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카자흐스탄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카자흐스탄 풋살 국가대표팀번 문단을
카자흐스탄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카자흐스탄
관련 문서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футбол құрамасы
Qazaqstan Ulttyq Fýtbol Kuramasy

정식명칭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футбол құрамасы
Qazaqstan Ulttyq Fýtbol Kuramasy
FIFA 코드
KAZ
협회
카자흐스탄 축구 연맹 (KFF)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마고메드 아디예프 (Magomed Adiev)
주장
아슈하트 타기베르겐 (Askhat Tagybergen)
최다출전자
사마트 수마코프 (Samat Smakov) - 76경기
최다득점자
루슬란 발티에프 (Ruslan Baltiev) - 13골
홈 구장
아스타나 아레나 (Astana Arena)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3 패),
파일:카자흐스탄 국기(1992년 6월 4일 이전).png 카자흐스탄 알마티 (1992년 6월 1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7:0 승),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라호르 (1997년 6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0:8 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 (2021년 11월 13일)
FIFA 랭킹
98위(2023년 10월 26일 기준 / #)
Elo 랭킹
86위(2023년 11월 29일 기준 / #)
공식 소셜 미디어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파일:아디다스 심볼.svg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9

}}}
파일:아디다스 심볼 옐로우.svg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0

}}}
하의
9
10
양말
}}}
}}}

1. 개요
2. 역사
3. 현재 선수 명단
4. 역대전적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올림픽



1. 개요[편집]


감독은 마고메드 아디예프다. 1990년 대회까지 소비에트 연방으로 참가하였다. 소련 시절 성적으로 보려면 여기로.


2. 역사[편집]


본래 AFC 소속이었으나, 2002년부터 UEFA 소속이 되었다. 하지만 다른 스포츠 종목은 아시아의 IOC 격인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 소속되어 축구를 제외한 종목들은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고 있다. AFC 소속이던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대한민국, 일본을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고, 중동 국가들을 상대로도 전적은 엇비슷하거나 조금 처지는 편으로 승점자판기 수준의 팀은 절대 아니었고, 우즈베키스탄과 비슷하거나 약간 밀리는 수준이라는 평이 지배적이었다.[1] 그러다가 2002년 한일 월드컵 예선까지 치루고 UEFA로 옮겨갔다. 똑같이 구소련 소속이었던 우즈베키스탄 등 다른 중앙아시아 나라들이 아시아 축구 연맹에 남아있는 걸 보면 굳이 대조적인 결정을 한 셈이었는데, 사실 예전부터 계속 유럽소속으로 옮길까 말까 간만 보다가 한일 월드컵 최종 예선 때 카자흐스탄 선수의 비매너 플레이로 이긴 경기를 다시 재경기를 치루며, 결국 월드컵 진출에 또 실패해 이에 뿔나서 결국 옮긴 것이 표면적 이유었다.

사실 카자흐스탄 서부 우랄 강 이서 지역은 지리적으로 동유럽의 일부이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은 튀르키예, 러시아처럼 영토 일부가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에 걸쳐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이스라엘, 아제르바이잔처럼 아시아 국가들이 UEFA로 옮겼거나 처음부터 UEFA에 들어간 전례가 있다. 다만 이스탄불 일부를 포함한 보스포루스 해협 이서지역과 달리 우랄 강 서부 지역은 카자흐스탄 전체 영토의 5%도 안 되는 좁은 구역에 황량한 사막 지대가 대부분이라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아스타나, 알마티 등 카자흐스탄의 주요 도시들이 죄다 동부에 몰려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카자흐의 가장 주된 민족인 카자흐족은 키르기즈와 연관성이 깊은 투르크 민족으로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 이동해온 동양인처럼 생겼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이 UEFA로 소속을 옮긴 것은 과거 소련 소속이었고 러시아인을 비롯한 구소련 국가의 유럽계 인종이 함께 산다는 점을 제외하면 명분이 굉장히 떨어지는 편이었다. 일단 경도가 너무 동쪽이다[2]

