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여객

최근 편집일시 :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1. 개요
2. 각 노선별 목록
2.1. 폐선된 노선
3. 면허 체계
4. 보유차량
5. 부천버스의 옛 이름


1. 개요[편집]


중랑구 면목8동에 기점을 둔 버스 회사. 정식명칭은 경성여객자동차로 1970년에 서울승합의 홍릉영업소(경양지점)에서 분리되었으며[1], 경성여객의 '경'자는 경양지점의 "경(慶(경사 경), 휘경원이 위치했던 휘경동의 경)" 자다. 즉, 회사 명칭은 서울의 옛 이름에서 따온 것이 아니다.[2] 그리고 과거에 SK그룹 자회사로 존재했던 경성고무와도 아무 관련이 없다. 북부운수와 더불어 면목동 일대의 교통을 책임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로 북부운수가 손을 대지 않는 면목2동[3]과 상봉2동 지역을 중심으로 버스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북부운수와 달리 소속 노선 전부 굴곡이 적은 편이다.

차량 구성의 경우는 중랑구 소속의 타 업체들과 달리 현대버스와 자일대우상용차를 모두 사용하고 있지만 현대차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래도 현대차만 고집하는 것은 아니며, 대우 BS106 하이파워를 2007년까지 사용한 전례도 있었다. 더불어 저상버스도 주간선 업체인 메트로버스를 빼면 중랑구 최초로 도입하기도 했었다(현재는 저상버스 도입율이 중랑구에서는 제법 높은 편. 전체 차량대비 저상버스 보유 비율 또한 서울 5위권 내에 든다.). 2008년 이후로는 주로 현대차 위주로 도입하고 대우버스는 2012년 NEW BS110[4]을 뽑은 이후 현재까지 도입하지 않고 있다. 2017년식 이후로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버스만을 출고하고 있다.

면목8동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주로 충전은 중랑공영차고지에서 해야 하는 상황이나, 서울 버스 271A에 한정하여 상암공영차고지에서 충전중이다. 그래도 이 회사의 차고지에서 중랑공영차고지까지는 가까운 편이다.[5](구성남에 있었던 모 버스업체보다는 나은 편)

2010년을 전후로 해서 도원교통에 인수되어 계열사 관계가 되었다. 이후 2219번과 1213번의 통합이 일어나면서 공동배차 노선이 생겼고, N62번 공동배차도 하고 있다. 여담으로 업체 알림표를 가나다 순으로 배열시 가장 앞에 오는 업체이기도 하다(가장 뒤쪽은 흥안운수).[6]

2016년부터는 도원교통과 함께 차내 임산부 보호석의 구분을 아예 분홍색 시트로 바꾸고 별도의 문구(0000은/는 미래와 함께 합니다)를 부착했다. 임산부 보호석을 분홍색 등받이로 교체하는 건 동아운수도 해당되나, 별도의 문구까지 부착하는 건 서울에서는 이 두 회사가 전부이다.[7] 그리고 (예전부터 해왔던) 버스의 우측면 및 앞부분에 노선 번호를 부착하는 것도 중랑구의 시내버스 회사로서는 유일하게 하고 있다.[8]

차고지 협소[9]로 인한 차량 주박 문제와 원정 가스 충전으로 인해 현재 차고지보다 2배 넓은 부지로 차고지를 이전하고자 했으나 계약까지 끝난 상황에서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래서인지 271A/B번 차량 상당 수는 아예 중랑공영차고지에 주차하는 듯.

경성여객 지선 노선은 모두 겸재교 ~ 서일대 구간을 공유한다. 271번(A/B 전부)과 1213번은 서울우유 - 청량리시장 구간이 중복. 그리고 중랑세무서와 서울우유 본사 경유론 유일하게 담당.[10]

중랑구 회사들 중에서 유일하게 보광운수 노선들과 직접적으로 만나지 않는다(특히 2013번이 더 그렇다).[11] 중랑차고지에 주박 및 충전 외에는 접점이 없다.

2018년 7월 11일부로 도원교통에서 버스기사 간 손인사를 금지시키면서 계열사인 경성여객 역시 여기에 따르게 되었다. 도원교통-경성여객 소속 모든 노선 기사들은 같은 노선 차량이 옆에서 지나가도 무시하거나 마주봐도 가벼운 목례만 하고 다닌다. 물론 경성여객과 같은 중랑구 회사인 메트로버스, 북부운수도 경성여객처럼 목례만 하고 다닌다.(심야버스는 제외) 또한 차내에서는 위급상황시를 빼면 차내 핸드폰 사용도 금지시킬 정도로 빡세다. 서울시 업체 서비스 평가에 환장해서 모니터링시 준법강조 하는데.

심야버스 구성원도 다른 업체 심야버스와 다르게, 마을버스 2년 이상의 경력을 둔 젊은 기사들 입사로 8~9개월가량 근무 후 적합 판정 시 일반버스로 퇴사 후 재입사할 정도의 관습으로 버스교습소라 불렸지만, 경력 쌓고 가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주간버스보다도 극한이다 보니 초창기처럼 연장자 구성으로 재편했다.

