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하동

덤프버전 :



유성구행정동
학하동
鶴下洞 | Hakha-dong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유성구
행정표준코드
3670191
관할 법정동
학하동, 계산동, 덕명동, 복용동
하위 행정구역
28통 149반
면적
13.40㎢
인구
18,834명[1]
인구밀도
1,405.52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유성구 갑

조승래 (재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박종선 (재선)
유성구의원 | 가 선거구

김동수 (재선)

박석연 (초선)

여성용 (초선)

행정복지센터
학하북로 75-21 (학하동 716-7)
학하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상권 및 인프라
3. 하위 동(4동)
3.1. 학하동
3.4. 복용동
4. 주요 시설
4.1. 교육
4.1.1. 초등학교
4.1.2. 중학교
4.1.3. 대학교
4.2. 주거
4.2.1. 아파트
5. 교통
5.1. 버스
5.1.1. 간선
5.1.2. 지선
5.1.3. 외곽
5.1.4. 마을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

2021년 11월 1일에 신설되었으며, 온천1동에서 덕명동과 복용동을, 진잠동에서 학하동과 계산동을 받아와 분동되었다. 학하동 이름의 유래는 제법 멋진데, 지세가 학이 내려앉는 형상이라고 해서 붙여졌다.

행정동 밑에 동명의 법정동이 있다. 법정동들은 화산천과 학하로를 경계로 X자로 나뉘며[2], 북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덕명동, 복용동(유성대로 서쪽), 학하동, 계산동이다.

전민동을 쌈싸먹을 정도로 유성구 내에서 매우 고립된 곳으로, 행정동 시가지가 3면이 산, 남은 한 면도 호남고속도로 지선이 완전히 꽉 막고 있으며, 바깥으로 나가는 곳도 시골길 하나 포함 단 3곳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주변의 도안신도시나 노은지구, 유성 시가지와 연담화가 전혀 안되어있다.[3] 또한, 면적의 2/3 가량이 산이다 보니 실질 가용면적은 많이 좁은 편. 대신 계룡산 자락에 위치하고 수통골이 바로 근처에 있어 자연 환경은 매우 뛰어나다.

워낙 고립된 위치에 있다 보니 학하지구와 북쪽 끄트머리의 덕명지구도 이미 1차 개발은 다 끝난 상태인데도 인구 수가 유성구 내에서 가장 적다. 2022년 기준으로 유성구 내에서 유일하게 2만명이 안되는 행정동이다. 그래도, 아직 법정동 학하동 일대에 아파트 단지가 추가로 조성될 예정이며, 그 외에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지구가 추가로 대단지가 계획되어 있다.

2. 상권 및 인프라[편집]


파일:학하동 주변.jpg

2022년 기준으로도 향후 학하동의 중심지가 될 학하사거리에서 반경 2.5km 안에 시가지가 제대로 형성된 곳이단 한 곳도 없다.[4] 그나마 한밭대 정문 인근에 상업용 건물이 들어서 있기는 한데 일반적인 시가지하고 비교하기에는 규모가 매우 작다.

한밭대라는 국립대학을 끼고 있음에도 상권이 매우 부실하다. 한밭대가 옮겨온 98~00년에는 정말 대전에 이런 곳이 있나 싶을 정도로 대전에서 알아주는 깡촌으로 과수원이 펼쳐져 있었다.[5] 그나마, 계산동과 덕명동의 한밭대 인근은 학하지구 개발 이후로 조금씩 건물들이 들어오면서 지금은 다이소를 포함해 약간의 상권 정도는 갖춰진 상태다. 계산동과 학하동 경계 부근도 아파트 단지 3개가 있는 곳이다 보니 최소한의 프랜차이즈 정도는 있다.

그 외에도 수통골이 관광지로 적당히 인기가 있는 곳이다 보니 수통골 인근에는 음식점이 꽤나 많다. 특히, 한밭대 정문에서 도보로 약 10~15분정도 걸리는 수통골 차고지 인근에 오리고기집이 유명한 곳이 꽤 되는 편. 하지만 가격대는 꽤 센편이라 주머니가 가벼운 대학생들은 갈 일이 없고, 수통골 관광객이나 가족단위로나 갈만한 곳이다.

