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인할 잉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ジョウ, ニョウ


일본어 훈독


かさ-なる, しきり-に, なお, よ-る



-


표준 중국어


ré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仍은 '인할 잉'이라는 한자로, '인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뜻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이에 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4EC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NHS(人弓竹尸)로 입력한다.

본음은 '잉'이지만 仍任(인임)에서는 '인'으로 읽는다. 원래 '잉임'이었지만, 강낭콩, 사글세처럼 한국어에서 발음이 변한 말이다.

한글 전 한국어 표기에서는 '느'로 읽곤 했다. 시흥의 옛 명칭인 잉벌노(仍伐奴)는 '늠내' 정도로 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두에서는 "-로 인하다"라는 의미로 자주 쓰는데 仍于라고 쓰고 '지즈루' 정도로 읽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두잉지()
  • 빈잉(仍)
  • 인임(仍▽): 원말은 잉임이지만 이때는 '인'으로 읽는다.
  • 잉구(仍)
  • 잉근내(仍)
  • 잉대(仍)
  • 잉모(仍)
  • 잉문(仍)
  • 잉손(仍)
  • 잉용(仍)
  • 잉위지(仍)
  • 잉정(仍)
  • 잉존(仍)
  • 잉질(仍)
  • 후잉(仍)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운잉(仍)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말미암을 유)
  • (인할 인)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네오디뮴 내)
  • (젖 내)
  • 𦨋[⿰舟乃](옷 복)[1]
  • (나무이름 잉/이)
  • (다행 잉)
  • (당길/부술 잉)
  • 𨸐[⿰⻖乃](땅이름 잉)
  • (벼이름 잉)
  • (후할 잉)
  • (모일 회)[2]
  • 𥾋[⿰糸乃](잉)
  • 𣱽[⿰氵乃](친)
  • 𬼅[⿰乃乃]
  • 𠂫[⿰卞乃]
  • 𡉁[⿰土乃]
  • 𠮨
  • 𪥑[⿰奈乃]
  • 𤜠[⿰犭乃]
  • 𢖱[⿰忄乃]
  • 𣅅[⿰日乃]
  • 𤆈[⿰火乃]
  • 𬝡[⿰萌乃]
  • 𧘌
  • 𧈣[⿰虫乃]
  • 𮋣[⿰耒乃]
  • 𬤻[⿰豕乃]
  • 𬦠[⿰𧾷乃]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새풀싹 잉)
  • (옥그릇 잉)
  • 𧥰[⿰言仍](후할 잉)[3]
  • 𫢖[⿰仍⿱⺈丨]
  • 𪝁[⿱仍⿰口匕]
  • 𠯹[⿰口仍]
  • 𫰕[⿰女仍]
  • 𱖌[⿱仍土]
  • 𱙉[⿱仍女]
  • 𱛌[⿱山仍]
  • 𰗗[⿰木仍]
  • 𪽩[⿸疒仍]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9:16:2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옷 복)의 동자[2] (모일 회)의 고자[3] (후할 잉)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