경성여객 모든 노선들은 차고지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차고지 안에서 내려주기도 한다. 다만 N62번은 차고지앞에서 타는 것도 되고, 도착 시 차고지앞에서 내려준다. 차고지가 좁은 데다, 여기 소속차량은 운행 마치면 그날 밤 첫차 1대[12]만 제외하고 중랑공영차고지로 주박과 가스충전위해 공차회송을 하기 위해서다.


2. 각 노선별 목록[편집]








2.1. 폐선된 노선[편집]


  • 2219 : 면목8동 - 신설동역 : 2010년 8월 21일 서울 버스 1213에 통합
  • 2311 : 면목8동 - 잠실역(배명중고교) : 2005년 8월 1일 폐선, 서울 버스 320이 대체운행 중
  • 8220 : 면목8동 - 청량리 : 271번의 하위호환 노선, 2009년 7월 11일 폐선


3.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27##호 ~ 28##호, 62##호 ~ 63##[13]
  • 서울 741197호 ~ 1294[14]
  • 서울 754022호 ~ 4025[15]


4. 보유차량[편집]



4.1. 현재 보유차량[편집]



4.1.1. 현대자동차[편집]



4.1.2. 자일대우상용차[편집]




4.2. 과거 보유차량[편집]



4.2.1. 현대자동차[편집]




4.2.2. 자일대우상용차[편집]




4.2.3. 기아자동차[편집]




5. 부천버스의 옛 이름[편집]


부천버스 문서 참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3:05:33에 나무위키 경성여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면목4동의 북부운수는 서울시에서 시영버스를 민간에 넘길 때 이를 인수해 설립한 회사다.[2] 참고로 역시 서울특별시의 옛 이름을 쓰는 것으로 알기 쉬운 한성운수한성여객의 한자명도 漢城이 아닌 漢星이다.[3] 면목2동 동일로 구간은 14년 12월 23일자로 2312 공동배차에 참여한 관계로 예외. 주로 지나는 도로는 겸재로와 봉우재길. 사실 개편전엔 131번(현 271A)만이 그렇게 다녔지만 04년 이후 구 132번이 2219 → 1213 통합으로 바뀌면서 두드러진 것.[4] 이 때 도입된 NEW BS110은 현재 2013번에서 운행중이다.[5] 운행 종료 기준으로 2013번을 제외하면 271번은 상암공영차고지에서도 충전하며(271A번 일부, 271B번은 중랑에서도 넣는다. A번은 주로 상암에서 넣지만 가끔이다.) 1213번은 정릉동 대진여객 차고지에서도 충전한 적이 있었다. 1213번 경성여객 차량도 1213번에 통합되자마자 1년 정도는 도원 정릉본사에서 주박한 일이 있었다. 현재는 1213번 경성여객 소속 차량 전부 중랑공영차고지에서 가스를 넣는다. N62번 여기 소속도 중랑공영차고지에서도 충전하고 주간에는 주박하고 정비 및 심야운행 때만 차고지로 온다. 면목8동에서 쭉 직진하면 중랑공영차고지가 나온다.[6] 마을버스는 갈현운수가 가장 앞 순서.[7] 단, 현재로선 저 문구만 해당되는 것과 다름없다. 현대차량의 시내버스는 2017년 이후로 아예 임산부 보호석을 공식적으로 분홍색으로 정했기 때문.[8] 경성여객 외에는 보광운수가 버스 우측면에도 노선 번호를 부착했다. 단, 이쪽은 2020년부터 해당. 보광운수의 경우는 보광교통과 같이 다모아자동차 계열사가 되었기 때문이다.[9] 진짜 거짓말 아니고 정말 협소하다. 꾸역꾸역 넣어도(진짜 러시아워처럼 다닥다닥 붙여서) 50대밖에 못들어 간다. 또 중형차량은 쓰지 않는 회사라 더 협소하다. 근처 북부운수 차고지보다 좁다. 특히 2004년 이전에는 차고지에서 중화중학교까지 일부차량을 노상에 주차시키기도 했다(2020년 기준 총 72대로 운영. 유상감차 이전에는 더 많았다).[10] 경성여객 노선 외에는 2115번도 중랑역 정류장 위치 덕에 간접적으로 연계한다. 2114번과 320번도 다니지만 둘은 중랑교사거리에선 편도로만 다녀서 의미가 적다.[11] 간접적으로 만난다면 2114번이 있지만, 2114번은 중랑교사거리에서 중화동으로 가기에 잠깐 보는 정도. 1213번이나 271A/B번 타고 서울우유에서 하차하여 중랑교 동부시장으로 이동하여 2114번을 탈 수 있다.[12] 주로 271번에도 다니는 공동예비차와 전날 2번째 순번이 다녀온 후 그 날밤 차량이 첫차순번으로 내려가는 차량만 해당.[13] 중랑구 면허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 면허[14] 본 회사 주 면허. 실제로는 1289호까지만 있다.[15] 본 회사 증차 면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