그 외에는 정말 아무것도 없다. 학하지구 계획도에서 상업지구로 지정되고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한 학하동도 주변에 아직 아파트 단지가 완공되지 않아서 대부분 허허벌판이고, 아예 시가지가 갈라져있는 덕명지구는 주변에 치킨집도 거의 없다. 덕명지구 쪽에는 프랜차이즈는 BHC가 유일하고 편의점 몇개 정도뿐.[6] 학하지구 1차 개발이 2011년이었는데 괜히 미분양이 뜬게 아닐 정도로 인프라가 정말 없다. 현재 인프라도 오투그란데 2개 단지가 더 추가되면서 구색이 간신히 갖춰졌다. 앞으로 학하지구 2개 단지와 임대주택 2개 단지가 추가되면 그럭저럭 인프라가 갖춰질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주변의 노은지구나 유성 시가지로 버스로 갈 수 있어서 현재까지는 그쪽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학하지구 기준 두곳 다 약 20분 정도 걸린다.

3. 하위 동(4동)[편집]



3.1. 학하동[편집]


유성구법정동
학하동
鶴下洞 | Hakha-dong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유성구
행정표준코드
3020010500
관할 행정동
학하동
면적
2.22㎢

명색이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해있는 중심 동이지만 시가지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빈 땅만 그득하다. 호산 인근에 아파트단지가 계획되어 있으나 현재는 1개 단지만 건설 중이다. 대신에, 계획상 잡혀 있는 아파트 단지만 4개 단지에 약 2,800세대에 육박하다 보니 개발이 완료되면 발전할 가능성은 높다. 학하지구에서 유일하게 상업지구로 설정된 곳도 현재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한 곳이고, 도안과도 동서대로만 뚫리면 제일 가까운 곳이라 잠재력은 학하지구 4개 법정동 중 제일 높은 편.

특이하게, 유성대로 동쪽 구간도 그대로 분동되었는데 이 지역은 도안 2-2구역에 포함되어있다. 2022년 초까지는 해당 구역에 도시개발구역 취소 소송전까지 벌어지면서 개발이 늦어지나 했지만 소송 취하 이후 빠르게 정상화된 상태다. 대우건설이 수주했으며, 총 51개동 5,290세대짜리 대규모 사업이라 완공된다면 100% 분할될 것으로 보인다.


3.2. 덕명동[편집]


수통골을 끼고 남서쪽으로 길게 뻗어있지만 대부분이 산이라 평지는 절반이 채 안되는 좁은 동이다. 한밭대학교와 유성CC, 삼성화재와 신협의 연수원이 동 중앙을 딱 막고 있어서 시가지도 학하지구와 덕명지구로 찢어져있는 상태. 덕명지구도 현충원로를 사이에 두고 덕송초 인근의 아주 좁은 땅을 포함하고 있어서 엄밀하게 말하면 3조각이 나 있으며 , 수통골과 한밭대 상권 사이도 안산이라는 조그마한 산이 가로막고 있다.

한밭대 인근은 현재 학하지구의 중심지와 한밭대 대학가로 기능하고 있지만 현충원로 인근의 덕명지구는 완전히 단절되어 있고 상권도 형성되지 않아서 노은지구쪽에 크게 의존한다. 덕명지구와 한밭대 상권까지의 거리도 약 1.5km 내외라 가깝지는 않은 편이다. 특히, 2009년에 한밭대로와 동서대로를 직결하면서 왕가봉 쪽으로 길이 뚫린 덕분에 한밭대만 덩그러니 떨어져 있던 시절에 비하면 노은과의 교류가 대폭 늘었다.

학하로와 동서대로-한밭대로로 이어지는 학하지구의 관문이기도 하다.


3.3. 계산동[편집]


현재 실질적인 학하지구의 중심지이며, 한밭대 인근의 덕명동과 연담화가 되어 있고, 오투그란데 2개 단지와 학하 리슈빌 사이에 낀 단독주택지구에 기본적인 상권 정도는 형성되어 있다. 학하지구에 남은 지역은 모두 산이라 사실상 더 개발하긴 어려운 상태다.

학하지구 남쪽에 계산리 시절의 풍경이 그대로 남아있는 시골마을이 있지만 매우 좁은 원계산로 하나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현 계산동 시가지랑은 연결성이 약하다 보니 동서대로를 뚫고 동서대로 인근까지 다 개발한 이후가 아닌 이상 개발될 가능성은 낮다.

학하동의 나머지 지역은 1983년 대전 시역 확장때 대전에 편입되었지만 계산동 일대는 대덕군 진잠면에 남아있다가 1987년에 편입되었다.

