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 키트리지

덤프버전 :




파일:미션 임파서블 (영화) 로고.png

Eugene Kittridge
유진 키트리지





1. 개요[편집]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등장인물. 1편 당시 IMF의 국장이자 7편에는 CIA 국장. 배우는 헨리 처니. 국내 지상파 방송분에서의 성우는 권혁수(MBC), 남궁윤(SBS).


2. 작중 행적[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미션 임파서블[편집]


파일:유진 키트리지 미션 임파서블 1.png
IMF의 국장. 작전에 구멍이 계속 뚫리고, 펠프스의 팀원들이 에단을 빼고 모조리 몰살당했다는 에단의 전화를 받고 현장에 직접 나타난 후 최근 2년 동안 정보가 새나가는 상황이면서 무기상 맥스가 NOC 리스트를 사려고 하는 '욥 314'[1] 작전으로 인해 내부에 첩자가 있다고 판단해 미션 과정에서도 다른 요원들까지 투입해 첩자를 잡으려고 했던 작전을 세웠고 거기서 살아남은 에단을 추궁하고 첩자로 몰아간다.[2] 그 과정에서 껌폭탄을 활용한 에단의 기지로 물폭탄을 맞는 건 덤.

CIA를 털어가버리자 머리 끝까지 분노하여 에단이 침투한 곳의 담당자였던 윌리엄 던로를 알래스카 한직으로 보내버리고, 그의 어머니와 삼촌을 마약 밀매업자로 구속시켜 협박하지만, 전화를 통해 최소한 에단이 그 시점에 런던에 있음을 알아낸다. 그리고 런던에 도착했을 때 TGV 열차표를 받고 탑승하게 된다. 그리고 짐 펠프스가 이단이 가지고 있던 화면을 전송해주는 안경 때문에 흑막이었고 살아있음을 알게 되고[3], 후에 맥스를 잡게 되는데 모종의 사법거래를 한 듯하다.

나중엔 일이 잘 해결되어 이단을 다시 복귀시키고, 덤으로 루터도 사면 시켜준다.


2.2.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편집]


27년 만에 시리즈에 복귀하였다. 배우 역시 1편과 동일. 전작의 국장직을 맡았었던 에리카 슬론의 뒤를 이어[4] 새로운 CIA 국장으로 부임했다.

오프닝 장면에서 이단이 전달받은 테이프의 브리핑 목소리로 처음 등장한다. 에단은 이 열쇠가 어떤 용도인지 묻지도 생각하지도 말고 그냥 가져오면 되며, 자신이 어떻게 IMF에 들어오게 됐는지 잊지 말라는 경고의 목소리를 듣는다.

이후에 CIA 요원들과 함께 정부 브리핑에 참여하다가 그의 미션을 수행하고 돌아온 (키트리지 국장의 부관으로 변장한)이단 헌트와 접선한다.[5]

키트리지: 대의를 위해 싸우던 시절은 끝났어. 어느 편에 설지 골라야 해.

에단: 나는 항상 내 편에 설 거야.

미국의 안보를 위해 일사를 희생시키고, 사실상 이단에게 죽은 일사에게서 열쇠만 쏙 빼오라고 시킨 셈[6]이라 그가 빡돌지 않고 배길 리가 없었으니, 위장을 드러내자 헌트에게 그에 대해 해명을 한다. 보안과에서 부관이 가짜임을 눈치채고 전화를 걸자 보안요원에게 헌트가 여기있다는 것을 넌지시 알려줌과 동시에 헌트에게도 여기를 어떻게 탈출할 것인지 묻는다. 이에 헌트가 키트리지 본인으로 벌써 위장한 걸 보고 '그러면 그렇지..'하는 표정으로 체념하고는 헌트로부터 마취총을 맞는다.[7] 그 뒤에 헌트는 도망자로 수배되어 전세계의 적으로 내몰리게 된다.

