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강진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강진군 CI.svg 전라남도 강진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강진군 전역 +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전역
도의원강진군강진군 전역

2. 개요[편집]


강진군 출신 농민운동가인 김영진이 3선을 한 지역이다. 이후에는 김대중 정부에서 국방부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한 천용택이 당선되었다.

인구 감소로 지역구 개편이 계속되고 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선거구가 해체되면서 강진군은 이웃 장흥·영암 선거구에 붙게 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영암군이 무안·신안에 붙고 강진군과 장흥군은 고흥·보성에 붙었으며,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한 황주홍이 원래 지역구인 강진군, 장흥군의 압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황주홍은 3선 강진군수 출신으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고흥군 출신으로 19대 국회의원(고흥군·보성군)을 지낸 김승남 후보가 황주홍 전 의원을 꺾고 국민의당 경선에서 떨어졌던 것을 설욕하며 당선되었다.

전라남도 서부권이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전라남도에서 가장 강하다고는 하지만 강진군은 예외라고도 할 수 있다. 왜냐면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 박근혜 득표율 전라남도 3위가 강진군이었다. 1위인 광양시는 외지인 유입과 하동군의 보수 표심이 섞이고, 2위 구례군도 하동군의 영향을 조금 받았지만 강진군은 전라남도 서부권에서도 엄청 안쪽에 있는 지역이다. 즉 목포시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도 불구하고 저 정도 득표율이 나왔다는 것은 강진군이 어느 정도 보수세가 있다는 말이 된다. 주로 칠량면, 대구면, 군동면의 보수 표심이 강한 편이며, 이들의 공통점은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이나 관산읍, 대덕읍 지역과 닿아 있다. (정작 장흥읍, 관산읍, 대덕읍은 보수 표심이 약한데다가 장흥군에서 보수 표심 가장 센 유치면(7.26%가 홍준표 후보 표)은 홍준표 득표 전국 최저 옴천면과 닿아있다.)

손학규민주당 대표가 2014년 정계 은퇴 선언 후 이곳에 은둔해 언론에 종종 언급되기도 했다. 정확히는 백련사와 다산초당이 인근에 위치한 만덕산에서 집을 짓고 은둔했다고 한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9.89%를 얻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9.29% 차이로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득표율이 50% 미만, 안철수 득표율이 40% 이상, 그리고 둘의 격차가 10%p 이하인 곳은 이곳을 포함에 전국에서 세 지역[1]뿐이었다. 즉 이곳은 호남에서 안철수 지지도가 가장 높고 친문패권, 호남 홀대론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남아있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 가까운 격차로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여 국민의당 입장에서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격이 되었다. 읍면 단위로 따져도 마량면 단 한 곳에서만 안철수가 승리했을 뿐, 중심지인 강진읍을 비롯한 모든 곳에서 문재인이 승리를 가져갔다.

2017년 11월에 무소속이었던 강진원 전 군수가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 신청해서 들어갔다. 현직 군수 지지율이 높아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무난하게 당선될 것으로 보였지만...결과는 의외의 경선 탈락.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의 경합이 예상되었고, 접전 끝에 더불어민주당 이승옥 후보가 당선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강진군·완도군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김영진초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재선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천용택재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영호초선
장흥군·강진군·영암군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유선호3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황주홍초선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20대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황주홍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승남재선

파일:강진군 CI.svg 역대 강진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무소속새천년민주당민주당
김재홍윤영수윤동환[2]황주홍
20102012 재보궐201420182022
무소속민주통합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무소속
황주홍[3]강진원이승옥강진원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김재홍 48.77%

2위:
[[무소속|
무소속
]]
윤옥윤 39.34%
3위:
[[무소속|
무소속
]]
최영범 11.88%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윤영수 40.46%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재홍 25.71%
3위:
[[무소속|
무소속
]]
윤옥윤 25.48%
2002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윤동환 45.32%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차봉근 34.05%
3위:
[[무소속|
무소속
]]
윤옥윤 12.10%
2004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황주홍 58.84%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국영애 41.15%
2006년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황주홍 76.05%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윤옥윤 23.94%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황주홍 56.34%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강진원 43.65%
2012년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강진원 74.41%

2위:
파일:정통민주당 초록 로고타입.svg
차봉근 25.58%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강진원 72.31%

2위:
[[무소속|
무소속
]]
장경록 27.68%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승옥 49.02%

2위: 곽영체 45.38%
2022년1위: 강진원 54.87%
2위: 이승옥 45.12%
[1] 강진군, 진도군, 신안군. 모두 전남에 위치해있다.[2] 2004.8.30. 군수직 상실(선거법 위반).[3] 2011.12.9. 군수직 사퇴(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강진군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844
(76.02%)
3,412
(16.37%)
+ 12,432
(△59.65)
72.79%

강진군수 선거
정당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격차투표율
후보이승옥강진원(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586
(45.12%)
11,659
(54.87%)
- 2,073
(▼9.74)
72.79%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진군
강진군 일원[강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정당|
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2,47675310,152489890
득표율49.89%3.01%40.59%1.95%3.55%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32,299
투표 수25,175
무효표 수169
투표율77.94%

