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닐로 시칸

덤프버전 :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23-24 시즌 스쿼드
2 트라오레 · 5 본다르 · 6 스테파넨코 (C) · 7 토토비츠키 · 8 수다코우 · 9 시베드
11 주브코우 · 12 푸잔코우 · 14 시칸 · - 페드리뉴 · 16 크리스키우 · - 네웨르통 · 18 켈시 · 19 쿨라코우
20 토팔로우 · 21 본다렌코 · 22 마트비옌코 · 23 카스티요 · 26 코노플랴 · 27 오체레트코 · 28 파리나 · 29 나자리나
31 리즈니크 ·32 코지크 · 34 페트랴크 · 44 라키츠키 · 77 토이로프 · 99 코르니옌코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No. 14
다닐로 시칸
Данило Сікан | Danylo Sikan
본명다닐로 야로슬라보비치 시칸
Данило Ярославович Сікан
Danylo Yaroslavovych Sikan
출생2001년 4월 16일 (23세)
지토미르주 지토미르
국적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신체 185cm / 체중 71kg
포지션중앙 공격수
주발오른발
소속유스FC 폴리샤 지토미르 (~2014)
FC 카르파티 르비우 (2014~2018)
선수FC 카르파티 르비우 (2018~2019)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19~ )
FC 마리우폴 (2019 / 임대)
FC 마리우폴 (2020~2021 / 임대)
FC 한자 로스토크 (2022 / 임대)
국가대표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6경기 1골[1] (우크라이나 / 2021~ )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2.2.2. 2021-22 시즌
2.2.3. 2022-23 시즌
2.2.4. 2023-24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4. 여담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우크라이나 국적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공격수


2. 클럽 경력[편집]



2.1. 경력 초기[편집]


지토미르에서 태어난 그는 지역팀 FC 폴리샤 지토미르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2014년 FC 카르파티 르비우에 입단하여 4년간 유스팀에서 성장한 뒤 2018년 8월 12일 조랴 루한스크와의 리그 경기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그러나 이 경기를 끝으로 더 이상의 1군 경기 출전은 없었고, 2019년 초 FC 마리우폴로 반 년간 임대되었다.

2.2. FC 샤흐타르 도네츠크[편집]


2019년, 자국의 명문팀 샤흐타르 도네츠크에 입단하였다. 그리고 2019년 8월 4일 친정팀 카르파티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또한 11월 26일에는 맨시티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라운드 5차전에 출전하면서 유럽 대항전 무대를 밟아보기도 하였다. 해당 시즌에 9경기를 치룬 그는 남은 시즌은 리저브 팀에서 활약하였다.


2.2.1. FC 마리우폴 (임대)[편집]


2020-21 시즌, 충분한 1부 경험을 쌓기 위해 이전에 임대 경험이 있었던 마리우폴로 임대 이적하였다. 마리우폴에서는 16경기 출전 2골을 기록하였다.


2.2.2. 2021-22 시즌[편집]


시즌 초에는 명단에서 제외되다가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 2차전 헹크전에서 후반 40분 교체로 시즌 첫 경기를 출전하였다.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8R 마리우폴 전에서 시즌 두 번째 선발 출전하여 전반 18분 선제골을 기록하였고, 풀타임을 소화하였다. 팀은 원정에서 무려 5:0으로 승리하였다.

리그 11R 조랴 루한스크전에서는 교체로 나와 시즌 2호골을 득점하였다. 결과는 6:1 승리.

전반기 동안 두 차례 선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기에서 교체로 나와 이렇다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2.2.2.1. FC 한자 로스토크 (임대)[편집]

2022년 1월 31일, 2. 분데스리가 소속 한자 로스토크로 임대 이적하였다.

30라운드 얀 레겐스부르크전에서는 경기 종료를 앞두고 니크 오믈라디치의 반칙으로 양 팀 선수들이 서로 충돌한 상황에서 상대 선수를 엘보우로 가격하며 퇴장 당해 무려 3경기 출장 정지를 받았다.

6개월 간 11경기 1골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2.2.3. 2022-23 시즌[편집]


지난 시즌과 달리 이번 시즌은 선발로 기회를 잡고 있는 모양새이다.

리그 5R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전에서는 프로 데뷔 후 첫 해트트릭을 달성하였다.

