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1년의 91번째(윤년의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그 외에 거짓말처럼 믿기 힘들었던 사실은 만우절/사례 문서 참조.
- 1914년 - 부군면 통폐합이 단행되었다.
- 1920년 - 동아일보가 창간되었다.
- 1931년 - 제2차 초공작전이 발동되었다.
- 1932년 - 일제의 문부성이 일제본토와 식민지에 야구통제령을 발표했다.
- 1938년 - 일본이 국가 총동원법을 공표하였다.
- 1939년 - 스페인 내전에서 국민전선과 군부가 승리하면서 프랑코 정권이 들어섰다.
- 1946년 - 알류샨 열도에서 대지진이 일어났다.
- 1963년 - 기타큐슈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지정됐다.
- 1968년
- 1972년 - 수려선이 폐선되었다.
- 1976년 - 애플이 창립되었다.
- 1980년 - 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철판하의 판하묘지에서 위구르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연구팀이 기원전 1880년~기원전 1800년경에 살던 40~48세 여성 누란의 미녀를 발견하였다.
- 1983년 - 청주문화방송에서 TV가 개국했다.
- 1987년 - 일본 국철이 민영화되어 JR그룹 7개 회사로 분할되었다.
- 1988년 -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1989년 -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이 대구면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재탄생했다.[1]
- 1990년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에 법원·검찰청이 부역명으로 고시되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화물터미널역의 역명이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되었다.
- 전서구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 방법이 제안됐다.
- 1997년
- TV도쿄에서 게임 원작 기반 영상물의 교과서인 포켓몬스터가 첫 방영되었다.
- KBS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 문이 한국에서 첫 방영되었다.
- 014XY 야간/할인시간정액제가 실시되었다.
- 1999년
- 대한민국 전 국민 국민연금 강제 가입제도가 시행되었다.
- 하나로통신에서 한국 최초로 ADSL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 오헤어 국제공항 니어미스 사고가 발생했다.
- 2000년
- 2001년 - 네덜란드에서 동성결혼 제도가 세계 최초로 시행됐다.
- 2003년
- 2004년
- 2006년 -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이 합병되어 통합신한은행이 출범했다.
- 2008년
- 2009년 - 국내산 베이비파우더에서 석면이 검출되었다.
- 2010년 - 데드 오어 얼라이브로 유명한 테크모가 삼국지 시리즈로 유명한 코에이에 인수합병되었다.
- 2011년
- 2012년
- 조선족 오원춘이 수원 토막 살인 사건을 일으켰다.[3]
- Roblox가 해킹을 당했다.[4]
- 2013년 - 한국 최초의 동성애자 인권운동가이자 시조 시인, 작가인 육우당을 기념하는 육우당 문학상이 서울 동대문에서 제정되었다.
- 2014년 - KONAMI의 아케이드 리듬게임 jubeat saucer fulfill이 한국에 발매되었다. 일부 게임장은 3월 31일부터 가동 시작.
- 2015년
- 2016년
- 2019년
- 2021년
- 2022년
- 일본의 성인 연령이 법적으로 만 18세(한국나이 19세)로 낮아졌다. 즉 해당 나이대에 포함되는 고등학생(고3)도 이젠 성인 취급을 받는다. 또 여성이 결혼할 수 있는 연령 역시 그간의 16세에서 남성과 같은 18세로 올라갔다. #
- 육군미사일사령부가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로 개편되었다.
-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로 개편되었다.
- 경남 사천에서 KT-1 웅비 2대가 충돌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육군학생군사학교가 육군교육사령부예하에서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 예하 부대로 올랐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의 벨고로드에서 우크라이나군 소속으로 추정되는 헬리콥터 2대가 공습을 개시했다.
2.2. 가상[편집]
- C.E.70년 - 자프트가 '오퍼레이션 우로보로스'를 발동, 지구상에 N 재머를 다수 살포한다. 지구연합의 각 국가들은 이 때문에 '에이프릴 풀 크라이시스(April Full Crisis)'라 불리는 4월의 대위기를 겪게 된다.
