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그레이브/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건그레이브


건그레이브 (2003~2004)
ガングレイヴ
파일:건그레이브_애니.jpg

1. 개요
4. 음악
4.1. 주제가
4.2. OST
5. 회차 목록
6.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게임 건그레이브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츠루 토시유키.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했다. 전 26화. 나이토 야스히로트라이건과는 제작사가 매드하우스라는 점부터 해서 각본의 쿠로다 요스케나 음악감독까지 동일하다. 원작 게임이 게임인지라, 쏘고 갈기는 스타일리쉬 액션 애니메이션이 될 것이라 생각한 사람이 많았지만 예상 외로 정통파에 가까운 느와르물. 게임상에선 드러나지 않았던 비욘드 더 그레이브 = 브랜든 히트의 과거와 불사신의 건맨이 된 이유, 최종 보스라고 할 수 있는 해리 맥도웰과의 관계나 기타 인간 관계가 보다 자세하게 그려진다. 사실상 원작 게임의 틀만 어느정도 빌려온 별개의 작품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건그레이브 G.O.R.E에서 젊은 시절의 브랜든 히트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게임이 애니메이션의 설정을 역수입까지 할 정도로 애니메이션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여담이지만 실사화 계획이 있다는데 헬싱처럼 제작진이 문제라고 한다.

국내에서는 2006년 10월에 채널 J에서 자막판으로 방영. 2007년 2월에 대원방송 계열의 애니박스를 통한 재방영도 이루어졌다.

건그레이브 애니 광고 모음

건그레이브 DVD 광고 모음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건그레이브/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건그레이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 엔딩 테마 茜色が燃えるとき
    • 작사: 코야마 슈(小山 周)
    • 작곡: 마츠모토 코지로(松木泰二郎)
    • 편곡, 연주: Scoobie Do


4.2. OST[편집]



Scoobie Do가 부른 茜色が燃えるとき(노을빛이 불타오를때)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OST 라고 할 수 있다. 엔딩 테마곡에 대한 회의를 하고 있을 때 누가 가져온 이 노래(기존에 있던 가요)를 듣고 모두들 이 노래다! 했다고. 게임 1편 삽입곡이자 엔딩곡인 Here comes the rain 역시 명곡. 애니메이션에서도 브랜든과 해리의 파국이 일어나는 화에서 나왔다.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黄昏の破壊者
황혼의 파괴자
츠루 토시유키
사토 유조
아라키 테츠로Cindy H. Yamauchi
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菊池聡延)
카스가이 히로유키
(春日井浩之)
키타오 마사루
日: 2003.10.07.
韓:
제2화YOUNG DOGS츠루 토시유키
마스하라 미츠유키
마스하라 미츠유키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야마다 카츠야
日: 2003.10.14.
韓:
제3화RAIN마츠오 코우키타노 유키히로日: 2003.10.21.
韓:
제4화GO미야시타 신페이
(宮下新平)
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日: 2003.10.28.
韓:
제5화MILLENNION김기두
(金紀社)
오오타 마사히코김기두
코바야시 오사무
(小林 理)
日: 2003.11.04.
韓:
제6화BIG DADDY하라 히로시
(原 博)
키무라 히로시
(木村 寛)
이카이 카즈유키日: 2003.11.11.
韓:
제7화5 YEARS LATER소~토메 코이치로
(そーとめこーいちろう)
마스하라 미츠유키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日: 2003.11.18.
韓:
제8화FAMILY오오타 마사히코아라키 테츠로타카오카 준이치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日: 2003.11.25.
韓:
제9화DISPUTE마츠오 코우미야타 료
(宮田 亮)
키타노 유키히로日: 2003.12.02.
韓:
제10화CONFLICT사토 신지요시모토 타케시김기두
코바야시 오사무
日: 2003.12.09.
韓:
제11화HEAT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아오키 마리코日: 2003.12.16.
韓:
제12화KIND하라 히로시키무라 히로시이카이 카즈유키日: 2003.12.23.
韓:
제13화BETRAYAL아라키 테츠로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日: 2003.12.30.
韓:
제14화DIE츠루 토시유키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日: 2004.01.06.
韓:
제15화HARRY마츠오 코우키타노 유키히로日: 2004.01.13.
韓:
제16화LETTER오오타 마사히코츠치야 히로유키아오키 마리코日: 2004.01.20.
韓:
제17화MIKA하라 히로시키무라 히로시이카이 카즈유키
야마모토 마사후미
(山本正文)
日: 2004.01.27.
韓:
제18화GRAVE마스하라 미츠유키
츠루 토시유키
사토 유조
마스하라 미츠유키
아라키 테츠로
Cindy H. Yamauchi
키쿠치 토시히로
칸노 토시유키
카스가이 히로유키
키타오 마사루
日: 2004.02.03.
韓:
제19화SUPERIOR시노 마사노리요시모토 타케시후쿠다 노리유키
칸노 토시유키
시노 마사노리
日: 2004.02.10.
韓:
제20화BROTHER타카오카 준이치오오타 마사히코히나타 마사키日: 2004.02.17.
韓:
제21화DUTY마츠오 코우키타노 유키히로日: 2004.02.24.
韓:
제22화REMORSE오오타 마사히코츠치야 히로유키아오키 마리코日: 2004.03.02.
韓:
제23화DAUGHTER하라 히로시키무라 히로시이카이 카즈유키日: 2004.03.09.
韓:
제24화LAST BULLET타카오카 준이치요시모토 타케시후쿠다 노리유키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4.03.16.
韓:
제25화THEN아라키 테츠로히나타 마사키日: 2004.03.23.
韓:
제26화破壊者たちの黄昏
파괴자들의 황혼
츠루 토시유키마스하라 미츠유키시노 마사노리日: 2004.03.30.
韓:


