os204Ir205Pt206Au207Hg
128205Ir206Pt207Au208Hg
129207Pt208Au209Hg
130208Pt209Au210Hg
131210Au211Hg
132212Hg
133213Hg
134214Hg
135215Hg
136216Hg

[ ~90 ]
Z81
nTl82
95176TlPb
96177Tl178Pb
97178Tl179Pb
98179Tl180Pb
99180Tl181Pb83
100181Tl182PbBi84
101182Tl183Pb184BiPo
102183Tl184Pb185Bi186Po
103184Tl185Pb186Bi187Po
104185Tl186Pb187Bi188Po85
105186Tl187Pb188Bi189PoAt86
106187Tl188Pb189Bi190Po191AtRn
107188Tl189Pb190Bi191Po192At193Rn
108189Tl190Pb191Bi192Po193At194Rn87
109190Tl191Pb192Bi193Po194At195RnFr
110191Tl192Pb193Bi194Po195At196Rn197Fr
111192Tl193Pb194Bi195Po196At197Rn198Fr88
112193Tl194Pb195Bi196Po197At198Rn199FrRa
113194Tl195Pb196Bi197Po198At199Rn200Fr201Ra
114195Tl196Pb197Bi198Po199At200Rn201Fr202Ra89
115196Tl197Pb198Bi199Po200At201Rn202Fr203RaAc
116197Tl198Pb199Bi200Po201At202Rn203Fr204Ra205Ac90
117198Tl199Pb200Bi201Po202At203Rn204Fr205Ra206AcTh
118199Tl200Pb201Bi202Po203At204Rn205Fr206Ra207Ac208Th
119200Tl201Pb202Bi203Po204At205Rn206Fr207Ra208Ac209Th
120201Tl202Pb203Bi204Po205At206Rn207Fr208Ra209Ac210Th
121202Tl203Pb204Bi205Po206At207Rn208Fr209Ra210Ac211Th
122203Tl204Pb205Bi206Po207At208Rn209Fr210Ra211Ac212Th
123204Tl205Pb206Bi207Po208At209Rn210Fr211Ra212Ac213Th
124205Tl206Pb207Bi208Po209At210Rn211Fr212Ra213Ac214Th
125206Tl207Pb208Bi209Po210At211Rn212Fr213Ra214Ac215Th
126207Tl208Pb209Bi210Po211At212Rn213Fr214Ra215Ac216Th
127208Tl209Pb210Bi211Po212At213Rn214Fr215Ra216Ac217Th
128209Tl210Pb211Bi212Po213At214Rn215Fr216Ra217Ac218Th
129210Tl211Pb212Bi213Po214At215Rn216Fr217Ra218Ac219Th
130211Tl212Pb213Bi214Po215At216Rn217Fr218Ra219Ac220Th
131212Tl213Pb214Bi215Po216At217Rn218Fr219Ra220Ac221Th
132213Tl214Pb215Bi216Po217At218Rn219Fr220Ra221Ac222Th
133214Tl215Pb216Bi217Po218At219Rn220Fr221Ra222Ac223Th
134215Tl216Pb217Bi218Po219At220Rn221Fr222Ra223Ac224Th
135216Tl217Pb218Bi219Po220At221Rn222Fr223Ra224Ac225Th
136217Tl218Pb219Bi220Po221At222Rn223Fr224Ra225Ac226Th
137219Pb220Bi221Po222At223Rn224Fr225Ra226Ac227Th
138220Pb221Bi222Po223At224Rn225Fr226Ra227Ac228Th
139222Bi223Po224At225Rn226Fr227Ra228Ac229Th
140223Bi224Po225At226Rn227Fr228Ra229Ac230Th
141224Bi225Po226At227Rn228Fr229Ra230Ac231Th
142226Po227At228Rn229Fr230Ra231Ac232Th
143227Po228At229Rn230Fr231Ra232Ac233Th
144229At231Fr232Ra233Ac234Th
145232Fr233Ra234Ac235Th
146233Fr234Ra235Ac236Th
147236Ac237Th
148238Th

