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드 라인 (r1판)

편집일시 :


1. 개요
2. 라이드 덱
2.1. 라이드 덱 룰
3. 라이드 라인 일람
4. 콜라보 라이드 라인 일람
5. 그레이드 3 단독 뱅가드 일람[1]
7. 기타


1. 개요[편집]


카드파이트!! 뱅가드 오버드레스 시리즈의 메인 유닛들.

각 테마마다 그레이드 0부터 3까지 각 1장씩 4장의 카드가 있고, 이를 라이드 라인이라고 한다. 초기부터 등장하던 순차 라이드 시스템을 리메이크하고 안정성을 극도로 늘린 느낌이다.

각 카드들은 라이드 덱에 넣고 사용할 것을 전제로 만들어져 라이드하거나 라이드되었을 시 이전 단계나 다음 단계의 카드들을 요구하고, 리어가드에서 그레이드 3 유닛과 시너지를 보는 효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덱의 주축'이라는 점에서는 V 스탠다드까지의 클랜제를 연상시키며, 서포트 카드 역시 이 라이드 라인으로 등장한 그레이드 3 카드들을 중심으로 발매[2]된다. 그러나 굳이 해당 라인을 사용한다고 해서 '해당 라이드 라인의 라인 카드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은 없으며, 같은 국가에 속한다면 어느 라이드 라인의 카드든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라이드 라인의 카드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덱은 세계 라인의 그레이드1 카드를 사용하는 운석 덱이 있다.

카드파이트!! 뱅가드 overDress 초기 주역 7명[3]의 라이드 라인과 스타터 수록 크리티컬, 힐 트리거 카드를 합쳐 3×2 사이즈의 거대한 일러스트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필드 위에 재현할 수도 있다. (예시 링크)


2. 라이드 덱[편집]


카드파이트!! 뱅가드 오버드레스부터 추가된 신 시스템. 구 시즌들의 라이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덱에서 4장을 라이드 덱으로 선택해 확정 라이드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존재로 인해 스탠다드에서의 G 어시스트는 삭제되었다.

2.1. 라이드 덱 룰[편집]


  • 메인 덱 매수 50매에 포함되며, 게임 시작 시 메인 덱에서 원하는 카드 4장을 골라 라이드 덱으로써 둔다.
  • 라이드 덱은 그레이드 0, 1, 2, 3 각각 1장씩만 넣을 수 있으며 그레이드 0은 퍼스트 뱅가드이다.
  • 라이드 페이즈에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라이드 덱에서 자신의 뱅가드보다 그레이드가 1 높은 유닛으로 라이드할 수 있다.[4]
  • 반드시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며, 메인 덱과는 슬리브가 달라야 한다.[5]
  • 라이드 덱의 카드는 '덱으로 돌아가는 경우'에 한해 라이드 덱으로 되돌아간다. 그 외에는 그 영역으로 이동한다.[6]
  • 그리포시드를 라이드 덱으로 사용할 경우 오더인 재액 카드 3장과 오버 트리거를 추가해 5장을 라이드 덱으로 둔다. 그 외에 룰은 기본 룰과 동일하다.
  • ‘몬스터 스트라이크’로 구축된 덱을 사용할 경우 가챠리도라를 추가해 5장을 라이드 덱으로 둔다. 그 외에 룰은 기본 룰과 동일하다.
  • 스탠다드 한정 요소로 V 스탠다드, P 스탠다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3. 라이드 라인 일람[편집]


[ 국가 없음 ]


라이드 라인의 수[7]
드래곤 엠파이어9
다크 스테이츠8
브랜트 게이트9
케테르 생츄어리9
스토이케이아7
리리컬 모나스테리오14
국가 없음1
합계57







4. 콜라보 라이드 라인 일람[편집]






파일:SHAMAN KING 로고.png SHAMAN KING
[ 펼치기 · 접기 ]
타이틀 트라이얼 덱타이틀 부스터기타
SHAMAN KING
수록 카드
Vol.1
타오 렌 | 호로호로 | 파우스트 VIII세
목도의 류 | 범용 카드
Vol.2
범용 카드
프로모 카드
목록
수록 축
훈바리 온천팀
파일:dttd04_017ii.png파일:dtb04_086i.png파일:dtb03_088i.png파일:dtb04_102i.png파일:dtb03_089i.png파일:dtb04_099i.png
함께 도전하는 싸움
아사쿠라 요우
스피릿 오브 소드
아사쿠라 요우
사랑하는 사람과
파우스트 VIII세
메피스토 E
파우스트 VIII세
영원한 나그네
목도의 류
야마타노오로치호
목도의 류
팀 THE 렌
파일:dtb03_086i.png파일:dtb04_088i.png파일:dtb03_087i.png파일:dtb04_101i.png파일:dtb04_093i.png
망설이지 않는 마음
타오 렌
슈퍼무신
타오 렌
진심으로 간다!
호로호로
얼음 세계의 왕자
호로호로
초코러브
X-LAWS하오기타
파일:dtb04_092i.png파일:dtb04_094i.png파일:dtb04_096i.png파일:dpr_192i.png
리제르그잔느하오쿄우야마 안나