6. 평가[편집]


게임판이 준수한 액션 게임인데 비하여 애니 쪽은 미장센이 팍팍 느껴지는 걸작 마피아물로서, 액션의 비중이 엄청나게 줄어든 대신 인물간의 갈등 관계에 주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분위기와 뛰어난 영상미를 감상할 수 있는 수작으로 만들었다. 덕분에 나올 당시에 혹평이었던 건그레이브 1편의 후속작인 OD가 나왔을때, 혹평을 퍼부었던 국내 게임 잡지들이 안면몰수하고 '명작이었던 전작의 후속작'이라는 찬사를 게임 리뷰에 적는 촌극도 있었다.위의 OD 게임평을 다시 보라

마피아물이니만큼 대부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는데, 대부와 마찬가지로 '가족(family)'이 작중에서 주요 소재로 다루어지며, 카리스마 넘치면서도 온후한 선대 보스 빅 대디와 수완은 뛰어나지만 냉정하고 목적을 위해서는 피도 눈물도 없어지는 냉정한 후대 보스 해리 맥도웰이 극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대부와 유사한 점이 많다.

게임판은 엄청난 액션을 자랑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선 액션신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원작같은 액션을 기대하진 말 것. 실질적으로 게임급의 스타일리쉬 액션은 그레이브와 분지의 마지막 결투가 거의 전부. 방영 당시에는 1화에서의 액션이 기대 이하였던 탓에 엄청나게 까였고, 브랜든 히트가 올빽이 되는 히트맨으로 활동하는 내용이 되기 전까지는 보는 사람들만 보는 애니이기도 했다. 이후 1쿨이 넘어가면서 해당 분기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게 된다. 하지만 오늘 날의 시점으로 볼 때, 작화의 질도 그렇게 뛰어나다 할 수는 없다. 다만 이건 애니메이션 제작이 수작업에서 디지털 제작 방식으로 넘어가던 과도기라 작화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거기다 당시 3D 기술이 크게 발전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TV판으로 원작 게임의 화려한 액션을 재현한다는건 상당히 힘들다. 주인공 비욘드 더 그레이브의 복장 또한 디테일한 장식이 많아 애니메이션 제작환경에선 꽤 부담되는 편이다. 후반에 가선 그레이브의 복장이나 무장이 훨씬 그리기 간단한 디자인으로 점점 바뀌는 점에서 제작진이 얼마나 부담스러워했는지 노골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다.

일각에서는 악질이라는 말밖에 들을 수 없는 해리 맥도웰에 대한 지나친 변호를 이 작품의 단점이라고 꼽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이 그렇게 상반된 모습으로 변할 수 밖에 없는 과정을 본편에서 상세하게 보여주었으며, 이는 마피아물의 왕도적 클리셰이기도 하다.

서양에서는 매니아 팬이 꽤 있으며 블루레이는 북미판만 나왔다. 스토리를 중시하는 국내 매니아 성향과 굉장히 잘 맞는 애니로, 국내에서는 걸작 느와르 애니로 대우받고 있다.[1] 정작 일본 내에서는 마이너 애니메이션이지만, 그래도 일본내에서도 성공적인 애니화한 게임 중 하나로 손꼽힌다.

다만 게임 팬들에게는 그다지 달갑지 않은 작품이기도 한데, 사실상 다른 작품이나 다름없는 게임 이야기에 허구한날 애니메이션 언급을 하는 팬들이 다수 등장하여 빠가 까를 만든다를 눈살 찌푸리는 장면을 종종 보여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건그레이브 문서의 r1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건그레이브 문서의 r1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2:53:50에 나무위키 건그레이브/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거의 카우보이 비밥과 비슷한 대우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