- 우주력 6998년 - 저스티 우에키 테일러가 이등병에서 소령으로 급속 승진, 구축함 소요카제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만우절
- 수산인의 날 - 1969년 4월 1일 제정된 뒤 1973년 권농의 날과 통합됐다. 1996년 농어업인의 날(11월 11일)로 바뀌었고, 이듬해 바다의 날(5월 31일)에 어업인이 참여하는 형태로 또 변경되었다. 2011년 공포된 수산업법에 관련 규정이 추가되어 39년만에 어업인의 날이 부활되었다. 2015년 6월에는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법을 제정하며 '수산인의 날'로 명칭을 변경했다.
- 아키투 - 아시리아인들의 새해, 즉 설날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 보리 파종을 축하하는 행사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념일이다.
- 일본에서는 이 날부터 따뜻한 달이라고 하여 '(이불에서) 솜을 뺀다'는 의미인 와타누키라고 한다.[7] 와타누키 키미히로의 작명 모티브는 바로 이것. 일본 기업들의 회계년도가 바뀌는 날도 이 날이다. 이 때문에 일본 기업들은 큼직큼직한 일들을 만우절에 발표하게 되어 사람들을 헷갈리게 한다. 그리고 일본과 북한은 이날부터 새 학기가 시작되며, 이 때문에 빠른 생일 기준이 4월 1일까지다.[8][9] 학기뿐만 아니라, 결산일 등 일본의 모든 업무는 여기에 맞춰져있다. xxxx학년도, xxxx결산년도 등이 전부 4월 1일 시작인 것.
- KD 운송그룹의 모든 계열사 창립기념일도 이 날로 통일설정되었다.
- 향토예비군의 날 - 1968년 이 날 향토예비군이 창설된 후 지정되었다.
- 공정거래의 날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일(1981년). 2002년부터 기념행사를 하고 있다. 법정기념일은 아니다.
4. 축일[편집]
5. 생일[편집]
이 날이 생일인 현대 인물들의 경우 만우절의 영향을 받아 생일 날 생일이라고 해도 만우절이라는 이유로 거짓말로 치부하는 사람들 때문에 이에 대한 고충이 있다. 또한 일본 한정으로는 4월 1일이 빠른 생일의 마지노선이기 때문에, 이날 태어난 사람은 하루 차이로 학년이 달라지거나 거의 1년 가까이 출생일이 차이나는 나는 사람과 동급생이 되는 고충을 겪기도 한다.
5.1. 실존 인물[편집]
- 1578년 - 윌리엄 하비(~1657년): 영국의 의사 겸 생리학자
- 1697년 - 아베 프레보(~1763년): 부르봉 왕조의 소설가
- 1753년 - 죠셉-마리 드 메스뜨르(~1821년): Joseph-Marie de Maistre, 부르봉 왕조의 교황주의자
- 1776년 - 소피 제르맹(~1831년): 프랑스의 여류 수학자
- 1815년 - 오토 폰 비스마르크(~1898년): 독일 제국의 재상
- 1835년 - 제임스 피스크(~1872년): 미국의 기업가이자 주식 중개인
- 1873년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1943년):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 1922년 - 이동찬(~2014년): 한국 코오롱그룹의 제2대 회장이자 명예회장
- 1927년 - 페렌츠 푸스카스(~2006년): 헝가리의 축구인
- 1929년 - 밀란 쿤데라: 체코의 소설가
- 1937년 - 조철현 비오 신부(~2016년): 천주교 광주대교구 신부. 5.18 민주화운동 참가자.