화산천을 끼고 유성 유스호스텔이 위치해있다. 화산천 이남 구간만을 담당하고 있는 계산동에서 유일하게 화산천 이북에 위치한 곳이다.


3.4. 복용동[편집]


유성구법정동
복용동
伏龍洞 | Bogyong-dong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유성구
행정표준코드
3020011600
관할 행정동
학하동, 상대동
면적
2.01㎢

상대동과 함께 복용동을 반으로 갈라 편입했으며, 학하동에 위치한 서쪽은 학하지구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학하지구 개발계획으로는 대부분이 단독주택용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개발이 지지부진한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입주해있는 상태다. 바로 위 박산에는 복용실내승마장이 있지만 길이 뚫려있지는 않으며, 소속도 덕명동에 속한다. 참고로, 박산 자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밭이 위치한 시골 산동네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바로 앞에 한밭대 공동실험실습관이 위치해서 대로변에서 확인하기도 어렵다.

동서대로 연결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성대로로 연결되는 학하로가 있어서 학하지구의 관문 중 하나이다. 복용삼거리에서 유성대로를 타면 시외버스터미널이나 구암역, 유성 시가지로 바로 연결된다.


4. 주요 시설[편집]


  • 유성CC
  • 삼성화재 유성연수원
  • 신협 중앙연수원
  • 복용실내승마장
  • 대전 장애인체육센터
  • 대전광역시 시립정신병원
  • 유성유스호스텔

상술했듯이,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도심지 외곽에서나 볼법한 시설들이 많다. 특히, 정신병원은 학하리 정신병원으로 유명했는데 학하동이 얼마나 외진 곳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대전현충원도 바로 인근에 위치해있다.

4.1. 교육[편집]


대학교도 있는데 고등학교는 없다. 대신에, 복용동 학하로 인근에 고등학교 부지가 잡혀있다.

4.1.1. 초등학교[편집]


  • 대전계산초등학교
  • 학하초등학교
  • 덕송초등학교

4.1.2. 중학교[편집]



4.1.3. 대학교[편집]



4.2. 주거[편집]



4.2.1. 아파트[편집]


아파트명
세대수
입주일자
건설사
덕명지구 운암 네오미아
544
2010년 5월
운암건설
덕명지구 하우스토리아파트
474
2010년 5월
남광토건
학하지구 계룡리슈빌 학의뜰
704
2011년 8월
계룡건설산업
학하지구 오투그란데 미학
1,000
2011년 11월
제일건설[7]
유성 오투그란데 리빙포레
778
2018년 6월
제일건설
유성숲 오투그란데 3차
662
2019년 11월
제일건설
학하 리슈빌 포레
634
2022년 9월
계룡건설산업
대전 에코시티
418
미정
미정[8]
한화 포레나 대전유성
1,756
2026년 2월
한화건설

5. 교통[편집]


상술했듯이 현재는 교통이 정말 끔찍하게 불편하다. 학하지구 외부로 연결된 도로는 학하로와 동서대로 덕명동 구간 뿐이며, 엣 학하동 시절의 시골길이 그대로 남아있는 진잠옛로도 학하지구 밖으로 연결되있기는 하지만 선형도, 차로 수도 포장된 시골길 수준에 불과해서 불량하다. 가장 불편한 점은 동서대로에서 학하지구로 들어오는 학하중앙로가 지구 밖으로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학하사거리에서 학하로로 갈아타야 한다.

대중교통도 썩 좋진 않은게, 학하지구에서 외부로 나가는 113번, 117번, 마을 3번 모두 배차간격이 20~30분에 달한다. 그나마 덕명지구는 수통골에서 출발하는 102, 103, 104번을 타기 용이해서 이 부분에서는 유리한 편. 특히, 102번 같은 경우는 배차간격이 10분 안쪽으로 끊기는 대전에서 몇 안되는 버스다.

2022년 9월에 유성대로 방면의 대개편이 있을 예정이었는데, 가장 피해를 많이 볼 지역이었다. 704가 구암역으로 단축되어 사라지는게 가장 컸는데, 지금도 한밭대 앞을 지나면 관련 현수막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102, 103, 104, 113번 버스가 현충원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현충원역이 사실상 학하동의 관문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실제로, 현충원역 인근엔 역세권이랄 것 자체가 거의 없는데 학하동의 관문으로 이용되면서 이용객 수 꼴찌는 면하고 있다.

