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풋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2대*
키어 하디아서 핸더슨조지 반스램지 맥도널드아서 핸더슨
제5대제6대제4대*제2대**제7대
윌리엄 애덤슨존 클라인즈램지 맥도널드아서 핸더슨조지 랜스베리
제8대임시제9대임시제10대
클레멘트 애틀리허버트 모리슨휴 게이츠컬조지 브라운해럴드 윌슨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대행
제임스 캘러헌마이클 풋닐 키녹존 스미스마거릿 베킷
제15대제16대대행제17대대행
토니 블레어고든 브라운해리엇 하먼에드 밀리밴드해리엇 하먼
제18대제19대
제러미 코빈키어 스타머
*표시는 대수를 건너뛰어 중임한 횟수를 의미한다.

보수당 대표 · 노동당 대표 · 자유민주당 대표 · 스코틀랜드 국민당 대표


마이클 풋
Michael Foot
파일:1000034669.jpg
본명마이클 매킨토시 풋
Michael Mackintosh Foot
출생1913년 7월 23일
영국 잉글랜드 플리머스
사망2010년 3월 3일 (향년 96세)
영국 잉글랜드 런던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신체NNNcm, NNkg, 혈액형
가족이름 (관계)
학력학교명 학부명 (학과명1 · 학과명2 / 재학 여부)
종교무종교 (무신론)[1]
직업정치인
정당
서명
파일:Michael_Foot_Signature.svg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여담



1. 개요[편집]


노동당 소속의 영국 정치인이었다.

2. 생애[편집]


1913년 7남매 중 다섯째로 잉글랜드 플리머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자유당의 당원이었으며, 1929~1935 6년동안 플리머스시의 시장으로 재임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정치경제철학을 전공하고[2] 1945년 플리머스, 데본 포트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하지만 1955년 낙선하며 5년간 정계에서 잠깐 떠나 있다가, 1960년 에브 베일 선거구에서 4선에 성공하며 다시 정치 활동을 재개한다.

풋 의원은 의회에서 계속 노동당의 좌클릭을 주도했으며 1974년 윌슨 총리에게 고용 국무장관에 임명, 취임한다. 1976년 윌슨 총리가 갑작스럽게 사임하자 노동당 대표 경선에 출마했으나, 제임스 캘러헌에게 패해 낙선한다.

1979년 제임스 캘러헌불만의 겨울을 극복하지 못한채 내각불신임결의를 받고, 이어진 총선에서 패해 낙마하자 이듬해 열린 노동당 대표 선거에 출마해 데니스 힐리 전 재무장관을 누르고 당선, 캘러헌의 후계자로 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노동당의 계속된 분열과, 이미 영국병으로 밝혀진 여러 좌클릭 정책들을 제시한 마이클 풋의 노동당은, 당시 신자유주의를 제시했던 보수당마가렛 대처에게 1983년 총선에서 크게 밀린 단 209석만을 획득했고 마이클 풋은 노동당 대표직에서 사퇴한다.

이후 닐 키녹이 대표에 당선되며, 그는 과감히 우클릭을 시도한다.

마이클 풋은 대표직 사임 이후에도 의원 활동을 계속해서 하다가, 무려 12선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1992년 정계를 은퇴한다.

2010년 심부전으로 인해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례식은 3월 15일 엄수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비고
19451945년 영국 총선폴리머스-데본포트
13,395 (54.05%)당선(1위)초선
19501950년 영국 총선30,812 (50.59%)재선
19511951년 영국 총선32,158 (51.93%)3선
19551955년 영국 총선24,721 (46.96%)낙선(2위)
19601960년 영국 서민원 보궐선거에뷰 베일20,528 (68.8%)당선(1위)4선
19641964년 영국 총선25,220 (83.6%)5선
19661966년 영국 총선24,936 (85.1%)6선
19701970년 영국 총선21,817 (72.4%)7선
1974.21974년 2월 영국 총선20,660 (69.5%)8선
1974.101974년 10월 영국 총선21,226 (74.1%)9선
19791979년 영국 총선20,028 (69.2%)10선
19831983년 영국 총선블리나우 그웬트30,113 (70.0%)11선
19871987년 영국 총선32,820 (75.9%)12선

4. 여담[편집]


  • 마거릿 대처 총리의 생애를 다룬 영화 철의 여인에도 제1야당 노동당 당수로 등장한다. 배우는 마이클 페닝턴. 다만 극중에서 영국 역사상 첫 여성 총리가 된 대처를 성별로 조롱한다든가 포클랜드 전쟁 파병을 반대했다가 전쟁 이후 대처한테 한소리 듣는 등 실제 풋과 묘사가 크게 달라 논란이 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1:02:55에 나무위키 마이클 풋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The Labour Party has been led by three self-avowed "public" atheists: Michael Foot, Neil Kinnock, and now Ed Miliband." #[2] 옥스퍼드에서 가장 인기있는 학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