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군 1차 공세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
북한군의 남침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6.25 전쟁에서 중공군과 유엔군, 국군이 최초로 조우한 사건이다.


2. 상세[편집]


6.25 전쟁에서 북한군은 남침하여 대한민국을 낙동강 일대까지 몰아붙였으나, UN군의 원군과 인천 상륙작전으로 전선이 크게 밀리기 시작한다. 이후 북한군은 청천강압록강 일대까지 밀리게 된다. 이 상황에서 김일성은 중국에 도움을 요청하고, 이렇게 중공군이 6.25 전쟁에 참전, 남하하게 된다.

압록강까지 밀고 올라간 유엔군과 국군은 늦어도 11월23일 추수감사절 전까지 전쟁을 끝낸다는 목표를 세웠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쉬지않고 북진하였다.

하지만 중공군은 한참 전에 압록강을 건너 북한 적유령 산맥에 숨어있었다.

유엔군과 국군이 서부전선 청천강을 도하하고, 동부전선 함흥, 흥남을 점령 후 장진호와 청진 방향으로 총공세를 펼치는 그 때 10월 25일 중국인민지원군 제13군은 기습 공격을 감행해 적유령 산맥 남단에 5개 군을 전개, 1개 군을 장진호 북쪽에 전개하여 동부에서는 유엔군과 국군의 전진을 저지하였고, 서부에서는 운산-희천 방향으로 공격을 강행해 유엔군 및 국군을 청천강 이남으로 격퇴시킨다.

그리고 홀연히 자취를 감춘다.[1]

매우 의심스러운 상황이었으나 크리스마스 전에 전쟁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간다는 맥아더의 신념 하에 유엔군은 계속 북진한다.

중공군의 공세는 총 7개가 있으며

2차 공세가 청천강 전투와 장진호 전투로 이어진다.
3차 공세로 인해 유엔군은 1.4후퇴를 하였다.
4차 공세가 횡성 전투와 지평리 전투로 이어진다.
중공군 춘계 공세라고도 불리는 5차 공세는 임진강 전투(설마리 전투, 파평산 전투)로 이어진다.
6차 공세는 5차 공세 실패로 주도권을 잃은 마오쩌둥이 여전히 재공세를 명령한 것으로 현리 전투와 용문산 전투로 이어진다.
7차 공세는 6차 공세로부터 무려 2년 후에 개시되었으며, 금성 전투로 이어진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1 18:49:57에 나무위키 중공군 1차 공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공군은 유엔군을 돌파할 수 있었으나 보급문제로 11월 5일 철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