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at Leeds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thewho.png

피트 타운젠드

{{{#808080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000 45%, #000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 Studio Albums ]

파일:my_generation_the_who.png
파일:a_quick_one_the_who.png
파일:더 후 3집.jpg
파일:tommy_the_who.png
파일:whos_next_the_who.png
My Generation
1965.12.03.
A Quick One
1966.12.03.
The Who Sell Out
1967.12.15.
Tommy
1969.05.23.
Who's Next
1971.08.14.
파일:quadrophenia_the_who.png
파일:by_numbers_the_who.png
파일:who_are_you_the_who.png
파일:face_dances_the_who.png
파일:its_hard_the_who.png
Quadrophenia
1973.10.26.
The Who By Numbers
1975.10.03.
Who Are You
1978.08.18.
Face Dances
1981.03.16.
It's Hard
1982.09.04.
파일:endless_wire_the_who.png
파일:who_the_who.png
Endless Wire
2006.10.30.
WHO
2019.12.0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Live / Compilation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 관련 문서 ]




Live at Leeds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15년 선정한 "50대 라이브 명반"의 리스트이다.
1위2위3위4위5위
파일:liveattheapollo.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hIDxuCltL._SL1225_.jpg
파일:At_Folsom_Prison.jpg
파일:Live at Leeds.jpg
파일:Live_at_the_Regal.jpg
제임스 브라운올맨 브라더스 밴드조니 캐시더 후비비 킹
Live At The ApolloAt Fillmore EastAt Folsom PrisonLive at LeedsLive at the Regal
6위7위8위9위10위
파일:KISS_Alive.jpg
파일:LiveDead.jpg
파일:Kick_Out_the_Jams.jpg
파일:The_Bootleg_Series_Vol_4.jpg
파일:너바나언플럭드.jpg
키스그레이트풀 데드MC5밥 딜런너바나
Alive!Live/DeadKick Out the JamsThe Bootleg Series, Vol. 4: Bob Dylan Live 1966: The "Royal Albert Hall Concert"MTV Unplugged in New York
11위부터는 롤링 스톤 선정 50대 라이브 명반 참조

같이 보기: 올타임 명반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170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12년 170위 2020년 327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311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317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1998년 317위 2000년 356위
}}}



Live at Leeds
파일:Live at Leeds.jpg
발매일파일:미국 국기.svg 1970년 5월 16일
파일:영국 국기.svg 1970년 5월 23일
녹음일1970년 2월 14일
장르하드 록
재생 시간37:42
곡 수6곡
프로듀서더 후, 존 애스틀리, 킴 램버트
녹음 장소리즈 대학교
레이블파일:영국 국기.svg 폴리도르, 트랙
파일:미국 국기.svg 데카, MCA

1. 개요
2. 특징
3. 트랙 리스트
3.1. Side A
3.1.1. Young Man Blues
3.1.2. Substitute
3.1.3. Summertime Blues
3.1.4. Shakin' All Over
3.2. Side B



1. 개요[편집]


The best live rock album ever made

현존하는 최고의 록 음악 라이브 앨범

뉴욕 타임스


영국하드 록 밴드인 더 후가 1970년 5월 발매한 라이브 앨범이다.


2. 특징[편집]


록 음악 사상 최고의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불린다. 평가는 웬만한 정규 앨범보다 더 높다. 특히나 팬들 사이에서는 이 앨범을 Who's NextTommy 다음으로 치는 사람도 많다.

Tommy 발매 이후 더 후가 신보를 홍보하기 위해 투어의 일부를 라이브 앨범으로 엮어 발매한 것이다. 이 앨범은 그중에서 1970년 2월 14일에 영국 북부의 명문 대학인 리즈 대학교에서의 실황을 담았다. 원래 공연은 초반부와 후반부에 더 후와 다른 음악가들의 히트 곡을 세트 리스트에 넣고, 중반부에 길게 Tommy 트랙을 넣었지만, 이 앨범에서는 Tommy의 트랙이 전부 빠지고 앞뒤 세트 리스트의 곡만을 남겨두었다. 피트 타운젠드는 이 Tommy 트랙을 포함해 더블 앨범으로 발매하려고 했지만 생각이 바뀌어 더 후의 1960년대 중반 곡들과, 고전 로큰롤 명곡들의 세트 리스트만을 남겨두었다고 한다. 그래서 라이브 앨범인데도 곡 수가 굉장히 적고 러닝 타임도 30분대로 짧은 편. 더 후 특유의 실험성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뭐니뭐니 해도 이 앨범의 하이라이트는 무려 15분동안이나 길게 연주되는 "My Generation". 짧은 곡을 이렇게 어마어마한 길이로 늘여서 즉흥 연주하는 풍조는 이후 다이어 스트레이츠레드 제플린 같은 밴드들에게 영향을 줬다. 한편으로는 원곡과 전혀 다른 하드 록 분위기로 편곡해 즉흥연주한 곡들도 후대 메탈 밴드들에게 영향을 줬다. 잡음이 적은 것 역시 특징으로 이 앨범은 실황 녹음의 판도를 바꿨다고도 평가받는다.

앨범 아트는 비틀즈의 "The Beatles"(일명 화이트 앨범)의 영향을 받아 갈색 포장봉지 위에 "Live at Leeds"라고만 적힌게 다이며, 이 커버는 화이트 앨범과 마찬가지로 미니멀한 앨범 아트의 대명사가 되어 롤링 스톤스의 "Live'r Than You'll Ever Be" 부틀렉이나 로리 갤러거의 "Irish Tour '74"와 같은 몇몇 앨범 커버에 영향을 미쳤다.


3. 트랙 리스트[편집]


별도 표기가 없는 곡들은 모두 피트 타운젠드 작사/작곡.


3.1. Side A[편집]



3.1.1. Young Man Blues[편집]



작사/작곡 모스 앨리슨

3.1.2. Substitute[편집]




3.1.3. Summertime Blues[편집]



작사/작곡 제리 케이프먼, 에디 코크런

3.1.4. Shakin' All Over[편집]



작사/작곡 조니 키드

3.2. Side B[편집]



3.2.1. My Generation[편집]




3.2.2. Magic Bus[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03:00:43에 나무위키 Live at Leed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