[ ~100 ]
Z91
nPa
120211Pa
121212Pa92
122213PaU
123214Pa215U
124215Pa216U93
125216Pa217UNp
126217Pa218U219Np
127218Pa219U
128219Pa
129220Pa221U
130221Pa222U
131222Pa223U
132223Pa224U225Np9495
133224Pa225U226NpPuAm
134225Pa226U227Np228Pu229Am9697
135226Pa227U228Np229Pu230AmCmBk
136227Pa228U229Np230Pu233Bk
137228Pa229U230Np231Pu232Am233Cm234Bk98
138229Pa230U231Np232Pu233Am234CmCf
139230Pa231U232Np233Pu234Am235Cm236Bk237Cf99100
140231Pa232U233Np234Pu235Am236Cm238CfEsFm
141232Pa233U234Np235Pu236Am237Cm238Bk239Cf240Es241Fm
142233Pa234U235Np236Pu237Am238Cm239Bk240Cf241Es242Fm
143234Pa235U236Np237Pu238Am239Cm240Bk241Cf242Es243Fm
144235Pa236U237Np238Pu239Am240Cm241Bk242Cf243Es244Fm
145236Pa237U238Np239Pu240Am241Cm242Bk243Cf244Es245Fm
146237Pa238U239Np240Pu241Am242Cm243Bk244Cf245Es246Fm
147238Pa239U240Np241Pu242Am243Cm244Bk245Cf246Es247Fm
148239Pa240U241Np242Pu243Am244Cm245Bk246Cf247Es248Fm
149241U242Np243Pu244Am245Cm246Bk247Cf248Es249Fm
150242U243Np244Pu245Am246Cm247Bk248Cf249Es250Fm
151243U244Np245Pu246Am247Cm248Bk249Cf250Es251Fm
152246Pu247Am248Cm249Bk250Cf251Es252Fm
153247Pu248Am249Cm250Bk251Cf252Es253Fm
154250Cm251Bk252Cf253Es254Fm
155251Cm252Bk253Cf254Es255Fm
156252Cm253Bk254Cf255Es256Fm
157255Cf256Es257Fm
158256Cf257Es258Fm
159259Fm

[ ~110 ]
Z101
nMd
144245Md102
145246MdNo
146247Md248No
147248Md103104
148249Md250NoLrRf105
149250Md251No252Lr253RfDb
150251Md252No253Lr254Rf255Db106
151252Md253No254Lr255Rf256DbSg107
152253Md254No255Lr256Rf257Db258SgBh
153254Md255No256Lr257Rf258Db259Sg260Bh108
154255Md256No257Lr258Rf259Db260Sg261BhHs
155256Md257No258Lr259Rf260Db261Sg262Bh263Hs109110
156257Md258No259Lr260Rf261Db262Sg263Bh264HsMtDs
157258Md259No260Lr261Rf262Db263Sg264Bh265Hs266Mt267Ds
158259Md260No261Lr262Rf263Db264Sg265Bh266Hs
159260Md262Lr263Rf265Sg266Bh267Hs268Mt269Ds
160262No266Sg267Bh270Ds
161265Rf266Db269Hs270Mt271Ds
162267Db270Hs
163266Lr267Rf268Db269Sg270Bh273Ds
164271Bh
165270Db271Sg272Bh273Hs274Mt
166275Mt
167274Bh275Hs276Mt277Ds
168277Mt
169277Hs278Mt279Ds
170
171281Ds