- 1952년
- 1954년
- 1956년 - 황상근 : 대한민국의 기업인
- 1959년 - 기시 노부오: 일본의 정치인
- 1961년 - 쿠지라: 일본의 성우
- 1964년 - 박종철(~1987년):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 1968년 - 다케다 료타: 일본의 정치인
- 1969년 - 정정용: 한국의 축구 감독
- 1974년
- 1976년
- 1977년 - 비토 벨포트: 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
- 1980년
- 1981년
- 1982년 - 박정배: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 1986년 - 오동민: 대한민국의 배우
- 1988년 - 정해인: 대한민국의 배우
- 1989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5년 - 이동녕: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2년 - 정상빈: 대한민국의 축구팀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의 축구선수
- 2011년 - 이재이(아역배우) : 한국의 아역배우
5.2. 가상 인물[편집]
- 강백호 - 슬램덩크(만화)
- 굿맨 -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
- 김녹원 - 변신자동차 또봇
- 그레이트 브리튼(007) - 사이보그 009
- 근육 스구루, 운명의 다섯 왕자 - 근육맨
- 나가토로 하야세 - 괴롭히지 말아요, 나가토로 양
- 나츠메 류 - Paradox Live
- 나츠키 스바루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노부유키 - 절망 프리즌
- 달비라 - 영원한 7일의 도시
- 달시 루이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데이 - 애프터라이프
- 라스 - 그랑사가
- 로이 - 킹스레이드
- 루퍼스 바르마 - 판도라 하츠
- 모나카 - 절대절망소녀 단간론파 Another Episode
- 모에타 카오루코 - 코믹 걸즈
- 묘진 켄고 - 보이 프렌드(베타)
- 무로카사 아카네 - 블루 아카이브
- 메루루린스 레데 알즈 - 메루루의 아틀리에
- 미와 타이시 - 카드파이트!! 뱅가드
- 미카 멜라티카 - 니지산지 ID
- 바트 심슨 - 심슨 가족
- 보보보보 보보보 - 무적코털 보보보
- 분고 야요이 - 헤븐 번즈 레드
- 블리드 카가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사코미즈 스미레 - 소녀는 언니를 사랑한다 - 세 개의 빛나는 별
- 사쿠라, 샤오랑[10] - 츠바사 크로니클
- 서혜성(베리드 스타즈) - 베리드 스타즈
- 사쿠마 유미네 - 슈프림 캔디
- 시바사키 켄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아라크네 - 블레이블루
- 아릿사 시어즈 - 마이히메
- 아스카 - 드림 클럽 ZERO
- 아야나 - 프레젠트 프리티
- 아야사키 나노카 - 晴のちきっと菜の花びより
- 아짱 선배 - 리틀 버스터즈!
- 야마다 하나타로, 쿠나 마시로 - 블리치
- 엉클 그랜파 - 엉클 그랜파
- 에스퍼 로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오사나 나지미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
- 오오사카 아카네 - 온게키 시리즈
- 오오조라 아카리 - 아이카츠!
- 올리비에 렌하임 - 영웅전설6
- 와타누키 키미히로 - XXX HOLiC[11]
- 요로이 미코토 - 마브러브
- 요츠바 타마키 - 아이돌리쉬 세븐
- 우솝 - 원피스
- 우어 - 뿌까
- 운명의 다섯 왕자 - 근육맨
- 울자 - 반지의 비밀일기
- 유리에 시그투나 - 앱솔루트 듀오
- 유메노 겐타로 - 히프노시스 마이크
- 이리데 아카츠키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이쥬인 요시오 - 연애 플롭스
- 이한별(신데렐라 일레븐) - 신데렐라 일레븐
- 주노 에몬스 - 걸카페건
- 쭈니 - 스쿨홀릭
- 츠가미 쇼이치 - 가면라이더 아기토
- 츠네모리 아카네 - PSYCHO-PASS
- 츠지 렌타 - 걸즈 앤 판처
- 카라쿠리 차차마루 - 마법선생 네기마
- 카미사카 하루히 - 하피네스
- 카사네 테토 - UTAU
- 카토 오토메 - School Days
- 캡틴 쿼크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코가 코하루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코르곤 - 백야극광
- 쿠르츠 웨버 - 풀 메탈 패닉!