라이드 라인의 수
도검난무5
몬스터 스트라이크15
SHAMAN KING9
종말의 발키리7
합계36
  • 몬스터 스트라이크의 경우, 정해진 라이드 라인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대신 원하는 카드를 그레이드마다 골라 조합할 수 있다. 2탄에서는 세트 오더를 중심으로 세트 오더에서 지정하는 이름의 카드로 덱을 구성하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 SHAMAN KING의 초기 라이드 라인 5종류는[8] 메인 덱에 넣을 수 있는 강화형 그레이드 3가 있으며, 라이드 라인의 그레이드 3이나 자기 자신에 라이드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선공 3턴에 라이드가 불가능하다.
  • 인류의 존망을 걸고 브륀힐트는 라이드 라인과 교체 가능한 그레이드 3 카드가 있다.
  • 종말의 발키리의 인류 측 라이드 라인 3종류는[9] 각 라이드 라인의 그레이드 0, 1이 없고 인류측의 공통된 카드를 사용한다.



5. 그레이드 3 단독 뱅가드 일람[10][편집]



카드파이트!! 뱅가드 D 스탠다드
그레이드 3 단독 뱅가드
[ 펼치기 · 접기 ]
||<-4> 국가별 개수[11] ||
드래곤 엠파이어2도검난무0
다크 스테이츠3몬스터 스트라이크0
브랜트 게이트1SHAMAN KING1
케테르 생츄어리1종말의 발키리0
스토이케이아3
리리컬 모나스테리오1
합계12
전설과의 해후 이후로 실험적인 면에서 관련 지원 카드가 없는 단독 뱅가드들이 등장했고, 2022년부터 월간 부시로드 동봉 등 프로모션 카드로 단독 뱅가드를 내고 있다.

  • 페트라르카는 리리컬 모나스테리오 최초로, 전신인 버뮤다 트라이앵글의 하이랜더 컨셉을 지원하는 유닛이다.
  • 파브닐은 덱에 단 1장만 넣고 플레이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 철묘의 분룡은 괴우의 강령술사 졸가와 같이 마합성을 사용하나 졸가와 달리 동명의 오더를 조합한다.
  • 무사시드아머는 어떤 유닛으로 노말 라이드해도 페르소나 라이드를 발동할 수 있다.[12]
  • 패멸의 허룡은 드롭존의 오더를 코스트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13]
  • 그람그레이스와 파브닐은 카드파이트!! 뱅가드 디어 데이즈에 특전으로 선행 수록되었다.

6. 전체 목록[편집]



7. 기타[편집]


  • 페스티벌 컬렉션 2021에서 스타트 덱 카드들의 라이드 라인+트리거 두 장이 SP 사양으로 재록되었다.
  • 전설과의 해후 부터 군웅개선까지 수록된 출시된 부스터 팩의 라이드 라인은 SP 사양을 가지고 나오게 되면서, 현재 군웅개선까지의 축들 중 올SP 구성이 불가능한 축은 유진, 중력, 육각뿐이다.
  • 프로모 팩에서 카드파이트!! 뱅가드 will+Dress의 주요 디럭스 참가자 16인의 라이드 라인의 카드가[14] FR 사양으로 재록되었다.
[1] 편의상 라이드 라인은 아니지만 함께 기재한다.[2] 이 때문에 '관련 카드 없이 단독으로 등장하는 그레이드 3 유닛'은 이전 시즌에서 사실상 매 팩마다 발매된 것과 달리 D 시즌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다가, 2022년 하반기부터는 제대로 된 효과를 가진 그레이드 3 단독 뱅가드도 프로모 카드로 등장하고 있다.[3] 콘도 유우유, 모모야마 단지, 에바타 토우야, 오오쿠라 메구미, 세토 토마리, 이세키 마사노리, 이시가메 자쿠사.[4] 라이드 덱의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패에서 라이드하는 것도 가능.[5] 라이드 덱 안에서는 각각 다른 슬리브를 사용해도 된다.[6] 소울 블래스트 등으로 드롭 존으로 가거나, 소울의 카드를 리어가드 서클에 콜하는 경우, 바인드되거나 제외되었을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7] 미발매 라이드라인 포함[8] 아사쿠라 요우, 타오 렌, 호로호로, 파우스트 VIII세, 목도의 류[9] 사사키 코지로, 여포 봉선, 아담[10] 편의상 라이드 라인은 아니지만 함께 기재한다.[11] 미발매 카드 포함[12] 단 패르소나 라이드 마크가 없는 카드는 노말 라이드하더라도 페르소나 라이드가 발동되지 않는다.[13] 또한 메가 콜로니의 카드와의 연계가 P 스탠다드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여 준 탓에 파이터즈 룰에 등재되었다.[14] 니르바나 지바, 바브사가라, 유진, 마보룡, 중력, 벨스트라, 세라스, 오르피스트, 넬트링거, 은하영용, 유스베르크, 바스티온, 리아논, 매그놀리아, 플래그버그, 쿄우카. 단, 그레이드 3은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