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다 마코토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공명당
집행부
[ 펼치기 · 접기 ]
최고결정기구
중앙간사회장기타가와 가즈오총무회장다카나베 히로유키
전국의원단회의 의장공석
중앙당 지도부
대표야마구치 나츠오부대표기타가와 가즈오
후루야 노리코
사이토 데쓰오
당무집행기구
간사장이시이 케이이치간사장 대행아카바 가즈요시
간사장 대리이나츠 히사시 | 다니아이 마사아키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다카기 요스케정무조사회장 대리오구치 요시노리
후루야 노리코
이토 와타루
우에다 이사무
선거대책본부
선거대책위원장니시다 마코토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사토 시게키국회대책위원장 대리오카모토 미쓰나리
국회대책필두부위원장나카노 히로마사
참의원 의원회장니시다 마코토참의원 간사장다니아이 마사아키
파일:공명당 로고 (white).svg
역대 대표

일본국 제20·22·24·26대 참의원 의원
니시다 마코토
西田実仁 | Nishida Makoto
파일:니시다마코토.png
출생1962년 8월 27일 (61세)
도쿄도 니시토쿄시
학력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 (경제학과 / 학사)
정당
의원 선수4 (참)
의원 대수20, 22, 24, 26
지역구사이타마현 선거구
현직제26대 참의원 의원
공명당 참의원 의원회장
공명당 선거대책위원장
약력동양경제신보사 부편집장
참의원 의원
공명당 사이타마현연합회 회장
참의원 법무위원장
공명당 참의원 의원단 간사장
공명당 세제조사회장
공명당 참의원 의원회장
공명당 선거대책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 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 생애[편집]


1962년 8월 27일, 일본 도쿄도 니시토쿄시에서 태어났다.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6년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 경제학과를 졸업하며 중국에 위치한 2년차 대학으로 유학을 갔다. 이후 동양경제신보사에 입사해 부편집장 등을 역임했다.

2004년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공명당 소속으로 사이타마현 선거구에 출마해 첫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2008년 당 사이타마현연합회 회장에 취임했다.

2011년에 참의원 법무위원장에, 2013년에 당 참의원 의원단 간사장에, 2018년에는 참의원 간사장과 겸임하여 당 세제조사회장에 취임했다. 2019년에 참의원 의원회장에 취임했으며, 2020년에는 당 선거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2003 -정계 입문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사이타마현 선거구
539,417 (18.61%)당선 (3위)초선
2010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94,678 (18.70%)당선 (2위)재선
2016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642,597 (20.87%)당선 (3위)3선
2022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476,642 (15.78%)당선 (3위)4선


5. 둘러 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공명당
참의원 의원 (2022년~2025년)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야쿠라 가즈오야마구치 나쓰오사사키 사야카야스에 노부오스기 하사타케
다카하시 미츠오시모노 로쿠타니시다 마코토미우라 노부히로다케야 도시코
사토미 류지이시카와 히로타카이토 다카에아키노 고조다케우치 신지
요코야마 신이치다니아이 마사아키구보타 데쓰야우에다 이사무야마모토 카나에
야마모토 히로시와카마츠 카네시게가와노 요시히로니이즈마 히데키히라키 다이사쿠
시오타 히로아키미야자키 마사루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3:40:11에 나무위키 니시다 마코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