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이천

덤프버전 :

{#fff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하천
[ 펼치기 · 접기 ]
가오천감이천고덕천공대천굴포천
구파발천금호천긴고랑천난곡천난지천
내곡천녹번천당현천대동천대방천
도림천도봉천동부간선수로마장천마전내
만초천망월천면목천목감천못자리골천
무수천묵동천반포천방배천
(사당천)
방학천
백운동천봉원천봉천천불광천사근천
상도천새원천샛강선통물천성내천
성북천성수천세곡천세교천[1]아현천
안양천양재천여의천역곡천오류천
옥류동천우면천우이천원지천월곡천
장지천전농천정릉천중랑천진관천
창릉천청계천탄천한강한남천
행당천현충천홍제천화계천화랑천
회기천후암천
복개천
[1] 사라짐



🌊 한강의 지류
[ 펼치기 · 접기 ]
정렬 가나다순 · : 현재 복개한 지류


가정천
가정천
간매천
개화천
계양천
계장천
고교천
고명천
곡수천
골지천
광천
구룡천
국사천
궁촌천
금당천
금사천
남천단양
내사천
노동천
단양천
당곡천
대장천
덕평천
덕풍천
도곡천
도촌천
동달천
동대천
매포천
법천천
보발천
복포천
봉성포천
사이곡천
사탄천
산곡천
상리천
석항천
성덕천
수산천
신내천
양근천
양택천
양화천
어곡천
어천
연양천
영덕천
오금천
오대천
오량천
옥동천
용담천
용탄천
운계천
월문천
임계천
장선천
장월평천
정암천
제천천
조동천
죽령천
지장천
창리천
척천
하일천
한포천
향금천
향동천
향리천
홍릉천
후포천
흑천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경기도 지방하천
감이천

| Gamicheon River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도 하남시
서울특별시 송파구
수계한강수계
└성내천 종속수계
발원경기도 하남시 감북동 일자산
합수부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89-24
유입능안천, 벌말천
유출성내천
길이2.59km
유역면적8.03km²
유량
하천코드1024920
1. 개요
2. 역사
3.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하남시 감북동 일자산 자락에서 발원한 실개천이 고골지지 부근에서 합류한 뒤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단지 내부에서 성내천에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2. 역사[편집]


이름과는 다르게 감이동을 전혀 지나가지 않지만, 감북동감일동, 감이동에서 흘러드는 능안천벌말천 등의 소하천을 합쳐 성내천으로 나아간다. 본래는 감북동, 감일동, 감이동이 모두 같은 감천리(甘泉里)에서 분리된 곳이고, 이 하천의 샘물이 달다하여 달 감() 자가 붙었으므로 세 동네 지명의 유래는 모두 이 감이천에서 유래된 것이다.

하천명이 완전히 정해지지 않았을 때는 감천(甘川) 등으로 쓰였으며,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단지 내부 안내도에는 감천으로 적혀있다.


3. 기타[편집]


성내천의 지천이지만 자연하천 감이천은 성내천에 직접 합류하지 못한다. 송파구하남시경계에서 물길을 완전 분리하여 하남시 관내에서 흐르던 자연하천은 평시에는 모두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기 때문. 송파구 관내에 흐르는 감이천은 지하수를 이용한 사실상의 인공수로이며, 하남시의 감이천과는 사실상 별개의 하천이다. 감이천의 실태를 고발한 기사

이는 본류인 성내천 또한 마찬가지로, 남한산부근의 자연하천 성내천과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진 성내천은 서로 단절되어있다. 여름에 비가 많이 올때나 되어야 본류의 물이 월류하는 수준으로 아주 일시적으로만 이어진다. 다른 복원된 하천들도 대부분 본류와는 단절된 형태를 띠는데 우리나라의 하상계수가 너무 클 뿐 아니라 환경파괴로 인하여 상류의 수원이 고갈되어 사시사철 졸졸 흐르는 하천의 모습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감이천의 경우에는 하남시 관내 부근에서는 수량이 풍부한데도 상류와 하류가 단절되어 아쉬운 케이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21:26:42에 나무위키 감이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