이 문제는 카자흐스탄 자국 내부에서도 엄청난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독립국가연합 국가로서 UEFA로 가야 한다는 주장과 중앙아시아 국가이므로 AFC에 남아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는데, 월드컵은 어차피 AFC나 UEFA 어느 쪽으로든 나가기 힘든 반면, UEFA로 가면 UEFA 챔피언스 리그도 참가할 수 있고, UEFA 쿼터로 선수들의 유럽 진출도 용이하므로 이쪽을 선호하는 주장이 더 우세해졌다고 한다. 사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는 2010년대 중국 슈퍼 리그 팀들이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판이 커졌으므로, 그 당시는 그쪽으로 가는 게 충분히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첫 유럽무대 도전인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에서는 1무 11패라는 처절한 성적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그런데 UEFA 유로 첫 도전인 2008년 예선에서 놀랍게도 세르비아를 상대로 2:1로 이겼으나 결국 6위(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을 제침)로 예선 탈락했다. 그나마 세르비아는 카자흐스탄전 패배 여파로 2위 포르투갈에게 승점 3점이 밀려 3위로 탈락했으니 제대로 고춧가루를 뿌려준 셈이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도 조 5위(2승 8패)를 거두며 탈락했는데 그나마 6위 꼴찌인 최약체 안도라에게 2승을 거두긴 했다. 유로 2012에선 튀르키예, 독일, 벨기에 같은 나라들을 만났고 결국 초반부 5경기 연패에 0득점 14실점을 기록하며 꼴찌로 밀려났다. 그냥 아제르바이잔과 서로 꼴찌 탈출이나 겨뤄야할 듯 싶었으나 벨기에에게 1:4로 털리며 결국 1승 8패로 꼴찌를 확정했다. 우습게도 4년전 유로 예선에도 아제르바이잔이 카자흐스탄을 제치고 꼴찌를 탈출했는데 2012 대회에서도 또 되풀이되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그나마 페로 제도라는 유럽 최약체를 만나서 그나마 최하위는 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상대는 독일,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스웨덴. 그나마 안방에서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무득점으로 비겼지만 초반부터 1무 5패로 역시 페로 제도과 같이 일찌감치 예선 탈락했다. 그래도 페로 제도를 제치고 1승 2무 7패로 5위를 기록하며 최하위는 면했다. 아시아에 남은 옆동네 우즈베키스탄이 아시아 예선에서 꽤 잘 나가며 본선 진출 근처까지 와 있는걸 생각하면 꽤나 눈물이 날 지경이다.

유로 2016 예선에선 튀르키예, 네덜란드, 체코, 라트비아, 아이슬란드와 같은 조를 이루게 되었다. 네덜란드가 가장 앞서고 나머지 조 2위 예상 가능성이 있는 걸 생각하면 카자흐스탄은 이 조에서 동네북이 될 가능성이 압도적이다. 결국 라트비아에게 유일한 승리를 거두며 1승 2무 7패를 거두며 라트비아를 겨우 제친 5위로 마감했다.[3]

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선 3무 5패로 1승조차 못 거두고 광탈했다. 게다가, 튀르키예전 (0:6 패, 2005년 6월 8일)이나 러시아전 (0:6 패, 2008년 5월 23일) 같은 종전 최다 실점 패배 기록을 갱신한 0:8 참패를 프랑스 원정에서 2021년 11월 14일에 당하고 말았다. 결과는 참패지만, 만만치 않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1-1, 2-2를 기록하며 역시나 꼭 우습게 보긴 어려운 결과를 보여주긴 했다.

유럽에선 현재 산마리노, 안도라, 리히텐슈타인같은 유럽 최약체보단 한 수 위이지만 결국은 하위 시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가끔 한 수 위 상대에게 고춧가루를 뿌리기도 하나[4] 메이저 대회 진출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도 리그 D에 편성되었다. 첫 시즌 조 편성은 조지아, 라트비아, 안도라. 1승 3무 2패로 조 2위에 그치며 조지아에 밀렸지만, 어떻게 리그 C로 승격에는 성공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2022-23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슬로바키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와 한 조가 되었는데, 슬로바키아를 홈, 원정에서 모두 제압하고 4승 1무 1패로 리그 B로 승격하는 선전을 보여주었다.