19대 대선 전남 강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476
(49.89%)
753
(3.01%)
10,152
(40.59%)
489
(1.95%)
890
(3.55%)
+2,324
(△9.30)
77.94%
강진읍48.60%2.93%41.67%2.01%3.82%△6.9376.15
군동면45.71%3.84%44.07%1.83%3.23%△1.64[4]72.35
칠량면45.09%4.68%44.89%1.94%2.54%△0.20[5]73.24
대구면51.09%4.12%39.12%1.67%2.45%△11.9776.12
마량면46.03%1.96%47.67%1.55%2.21%1.64[6]75.26
도암면46.08%2.63%45.96%1.54%2.70%△0.12[7]72.56
신전면46.39%2.99%45.73%0.91%2.90%△0.64[8]77.86
성전면47.62%2.57%44.49%0.56%3.30%△3.13[9]76.15
작천면52.17%2.70%40.95%1.39%1.72%△11.2274.06
병영면49.28%3.49%42.31%1.25%2.68%△6.97[10]76.02
옴천면55.85%0.72%39.14%0.72%2.39%16.71[11]78.7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6.67%2.86%43.81%2.86%0.95%△2.86[12]
관외사전투표60.64%2.79%26.17%3.84%6.05%△34.47
재외투표66.67%1.04%25.0%2.08%5.2141.67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강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21,064
(85.32%)
3,010
(12.19%)
18,054
(▲73.13)
강진읍
85.94%11.97%▲73.97
군동면
84.90%12.27%▲72.73
칠량면
86.88%10.32%▲76.56
대구면
88.01%10.67%▲77.34
마량면
89.11%8.89%▲80.22
도암면
83.82%13.26%▲70.56
신전면
86.42%11.30%▲75.14
성전면
86.32%10.82%▲75.50
작천면
87.48%10.79%▲76.69
병영면
88.58%9.37%▲79.21
옴천면
87.79%10.69%▲77.10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0.28%13.38%▲66.90
관외사전투표
79.20%17.28%▲61.92
국외부재자투표
74.67%22.67%▲52.00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13][A][14]87.42%10.08%▲77.34

3.3. 총선[편집]



3.3.1. 강진군·완도군[편집]



3.3.2. 장흥군·강진군·영암군[편집]



3.3.3.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편집]


21대 총선 강진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승남황주홍(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105
(54.63%)
9,519
(42.96%)
+ 2,586
(△11.67)
22,651
(72.38%)
강진읍51.17%46.67%△4.4968.47%
군동면58.34%39.38%△18.9670.22%
칠량면53.28%44.36%△8.9172.37%
대구면[15]41.20%55.16%▼13.9672.99%
마량면44.28%54.01%▼9.7373.01%
도암면56.30%41.29%△15.0168.48%
신전면55.03%42.57%△12.4672.42%
성전면55.61%41.78%△13.8372.46%
작천면64.62%33.53%△31.0971.00%
병영면63.53%33.99%△29.5371.29%
옴천면54.23%42.61%△11.6275.00%
후보김승남황주홍격차
거소·선상투표63.01%36.98%△26.03
관외사전투표61.60%34.98%△26.62
재외투표100%0%△1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983
(4.63%)
11,759
(55.48%)
1,524
(7.19%)
681
(3.21%)
1,239
(5.84%)
+ 8,350
(△39.40)
22,670
(72.33%)
강진읍4.78%54.41%7.29%3.51%6.03%△38.0568.48%
군동면4.58%57.86%6.96%3.11%4.40%△41.5970.22%
칠량면5.18%54.00%6.22%2.96%5.18%△36.0772.33%
대구면4.33%51.87%6.50%2.89%5.78%△30.0672.99%
마량면3.67%58.31%5.41%1.83%5.32%△38.2973.01%
도암면5.00%52.08%9.40%3.41%5.53%△37.2368.48%
신전면3.36%57.98%7.09%2.14%5.97%△41.4672.42%
성전면3.83%57.09%7.06%3.16%4.99%△42.3072.47%
작천면4.35%62.31%5.46%2.50%4.90%△50.6570.94%
병영면4.14%59.39%5.65%2.32%5.45%△44.1471.29%
옴천면4.34%56.26%7.41%3.06%5.11%△41.6975.00%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11.29%50.00%6.45%1.61%0%△27.42
관외사전투표5.33%51.73%9.19%4.62%9.19%△37.40
재외투표34.48%48.27%6.89%0%6.89%△13.79


[강진] [4] 불과 35표 차이였다.[5]3표 차이였다.[6] 불과 20표 차이였다.[7]2표 차이였다.[8]8표 차이였다.[9] 불과 56표 차이였다.[10] 불과 78표 차이였다.[11] 불과 70표 차이였다.[12]3표 차이였다.[13] 고흥군 일원, 보성군 일원, 장흥군 일원, 강진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4] 지역구 국회의원 :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재선).[15] 황주홍 후보의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