[ ~120 ]
Z111
nRg
161272Rg
162
163274Rg112113
164CnNh
165277Cn278Nh
166
167278Rg
168279Rg114
169280Rg281Cn282NhFl
170281Rg282Cn283Nh284Fl115
171282Rg283Cn284Nh285FlMc
172284Cn285Nh286Fl287Mc116
173285Cn286Nh287Fl288McLv
174288Fl289Mc290Lv117118
175289Fl290Mc291LvTsOg
176292Lv293Ts294Og
177293Lv294Ts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5em, 16%); min-height:2em"
[ 색 설명 ]
161Gd<1h146Gd10 d-100 d150Gd10 ky-100My
159Gd1 h-1 d153Gd100 d-10 y152Gd
100My
149Gd1 d-10 d148Gd10 y-10 ky158Gd안정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동위원소 표/0-10, version=7,
title2=틀:동위원소 표/11-20, version2=9,
title3=틀:동위원소 표/21-30, version3=10,
title4=틀:동위원소 표/31-40, version4=8,
title5=틀:동위원소 표/41-50, version5=8,
title6=틀:동위원소 표/51-60, version6=7,
title7=틀:동위원소 표/61-70, version7=9,
title8=틀:동위원소 표/71-80, version8=7,
title9=틀:동위원소 표/81-90, version9=8,
title10=틀:동위원소 표/91-100, version10=7,
title11=틀:동위원소 표/101-110, version11=9,
title12=틀:동위원소 표/111-118, version12=7,
title13=틀:동위원소 표/반감기, version13=12)]

칼륨은 24 종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으며, 3종이 자연적으로 산출된다. 이 중 유일한 자연 방사성 동위원소40 K 이 0.012%를 차지하므로 아주 희귀하지는 않은 편이다. 반감기는 엄청나게 길어서 12억 5천만년쯤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연대측정법에 사용하기도 한다. 40 K 가 분해하면서 생기는 원소가 아르곤-40( 40 Ar )이기 때문에 아르곤은 다른 비활성 기체에 비하면 상당히 흔한 원소이다.

칼륨-40은 방사선을 방출하므로 칼륨이 많이 함유된 바나나가 방사선 검출기에서 걸리기도 한다고 한다. 링크. 화학적 성질은 당연히 보통 칼륨과 같으므로 사람 몸 속에도 들어있다. 사실 인체에서 가장 많은 방사성 물질이 방사성 칼륨이다. 저염 소금의 절반은 염화칼륨이므로 방사선이 조금씩 나온다. 저염 소금으로 필름을 며칠 간에 걸쳐 감광시키는 실험도 있다.


5. 여담[편집]


  • 주기율표에는 원자량 순서와 원자 번호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 원소쌍이 단 세 개뿐인데, 아르곤과 칼륨이 이 중 하나이다. 나머지 두 쌍은 코발트니켈, 아이오딘텔루륨이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32:10에 나무위키 칼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5] 이때, [math(\rm Na)](나트륨)도 같이 확정지어진다. 사실 베셸리우스가 처음 발표한 논문에서는 험프리의 공로를 인정하여 sodium, potassium에서 딴 [math(\rm So)], [math(\rm Po)]을 썼는데 1년도 채 되지않아 현재의 [math(\rm Na)], [math(\rm K)]로 변경했다. 아무래도 potash → potassium이 어원학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클라프로트의 지적에 공감한 듯 하다.[16] 프랑스어 potassium, 이탈리아어 potassio와 스페인어 potasio 등. 참고로 프랑스어에서는 원소명에 붙는 -um을 앙이 아닌 옴으로 발음한다.[17] 언어 순화를 게르만식으로 많이 하는 언어지만 원소 명칭은 순화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는지 Kalín, Natrín처럼 쓴다.[18] 농대의 경우, 이쪽은 예전 이름을 따라 칼륨을 칼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칼리가 사용되는 가장 익숙한 단어가 바로 청산가리. 칼리의 일본식 발음에서 왔다.[19] 이후 포타슘도 인정되었다.[20] 그런 사례는 주기율표에 매우 많다. 나열하자면 나트륨, , 구리, , 주석, 안티모니, 텅스텐, , 수은, 등이 있다. 이미 P는 의 원소기호로 사용중이고, Po는 폴로늄, Pt는 백금, Pa는 프로트악티늄, Ps는 포지트로늄의 원소기호로 이미 사용하고 있어서 바꾸기도 힘들다.[21] 종종 뉴스에서 의사나 간호사의 자살 뉴스가 나온다면 거의 칼륨을 주사한 것이다. 따라서 엠플에도 반드시 혈관내 직접 주사 금지라는 경고문구를 써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