유로 2024 예선에서는 덴마크, 북아일랜드, 슬로베니아, 핀란드, 산마리노와 같은 H조에 배정되었다. 산마리노와 함께 바닥을 깔아줄 것이란 예상과 달리, 2차전에서 덴마크를 홈에서 3-2로 제압하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그 후 핀란드를 2:1로 꺾는 성과를 냈다.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의 발전으로 과거보다 전체적인 선수층은 두꺼워졌다. 이민 2세들에 의존했던 과거의 습자지같은 스쿼드는 탈피. AC 밀란우디네세 칼초를 거쳤던 알렉산더 메르켈이 가장 유명한 선수. 독일계였기 때문에 독일에게도 귀화 제안이 왔었으며, 러시아 귀화제의도 받았으나, 결국은 뒤늦게 본래 태어난 카자흐스탄의 유니폼을 입었다. 그렇기 때문에 A매치 경력은 3경기로 일천한 편. 요즘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카자흐스탄 선수들이 많이 진출하기 시작했는데 누랄리 알리프, 마라트 비스트로프,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 PFC CSKA 모스크바에 입단했던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가 제일 기대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23년 튀르키예의 베식타스 JK로 이적하여 유럽 대항전에 뛴 최초의 카자흐스탄 선수가 되었다.

한국과의 전적은 2전 1무 1패로 열세. 2경기 모두 AFC 시절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때 거둔 경기 기록이다.

2023년 기준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다.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영문 성명
키릴 문자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비고
GK

스타스 포카틸로프
Stas Pokatilov
Стас Покатилов
1992년 12월 8일
26
0
FC 악퇴베


이고르 샤츠키
Igor Shatsky
Игорь Шацкий
1989년 5월 11일
6
0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무함메드잔 세이센
Mukhammedzhan Seysen
Мұхаммеджан Сейсен
1999년 2월 14일
1
0
FC 타라즈

DF

유리 로그비넨코
Yury Logvinenko
Юрий Логвиненко
1988년 7월 22일
57
5
FC 악퇴베


셰르기 말리
Serhiy Malyi
Сергій Малий
1990년 6월 5일
53
1
FC 토볼


하푸르잔 쉬윰바예프
Gafurzhan Suyumbayev
Ғафуржан Сүйімбаев
1990년 8월 19일
40
4
FC 악수


아브잘 베이셰볘코프
Abzal Beysebekov
Абзал Бейсебеков
1992년 11월 30일
36
0
FC 아스타나


얀 포로고프스키
Yan Vorogovsky
Ян Вороговский
1996년 9월 7일
23
1
RWD 몰렌베이크


알렉산드르 마로츠킨
Aleksandr Marochkin
Александр Марочкин
1990년 7월 14일
21
0
FC 토볼


마라트 비스트로프
Marat Bystrov
Марат Быстров
1992년 6월 19일
14
0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테미를란 옐라노프
Temirlan Yerlanov
Темірлан Ерланов
1993년 7월 9일
12
1
FC 악퇴베


누랄리 앨릴
Nuraly Alip
Нұралы Әліп
1999년 12월 22일
13
0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5]

티무르 도스마함베토프
Timur Dosmagambetov
Тимур Досмағамбетов
1989년 5월 1일
9
0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사마트 자른베토프
Samat Zharynbetov
Самат Жарынбетов
1994년 1월 4일
1
0
FC 토볼


누를란 다이로프
Nurlan Dairov
Нурлан Даиров
1995년 6월 26일
0
0
FC 타라즈


바흐다트 카이로프
Bagdat Kairov
Бағдат Қайыров
1993년 4월 27일
1
0
FC 토볼

MF

이슬람베크 쿠아트
Islambek Kuat
Исламбек Қуат
1993년 1월 12일
46
6
FC 아스타나


아스하트 타흐볘르겐
Askhat Tagybergen
Асхат Тағыберген
1990년 8월 9일
35
0
FC 토볼


바크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
Bakhtiyar Zaynutdinov
Бақтияр Зайнутдинов
1998년 4월 2일
22
9
PFC CSKA 모스크바