- 키노모토 사쿠라 - 카드캡터 사쿠라
- 킨조 시라스 - 흐린 하늘에 웃다
- 킹 - 일곱 개의 대죄
- 테베스(그랜드체이스 for kakao) - 그랜드체이스 for kakao
- 타케치 오토야 - 악마의 리들
- 탐탐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태오 - 히어로 써클
- 토야마 킨타로 - 테니스의 왕자
- 프레드 위즐리, 조지 위즐리 - 해리 포터 시리즈
- 플로렌시아 - 하늘을 나는 양과 한여름의 꽃
- 하규 히비키 - 언해피♪
- 하루미 사와라 - Tokyo 7th 시스터즈
- 천시우 - 실례지만 잠시 지구 좀 멸망시키겠습니다
- 하츠토리 하지메 - 세포신곡
- 한지우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12]
- 후쿠자와 유키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13]
- 히노에 - 머나먼 시공 속에서 3
- 히라가 츠바사 - 선배와 나
- 히이로 - 백야극광
- ZEN - 수상한 메신저
- 도니타 - 언라이트
- 한수영 - 전지적 독자 시점
- 황홍연 - 잉여특공대
- 윌리엄 제임스 모리아티 - 우국의 모리아티
6. 기일[편집]
날이 날이다보니 부고 소식이 한동안 만우절 장난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6.1. 실존 인물[편집]
- 1607년 - 마쓰다이라 타다요시(1580년~): 일본의 무장
- 1917년 - 스콧 조플린(1867년 혹은 1868년~): 미국의 래그타임 작곡가
- 1947년 - 요르요스 2세 그리스 국왕
- 1968년 - 노덕술
- 1983년 - 김동철(야구선수)
- 1984년 - 마빈 게이
- 1990년 - 카를로스 페우셀레(1908년~):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 2002년 - 시모 해위해(1905년~): 핀란드의 군인, 전설적인 저격수
- 2003년 - 장국영(1956년~): 홍콩의 배우, 가수
- 2004년 - 김인곤(1928년~): 전 광주대학교 이사장, 전 국회의원
- 2013년
- 2015년
- 2017년 - 김종길(시인)
- 2019년 - 닙시 허슬(1985년~): 미국의 래퍼
- 2022년 - 송삼석(1928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6.2. 가상 인물[편집]

[1] 1913년까지는 완전한 별개의 구역이었다. 즉 원래대로 돌아온것이다.[2] 여기서 1기가 용량을 주는 이메일을 거짓말이라고 생각한 이유는 적어서가 아니라 커서이다.[3] 무능한 경찰은 이사건을 만우절 장난전화로 생각한 모양이다.[4] 일명 April Fool's Hack.[5] 조용필, 이선희, 최진희, 윤도현, 백지영, 알리, 정인, 소녀시대의 서현, Red Velvet, 강산에, 피아니스트 김광민.[6] 1990년대 후반 추정[7] 한자 표기는 四月一日・四月朔日[8] 일본 법률상 만 6세가 된 다음날 이후 새 학년이 시작되는 날에 입학하도록 되어있으며, 나이를 먹는 것은 생일 전날의 자정으로 되어있다. 즉 4월 1일생은 3월 31일 24시에 만 6살이 되고, 그 다음날인 4월 1일부터 새 학년이 시작되기 때문에 빠른 생일이 된다. 4월 2일생은 4월 1일 24시에 만 6살이 되고, 그 다음날인 4월 2일 이후 새 학년은 다음해 4월 1일에 시작되기 때문에 4월 1일생과 학년이 다르다.[9] 단, 4월 1일이 토요일이면 3일에, 일요일이면 2일에 시작된다.[10] 모티브가 되는 리 샤오랑은 7월 13일생이다.[11] 생일이 4월 1일인데 성씨도 '四月一日'이다.[12] 애니메이션 한정 설정. 원래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의 생일에 관한 설정이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아서 소설판의 설정인 5월 22일이라고 여겨졌으나, 포켓몬스터W 30화에서 여행을 떠난 날이 지우의 생일이라는 설정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그래서 한지우는 생일이 5월 22일과 4월 1일 양쪽 모두에 등록되어 있다.[13] 이 생일 덕분에 연년생인 누나 후쿠자와 유미와 같은 학년이다. 우리나라 식으로 하자면 빠른XX. 정확히는 날짜 속이고 온 빠른 XX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