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불(포켓몬스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include(틀:포켓몬 기술, 불꽃=, 변화=,
파일=7세대 도깨비불 1-1.png, 파일2=7세대 도깨비불 2-1.png,
한칭=도깨비불, 일칭=おにび, 영칭=Will-O-Wisp,
위력=-, 명중=85, PP=15,
효과=으스스하고 괴상한 불꽃을 쏘아 상대를 화상 상태로 만든다.,
변경점=6세대: 75 → 85 명중률 상승,
상태이상=화상)]
포켓몬스터기술. 불꽃 타입 변화기다. 4~7세대 기술머신 61번, 레츠고 시리즈 기술머신 11번, 8세대 기술머신 38번, 9세대 기술머신 107번.

불꽃타입과 특성이 불꽃몸인 상대에게는 효과가 없다.

화상 상태이상에 걸린 포켓몬은 매턴 HP가 깎여나갈 뿐만 아니라 공격이 큰 폭으로 깎이기 때문에, 속도가 느린 물리형 포켓몬 견제 대책으로 무척이나 훌륭하다. 특히 속도가 느린 바위, 땅 타입 포켓몬들이나 무슨 기술이든 반드시 명중하는 노가드 괴력몬은 좋은 타겟. 다만, 상대방의 특성이 '근성'이면 더 힘들어진다. 특수형을 상대로는 다소 미묘한 편이지만, 도트 대미지 갉아먹는 데에는 소소하게 도움을 준다.

전기자석파의 명중률이 90[1]임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빗나가면 기분이 나쁜데, 도깨비불의 명중률은 이보다도 낮은 85이고, 그 5%의 차이는 결코 작게 느껴지지 않는다. 실제로 VGC 2013 준결승에서는 한 플레이어가 워시로토무의 도깨비불을 5번 연속으로 못 맞추며 패배했다. 마지막에는 워시로토무가 HP를 1 남기고 살았는데도 불구하고 빗나가 버렸다. 해설자는 워시로토무가 살았을 때는 흥분했지만, 5번째 도깨비불 미스는 담담히 ''당연히 못 맞힙니다"라고 중계했다.[2]

3세대때는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적었지만, 4세대에 들어오면서 기술머신화되어 범용성이 상당히 늘어났다. 입수하는 방법은 배틀프런티어에서 BP로 입수. 좀 비싼 편이지만, 지진보다는 낫다. 대부분의 불꽃 타입이 배우며[3], 고스트스러운 이름 때문인지 대부분의 고스트 타입 포켓몬이 배울 수 있는데, 눈여아(얼음), 탱탱겔(물), 대로트/펌킨인(풀) 등이 불꽃 타입과 상반된 복합 타입이 있더라도 배울 정도로 널널하다. 물론 고스트라고 다 배우는 것은 아니고, 골루그/킬가르도/모크나이퍼/모래성이당 계열, 타타륜, 타부자고, 그우린차는 배울 수 없으며, 이들에 비해 덜 상반된 복합 타입인 날개치는머리조차 사용할 수 없다. 같은 타입의 따라큐가 사용할 수 있는 것과는 대조적.

고스트나 불꽃 타입이 아닌 포켓몬 중에서는 또도가스, 뮤츠, 가디안, 엘레이드랄토스 진화 계열 전체, 솔록, 파비코리, 앱솔, 그란돈, 다크라이, 아르세우스, 땅을기는날개가 배운다.[4]

6세대엔 명중률이 75에서 85로 상당히 상승했다. 빗나갈 확률이 ¼에서 약 ⅙로 줄어들었다.

7세대엔 변한 건 없지만, Z기술로 사용시 공격이 1랭크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대를 약화시키면서 자신을 강화시키지만, 1랭크라 미묘하다. 게다가 한 번밖에 못 쓴다. 화상의 대미지 너프로 이 기술도 너프되었다.

애니에서는 화상을 거는 기술이 아닌 공격기로 바뀌어버렸다. 기선의 미라몽이 이 기술을 지우의 리자몽에게 계속 쓰거나, BW에선 데스마스에게 조종당한 덴트가 직접 이 기술을 날리는 기행을 보인다. 게다가 애니에서 지우가 이 기술을 받았는데 멀쩡했다... 또한 로이의 데스마스도 이 기술을 사용했다. 다만, W에서 지우의 팬텀이 습득했을 때는 공격기처럼 보이긴 하지만 멀쩡히 화상을 거는 기술로 구현되었다. 극장판에서는 기라티나가 자주 사용하는 기술로 등장하는데 역시나 공격기에 전설의 포켓몬 보정까지 더해져 한방한방이 폭탄급 화력을 보인다.[5] 아르세우스를 상대로도 사용했지만 불꽃타입 플레이트로 상쇄해버렸다.

여담으로, 맹독은 6세대에서 독 타입이 시전할 경우 무조건 맞는다는 소소한 버프가 있었지만, 이 기술은 그런 거 없다. 불꽃 타입을 더 버프해 줄 이유가 없기도 하고, 전기 타입의 전기자석파의 명중은 오히려 감소한 걸 보면 기술의 컨셉을 살리려 했다기보다는 독 타입을 버프해 주기 위한 조치로 보는 게 맞다. 게다가 화상 같은 경우 부가 효과인 공격 감소 자체가 워낙 사기적이라서, 밸런스를 고려해도 당연한 처사.

불꽃타입 기술이지만 이름이나 연출이 고스트타입에 더 가깝기 때문인지, 자력으로 배우는 포켓몬은 고스트타입 포켓몬이 더 많다. 불꽃타입 중에서 이 기술을 자력으로 배우는 포켓몬은 원종 나인테일[6], 리전 폼 텅구리, 샹델라[7], 마폭시, 두파팡, 라우드본, 카디나르마, 파라블레이즈뿐이다. 이 중 리전 폼 텅구리, 샹델라, 두파팡, 라우드본, 파라블레이즈는 고스트타입이 붙어 있고, 나인테일은 모티브가 구미호인 점과 여우불에서 따 왔기 때문에, 마폭시는 마법사 모티브라서, 카디나르마는 파라블레이즈와 페어라서 배우는 것으로 보인다. 정작 분류가 '도깨비불 포켓몬'인 히스이 블레이범은 이걸 자력으로 못 배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4:45:27에 나무위키 도깨비불(포켓몬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세대까지는 100으로, 일반적으로 항상 성공했었다. 7세대부터 90으로 너프되었다.[2] 참고로 5번 연속 못 맞힐 확률은 0.00759375%로, 약 1/13169에 가까운 극악의 확률이었다. 워시로토무가 HP를 1 남기고 버틴 확률까지 고려하면 거의 불가능한 상황.[3] 에이스번 계열은 8세대 당시에 도깨비불을 못 배웠지만 9세대에서는 배울 수 있다. 다태우지네는 진화 전인 태우지네 상태에서 못 배우고, 9세대에서는 무쇠독나방이 이걸 못 배운다.[4] 가디안과 엘레이드는 4세대에서는 오직 교배기로만 배우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5세대에서는 그냥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파비코리와 그란돈은 9세대부터 배운다.[5] 무려 디아루가를 격추시켜 호수에 빠뜨릴 정도의 위력을 자랑한다.[6] 7세대까지는 식스테일 상태에서만 자력으로 배우고, 나인테일은 8세대부터 배운다.[7] 나인테일과 마찬가지로 샹델라 시기에서도 자력으로 배우는 건 8세대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