게오르기 주코프
Georgy Zhukov
Георгий Жуков
1994년 11월 19일
20
0
비스와 크라쿠프


아이볼 애비켄
Aybol Abiken
Айбол Әбікен
1996년 6월 1일
13
1
FC 악수


블라디슬라프 바실리예프
Vladislav Vasilyev
Владислав Васильев
1997년 4월 10일
9
0
FC 토볼


라마잔 오라조프
Ramazan Orazov
Рамазан Оразов
1998년 1월 30일
5
0
FC 악퇴베


바위르잔 바이타나
Bauyrzhan Baytana
Бауыржан Байтана
1992년 5월 6일
3
0
FC 타라즈


두르만 내르지르다예프
Duman Narzildayev
Думан Нәрзілдаев
1993년 9월 6일
2
0
FC 카스피


아르만 케네소프
Arman Kenesov
Арман Кеңесов
2000년 9월 4일
0
0
FC 악퇴베


아비라이한 나즘하노프
Abylaykhan Nazymkhanov
Абылайхан Назымханов
2002년 2월 5일
0
0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아슬란 아딜
Aslan Adil
Аслан Адил
1998년 1월 13일
0
0
FC 카스피

FW

알렉세이 쇼트킨
Aleksey Shchyotkin
Алексей Щёткин
1991년 5월 21일
38
3
SC 로토르 볼고그라드


로만 무르타자예프
Roman Murtazayev
Роман Муртазаев
1993년 9월 10일
25
3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아바트 아임베토프
Abat Aymbetov
Абат Айымбетов
1995년 8월 7일
17
2
FC 아스타나


아이바르 자크슬르코프
Aybar Zhaksylykov
Айбар Жақсылықов
1997년 7월 24일
6
0
FC 토볼


아르투르 슈셰나체프
Artur Shushenachev
Артур Шушеначев
1998년 4월 7일
3
0
FC 카이라트

[6]


4. 역대전적[편집]



4.1. FIFA 월드컵[편집]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국/일본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0/21[7]








4.2. UEFA 유로[편집]




4.3. AFC 아시안컵[편집]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합계
본선진출 없음
0/2








4.4.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0
조별리그
6위
3
1
0
2
3
9
3
합계
조별리그(1회)
1/1
3
1
0
2
3
9
3


4.5.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전적[편집]


카자흐스탄이 AFC 소속이던 시절 대한민국과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같은 조에 배정되어 2경기를 치렀다. 홈에서는 1-1로 선전했으나, 서울에서 0-3으로 참패. 이때 아시아의 깡패 모드를 보여주던 독수리 최용수에게 홈에서 1골, 서울에서 해트트릭을 내주었다. 이후 2002년까지는 만나지 못했고, UEFA로 넘어간 이후에는 더 만날일이 없어진 상황. 카자흐스탄이 이변을 일으켜 월드컵 본선에 오르거나, 향후 몇년간 전력이 상승하여 대한민국이 평가전 상대로 진지하게 고려할 정도의 전력이 되지 않는 이상 만날 일 없어보인다.

일자
장소
스코어
카자흐스탄 득점자
대한민국 득점자
비고
1997년 9월 6일
잠실종합운동장
0:3 (0:1)
X
최용수[해트트릭]
1998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1997년 10월 11일
알마티 센트랄 스타디움 (카자흐스탄)
1:1 (0:1)
파벨 에프테예프
최용수
1998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총 전적
2전 1무 1패


5. 연령별 대표팀[편집]



5.1. U-23 대표팀[편집]



5.1.1. 올림픽[편집]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
본선진출 없음
0/9[8]







[1] 대략 현 요르단 대표팀 정도 되었을 것이다.[2] 사실 카자흐스탄과 비슷하게 지리적으로만 따지면 이스라엘은 명분이 제로였고, 실제로 초기에는 AFC로 분류되었으나, 정치적인 이유와 인근 아랍-이슬람 국가들의 전란 및 외교갈등으로 인해 AFC에서 방출되다 유랑한 뒤 최종적으로 UEFA에 정착한 케이스다.[3] 그나마 작은 이변이라면 네덜란드 원정에서 선제골을 넣어 0:1로 앞서고 하프타임을 맞았다. 이후 60분에 동점골을 내주고 80분부터 두골을 내주며 3:1로 역전패했다.[4] 2019년에는 스코틀랜드를 3:0으로 털어버리고, 2022년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슬로바키아를 홈, 원정에서 모두 제압하고 리그 B로 승격하는 등 나름 복병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5] FC 카이라트에서 임대.[6] 2022년 3월 24일 기준.[7]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해트트릭] [8] 올림픽 본선 출전 비율(1992년 이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2:52:12에 나무위키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