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2

덤프버전 :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
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
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
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
AH-1S, AH-64DJ
대잠헬기
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
1세대
F-86(D/F)R
2세대
F-104(J/DJ)R
3세대
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
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
F-35A/{B}
6세대
{GCAP}
수송기
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
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
UAV
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
조기경보기
E-767, E-2C/{D}
해상초계기
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
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
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
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
EC-1, YS-11(EA/EB), {EC-2}
훈련기
프롭
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
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
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Shinmaywa_US-2_1.png
ShinMaywa US-2 救難飛行艇(きゅうなんひこうてい

1. 개요
2. 제원
3. 특징
4. 수출
4.1. 인도 수출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본 신메이와 공업이 개발한 4발 터보프롭 비행정.

현재 해상자위대가 도입중인 기종으로 US-1의 후속기종으로 개발되어 2003년 12월 18일 초도비행에 성공하였고 실전배치는 2007년 3월 30일 시작되었다. 주로 구난, 환자이송 등의 임무에 투입되는데 전작인 US-1과 달리 기체 전체가 여압식이어서 구호임무에서 보다 효과적이며, 최대 상승한도 역시 향상되었다. 비행정을 잘 만들기로 소문난 신메이와[1]이기 때문에 앞으로 전망이 기대되는 기종이다. 2014년에는 인도와 계약하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최초로 수출된 군용기로 기록될 뻔 하였으나 연기된 상태이다.[2]


2. 제원[편집]


US-2 구난비행정
조종사
3명
탑승객
승객 20명, 또는 들것 수용상태의 환자 12명
전장
33.46m (109피트 9인치)
전폭
33.15m (108피트 9인치)
높이
9.8m (32피트 2인치)
익면적
135.8제곱미터 (1,462제곱피트)
공허중량
25,630kg (56,504파운드)
만재중량
43,000kg (94,797파운드), 수상
최대 이륙중량
47,700kg (105,160파운드), 육상
엔진
4x 롤스로이스 AE 2100J 터보프롭, 기당 4,591마력 (3,424kW)
경계층 제어
1x LHTEC T800 터보샤프트, 1,360마력 (1,015kW)
프로펠러
다우티 R414 6엽 블레이드
최대속도
560km/h (302노트, 348mph)
순항속도
480km/h (259노트, 298mph)
항속거리
4,700km (2,538nmi, 2,919마일
실용 상승한도
7,195m (23,606피트)
MTOW[3] 육상 활주거리
이륙 : 490m (1,608피트)
착륙 : 1,500m (4,921피트)
MTOW 수상 활주거리
이수 : 280m (919피트)
착수 : 330m (1,083피트)


3. 특징[편집]


랜딩 기어가 내장되어 있어서 육상과 수상 어디서든지 발착할 수 있으며 신메이와 특유의 노하우인 능파장치[4]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이/착수를 지원[5]한다. 또한 롤스로이스 AE 2100J 터보프롭 엔진을 4기 탑재,[6] BLC[7] 시스템으로 강력한 STOL 성능[8] 및 긴 항속거리를 자랑한다. 그리고 이/착륙 성능도 수상에서는 만재상태로 이수 280m, 착수 330m로 아주 강력하다. 육상에서의 만재 이륙거리도 490m면 충분하다. 그러나 문제는 육상에서 착륙거리는 1,500m 정도 수준으로 매우 긴 편이라는 것. 즉, C-17이 착륙가능한 비행장에 더 작은 US-2가 착륙을 못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다.


4. 수출[편집]


2005년 파리 에어쇼에서 선보인 이 기체의 소방용 버전은 20여개국의 관심을 끌었으며, 정부기관 이외에 민간수요도 있음이 시장조사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단 이 기종은 해상자위대에서 쓰일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기에 무기 수출금지 3원칙에 걸려서 수출이 불가능한 상태였었고, 3원칙의 완화 또는 해석 변경의 필요성을 논하는 근거 중 하나로 US-2의 수출 문제가 자주 거론되기도 했었다. 2014년 4월 1일 이후부터는 3원칙이 폐지되었으니 만큼 절차 상의 수출 문제는 사라졌다.


4.1. 인도 수출[편집]


2013년 5월 27일, 인도에 수출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이 공식적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인도 해군에 수출하기 위해 무기 수출 3원칙을 완화하고, 세 차례의 협상을 거친 끝에 2015년 2월, 12기를 16억 5000만 달러에 수출하기로 최종 합의하는데 성공했다.# 인도는 먼저 2기를 완제품 수입하고 나머지 10기를 라이센스 생산하기로 했는데 인도 해군 외에도 인도 해양경찰 역시 US-2를 운용하길 바라고 있어 도입 물량이 늘어날 전망이었다.

하지만 2016년, 도입이 연기되었다는 소식이 인도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고, 내부적인 이유로는 인도 국방부가 US-2 구입을 요청하는 해군의 요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같은 해인 2016년 11월 경 조달계약이 체결될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인도에서 연기한 상황이며, 2018년 3월 인도 일본대사와 현지 언론 인터뷰에 따르면 여전히 협의가 진행중이라고 한다.

결국 2023년 기준으로도 계약에 대한 논의는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각에서는 유야무야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01:57:37에 나무위키 US-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메이와의 전신인 카와니시는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 유명했다. 카와니시의 N1K 쿄후 수상전투기는 후에 육상전투기로 개조되어 일본군 최고의 전투기 중 하나인 N1K-J 시덴이 되었다.[2] 현지 언론보도에 따르면 해군은 도입에 적극적이나 정작 국방부에서는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한다.[3] Maximum TakeOff Weight. 즉, 최대 이륙중량.[4] 신메이와에서는 가쓰오부시(カツオブシ)라고 칭하는 장치로 동체에 부딪힌 물살이 위로 튀어오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5] 시 스테이트 5(파고 약 3m)에서 이/착수 가능.[6] 최대 이륙중량 79,400kg에 달하는 C-130J에 탑재되는 엔진이 이와 같은 계열의 AE 2100D3 터보프롭이다. 그런데 US-2는 47,700kg. 그러니 엔진 추력이 잘 먹힐 수밖에 없다.[7] Boundary Layer Control. 즉, 경계층 제어. 날개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압축 공기를 흡입/분사함으로서 압력 상승을 방지, 실속하는것을 막는 기술이다.[8] BLC 시스템이 실속을 강제로 막아 90km/h(49노트, 56mph)로 어프로칭이 가능하다(...) 항목 상단의 동영상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