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정보타운역 (r1판)

편집일시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과천정보타운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Gwacheon Information Town
한자果川情報타운
중국어果川信息园区
일본어果川情報(クァチョンチョンボタウン
주소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333-3 일대
관리역 등급
미상
(안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4호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과천선1994년 4월 1일
4호선
역사 구조
미정
승강장 구조
미정
노선거리표
과천선
과천정보타운

(미개통)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4호선에 신설될 역으로,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333-3 (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 일대 소재의 역이다. 지하 1층, 지상 1층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850억 원이 소요될 예정이며 과천시와 LH가 분담하여 건설한다.[A]


2. 역 정보[편집]


과천시가 인덕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 사이에 과천지식정보단지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현재의 역 주변은 그린벨트이지만 그린벨트가 해제되고 세워질 지식정보타운(보금자리주택지구)의 교통대책으로 건설될 계획이다. 선로 기울기 문제로 건설비가 과다 소요되어 어려움을 겪었고, 2012년 12월 16일에 국토부에서 발표한 과천 보금자리주택지구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1] 그 이후 과천시에서는 철도 건설 기준을 고칠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철도역의 기울기에 대한 기준이 2014년 10월에 개정되면서 갈현역 건설비가 1800억에서 809억 원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LH가 비용을 부담하여 당장 역 신설 사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었다.

LH가 809억 원을 조성원가에 모두 반영하면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원인 제공자인 과천시에서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절반인 400억 정도) 한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신설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는데[2], 협의가 잘 되어 2015년 신설이 확정되었다.[A] 철도 동호인들은 이 역에 대피선을 신설해 과천선에서도 급행을 굴릴 수 있게 하는 것을 원하는 듯하다. 이 역에 대피선이 만들어질지는 미지수이지만 문재인 정부의 급행 증설 계획에 의해 급행 자체는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2021년 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에서는 갈현역(예정역)이라는 이름으로 대피선 설치 자체는 가능하지만 2.5m 저토피 구간과 도로 교량과 인접하단 제약조건이 있으며 대피선 설치 효과가 미미하다면서 최초사업계획이던 정부과천청사역에 설치한 것으로 추진한 것으로 결정했다.

이 역은 구배가 10퍼밀을 초과하는 곳에 신설될 예정이다.

과천시청 홈페이지에서 역명 공모를 거쳐 1안 과천지식정보타운역, 2안 지식정보타운역, 3안 갈현역, 4안 찬우물역, 5안 정보타운역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1위인 과천지식정보타운을 2022년 1월 중으로 지명위원회에 상정할 계획이었으나 국가철도공단 측으로부터 '철도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제8조'에 따라 역명이 6글자를 넘어갈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받으면서 역사 명 선정에 제동이 걸렸다.

이후 재공모를 통해 다시 역명을 선정하였고 2022년 8월 5일 과천시지명위원회는 과천정보타운역으로 의결하였다.[3] 철도공단과 국토부 심의를 거친 뒤에 확정될 예정이며 최종 의결 기관인 국토교통부지명심의위원회에서도 이대로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 고시에서는 과천지식정보타운역으로 고시되었으나, '가칭'임을 병기했다.[4]

3. 역 주변 정보[편집]


아직은 그린벨트로 묶여 있으며, 과천지식정보타운이 들어설 예정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삼막IC ~ 성남 여수대로IC 구간이 개통하면서 인근에 고가가 생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11 01:27:34에 나무위키 과천정보타운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