리그 7R FC 디나모 키이우와의 클라시첸 데르비에서 라시나 트라오레 대신 교체 투입되어 후반 29분 쐐기골을 득점하였다. 결과는 3:1 승리.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5R 셀틱과의 원정경기에서 후반 26분 반대쪽에서 내준 미하일로 무드리크의 천금같은 컷백 패스를 프로 선수라고 볼 수 없는 볼터치로 역전골 찬스를 허공으로 날려버렸다.[2] 심지어 끝까지 쫒아가지 않고 포기해버리는 모습까지 보여주며 팬들에게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2.2.4. 2023-24 시즌[편집]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연령대 대표 시절 주축 스트라이커로 맹활약하였고, 2019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하여 자국의 우승을 견인하였다.

2021년 9월 1일, 카자흐스탄과의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경기에 후반 37분 교체 출전하면서 A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으며, 종료 직전에 데뷔골까지 기록하였다.


4. 여담[편집]



5.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키릴문자 성명비고
1GK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아르투르 루드코Artur RudkoАртур Рудько
2FW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라시나 트라오레Lassina TraoréЛассіна Траоре
3DF파일:이스라엘 국기.svg스타브 렘킨Stav LemkinСтав Лемкін
4MF파일:에콰도르 국기.svg데닐 카스티요Denil CastilloДеніл Кастільо
5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발레리 본다르Valeriy BondarВалерій Бондар
6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타라스 스테파넨코Taras StepanenkoТарас Степаненко주장
7MF파일:브라질 국기.svg에기나우두EguinaldoЕгіналду
8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드미트로 크리스키우Dmytro KryskivДмитро Криськів
9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마르얀 시베드Maryan ShvedМар’ян Швед
10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헤오르히 수다코우Georgiy SudakovГеоргій Судаков
11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렉산드르 주브코우Oleksandr ZubkovОлександр Зубков
12GK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티무르 푸잔코우Tymur PuzankovТимур
Пузанков
13DF파일:조지아 국기.svg기오르기 고촐레이쉬빌리Giorgi GocholeishviliГеоргій Гочолеішвілі
14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다닐로 시칸Danylo SikanДанило Сікан
15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안톤 흘루시첸코Anton HlushchenkoiАнтон Глущенко
16DF파일:조지아 국기.svg이라클리 아자로비Irakli AzaroviІраклій Азаров
17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보흐단 비유니크Bohdan ViunnуkБогдан В'юнник
18FW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케빈 켈시Kevin KelsyКевін Келсі
19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드미트로 치그린스키Dmytro ChygrynskiyДмитро Чигринский
20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드미트로 토팔로우Dmytro TopalovДмитро Топалов
21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아르템 본다렌코Artem BondarenkoАртем Бондаренко
22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미콜라 마트비옌코Mykola MatviyenkoМикола Матвієнко
23DF파일:브라질 국기.svg페드리뉴 아제베두Pedrinho AzevedoПедріньйо Азеведо
25DF파일:탄자니아 국기.svg노바투스 미로시Novatus MiroshiНоватус Міроші쥘터 바레험에서 임대
26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유힘 코노플랴Yukhym KonoplyaЮхим Конопля
27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레흐 오체레트코Oleh OcheretkoОлег Очеретько
28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마리안 파리나Marian FarynaМарїян Фарина
29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예호르 나자리나Yehor NazarynaЄгор Назарина
31GK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드미트로 리즈니크Dmytro RiznykДмитро Різник
32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에두아르드 코지크Eduard KozikЕдуард Козік
34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이반 페트랴크Ivan PetryakІван Петряк
39MF파일:브라질 국기.svg네웨르통NewertonНевертон
44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야로슬라우 라키츠키Yaroslav RakitskyiЯрослав Ракицький
48GK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데니스 트바르도우스키Denis TvardovskyiДеніс Твардовський
77MF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후스라프 토이로프Khusrav ToirovХусрав Тоіров
90M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렉시 카시추크Oleksii KashchukОлексій Кащук
99DF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빅토르 코르니옌코Viktor KorniyenkoВіктор Корнієнко
구단 정보
감독: 마리노 푸시치 / 홈 구장: NSC 올림피스키
출처: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공식 홈페이지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3월 1일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0:46:40에 나무위키 다닐로 시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6월 14일 기준[2] 심지어 골키퍼까지 따돌린 패스라 골대는 비어있었기 때문에 그냥 살짝 앞으로 툭 차면 들어가는 볼이었는데 그걸 무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