덕명지구가 현충원 인근의 덕송초 부근까지 포함되면서 근처에 서는 107번 버스나 계룡 버스 48, 공주 버스 300, 공주 버스 340도 이용이 가능하긴 하다. 현충원과 갑동을 포함하는 노은 1동과 함께 공주나 계룡 방면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공주 방면은 32번 국도를 타고 현충원로를 타서 학하동 쪽으로 오는게 대전으로 들어오는 가장 빠른 길이다.

다행인 점은, 교통이 불편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보니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업이 많이 예정되어 있다. 우선, 덕명동에서 수통골까지 이어진 동서대로를 연장해 학하로, 유성대로와 접속시키기로 되어있다. 유성대로 반대쪽인 도안동 구간도 2019년 4월 16일에 완공된 상태라 연장만 되면 도안, 둔산과의 교통이 눈에 띄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산을 두 군데나 뚫어야 해서 현재까지 지지부진한 상태였으나 동서대로 예정지에 한화 포레나가 들어설 예정이라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호남고속도로 지선에 가칭 현충원 나들목을 신설하기로 되어있는데 위치가 동서대로 확장 구간과 일치한다. 현재 유성 나들목이 진입로가 매우 짧아서 혼잡하다 보니 새로 신설할 예정이며, 이 경우 대전의 외곽 고속도로를 통해 구도심이나 신탄진으로의 교통 흐름도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언제가 될 지는 알 수 없지만 대전 5호선 계획이 한밭대에서 출발해 동서대로를 따라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2021년 신년사에서 추진 의사를 밝히긴 했기에 가능성이 없지는 않았으나 위의 두 역점사업도 제대로 삽도 뜨지 못한 상태라 근시일 안에 이루어질 일은 없어 보였고, 해당 계획을 계승해서 대전 3호선으로 추진하던 허태정 시장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낙선하는 바람에 물거품이 되었다.

대신에, 새로 당선된 이장우 시장은 호남고속도로지선 유성분기점~서대전분기점 구간 지하화를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들고 왔는데 실현만 된다면 고립에서 벗어나 학하중앙로를 도안으로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면서 주변의 도안 및 유성과의 연계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5.1. 버스[편집]



5.1.1. 간선[편집]



5.1.2. 지선[편집]



5.1.3. 외곽[편집]



5.1.4. 마을[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2] 단, 덕명동과 복용동의 경계는 학하로를 따라가지 않고 둘 사이에 있는 박산을 가로지른다[3] 애초에, 대전 자체가 산이 많은 분지 지형이라 이런식으로 주변과 따로 노는 지역이 제법 많은 편이다. 가오동이나 용운동이라던지, 갑천으로 둘러싸인 도시 내부의 섬으로 전민동이나 대화동도 있다. 그래도 이런 곳들은 주변 시가지와 멀지 않고, 에외적으로 혼자 동떨어진 전민동 같은 경우는 자체적으로 시가지를 형성할만큼 좁은 곳에 인구가 몰려 있어서 학하동보다는 사정이 낫다. 다만, 학하동도 도안신도시가 점차 가까운 곳에 개발되고 있는 데다, 고립의 끝판왕 격인 둔곡지구, 산내동 등이 개발되고 있어서 몇년 후에는 상황이 또 달라질 것이다.[4] 다행히도, 개발이 엎어질뻔 했던 상대동/학하동쪽 도안신도시가 정상화되면서 개발 계획이 잡혀서 몇년 후에는 고립상태에선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5] 당시 지리표시제 특산물로 유성배와 학하 밤고구마가 유명했을 정도. 유성구가 해가 다르게 개발되고 있는 지금은 옛말이 되었다[6] 특이사항으로, 약 반경 100m를 두고 세븐일레븐이 무려 3개가 몰려있다. 왕가교를 사이에 두고는 두 세븐일레븐이 마주보고 있을 정도[7] 풍경채로 유명한 제일건설(주)와는 다른 회사다. 이 회사의 브랜드는 오투그란데[8] 학하지구 계획 초기에는 대림그룹(現 DL건설)에서 A5 블럭을 맡기로 되어있었기에 e편한세상 브랜드 적용 예정이었으나 개발이 늦어지는 사이에 대림측에서 사실상 손을 떼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이 지역주택조합으로 대우산업개발을 시공사로 선정해 유성 에코시티 이안으로 변경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또한 2017년부터 계속된 승인거절과 소송으로 삽조차 뜨지 못한 상태이며, 현재는 어느 건설사가 시공할지조차 정해지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4.2;"
, 7.4.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4.2;"
, 7.4.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0:01:34에 나무위키 학하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