영화 후반부에 화이트 위도우와의 접선을 위해 다시 등장한다. 그리고 엔딩 부분에서 키트리지의 내레이션을 통해 키트리지 국장이 실제로는 에단의 미션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극 중에서 미국 정부는 네트워크를 자유자재로 드나들며 전세계의 트래픽을 자유자제로 조작하는 범용인공지능 (AGI)인 엔티티를 확보하려는 야심을 가졌고,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였다. 엔티티를 통제하여 전세계의 군사적인 패권 확보라는 미국 정부의 목표로 인해 정부기관인 IMF가[8] 이단에게 적극적 지원은 커녕, 공식적으로 이단과 적대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 속에서, 키트리지만이 유일하게 이단의 능력을 믿고 이단에게 확고한 목표의식을 부여하여 그의 비공식 작전을 응원했던 것.[9][10] 이후 열쇠탈취 작전의 협력자였던 그레이스를 새로운 요원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2.3.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TWO[편집]




3. 기타[편집]


  • 역대 IMF 국장들 중에서 그나마 무사히 퇴장한 인물 중 한 명이다.[11] 하지만 데드 레코닝 PART ONE(7편)에서 다시 복직했기에, 그의 최후가 어떻게 될지는 데드 레코닝 PART TWO가 개봉해야 알 수 있다.

  • 루터의 교란으로 이단 헌트에게 여러번 당했던 것으로 인해 날이 선 재스퍼한테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얼굴을 잡아당겨질 뻔했다(...). 볼때기까지 꼬집히는 수모를 겪고 대노해서는 가서 열쇠 못 찾으면 우체국 집배원으로 강등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으나, 이후 "공식적으로 여기 계신 것도 아닌데 그냥 조용히 하고 계시라"며 하극상까지 당했다. 27년 만에 돌아와서도 동네북

[1] 욥기 3장 14절에서 따 왔다.[2] 파티장에서 봤던 사람 몇몇이 키트리지와의 대화 중이던 식당에 있었던 것을 에단이 파악했기 때문이었다.[3] 물론, 이단은 이미 성경에 찍힌 기드온 문구 때문에 흑막이 짐인 것을 알고 있었으며, 런던에서 다시 만난 짐은 키트리지를 흑막이라며 몰아갔다.[4] 전작에서 사고친 것 때문에 짤린 설정이거나, 영화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촬영 때문에 빠진 듯. 다만 벽에 걸린 전임 국장들 사진으로 잠깐 등장하긴 한다.[5] 키트리지를 제외한 전원을 기절시키기 위해 초록색 가스탄을 터뜨리는데, 개봉 전에는 이 가스가 3편에 첫 등장한 토끼발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으나, 단순한 수면 가스였을 뿐, 별다른 장치는 아니었다.[6] 이단 헌트에게 일사를 찾으라고 명령한 동시에, 일사를 찾아 죽이라고 용병들을 고용한 자 또한 키트리지였다.[7] 키트리지의 기절과 동시에 오프닝으로 이어지는데, 이 씬의 연기가 일품이다. 불과 5초 안되는 시간 동안 놀람 당황 분노 기절이 모두 담겨 있어 역대 오프닝 시퀀스 중에서도 아주 맛깔나게 잘 뽑혔다.[8] 이번편에는 IMF 국장이 아닌 중앙정보국 국장으로 나와 중앙정보국 요원들을 투입했다. IMF 국장 앨런 헌리는 전작에서 칼맞고 사망하며 또 공석이다. 다만 초반에 이단에게 지령을 내린게 키트리지 인걸로 보아 과거 IMF 국장을 맡은 적도 있고, 형식적으로는 CIA의 하위부서이기 때문에 키트리지가 IMF를 지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IMF 국장자리는 매번 쉽게 암살 당하는 자리라... 겸직하는듯[9] 결국 1탄 이전의 시점과 스토리가 맞물리면서 키트리지 국장의 정신적인 멘토 역할이 부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어쩌면 이미 키트리지도 엔티티가 세계를 파국으로 몰아갈수있는걸 이미 눈치 챈거일수 있다.[10] 헌트의 계획도 그레이스가 키트리지에게 스카웃되는 것으로 보호받게 하는 것이었던 만큼 그 역시 키트리지의 본심을 알았거나 적어도 악당은 아니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레이스가 키트리지에게 본인을 요원으로 받아들이라고 요구할 때 키트리지를 이단이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고 말하는걸 보면 거의 확정이나 다름없다.[11] 이외에 안소니 홉킨스가 연기한 2편의 스완벡과 로렌스 피시번이 연기한 3편의 시어도어 브래슬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3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9:24:50에 나무위키 유진 키트리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