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신안군 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목포시/정치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svg 전라남도 제15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목포·신안 갑
목포·신안 을여수순천 갑
김홍일한화갑김충조김경재
순천 을나주여천시·군광양
조순승정호선김성곤김명규
담양·장성곡성·구례고흥보성·화순
국창근양성철박상천박찬주
장흥·영암강진·완도해남·진도무안
김옥두김영진김봉호배종무
함평·영광
김인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목포시·신안군 을>
신안군, 산정3동, 충무동 일원
木浦市·新安郡 乙
Mokpo–Sinan B
파일:국회선거구 목포시.svg
선거인 수62,988명 (1996년)
상위 행정구역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목포시 일부
산정3동, 충무동

신안군 전역
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암태면
신설년도1996년
이전 선거구목포시, 신안군(선거구)
폐지년도2000년
이후 선거구목포시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한화갑
1. 개요
2. 논란
3.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신안군 전역과 목포시 산정3동, 충무동 일원을 관할구역으로 하는 선거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 1회 존속하였다. 산정3동은 오늘날의 산정동, 원산동, 연산동이다. 자세한 사항은 목포시/행정 참조. 충무동은 오늘날 유달동의 일부이다.


2. 논란[편집]


게리맨더링 시비가 존재했다. 목포시 대부분을 일원으로 한 선거구인 '목포시·신안군 갑'에 출마한 이상열 후보가 헌법소원을 제기하고 나선 것. 다만 당시 쟁점은 '뗄 거면 항구가 있는 만호동을 떼서 신안군으로 보냈어야 한다'는 논리여서 생활권 문제였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과 유사한 점이 보이는 선거구. 하지만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면, 본 선거구는 그 자체로는 적정한 목포 선거구인데 과소한 이웃 신안군 선거구를 위해 목포시 일부를 떼 줘서 선거구 합구를 막은 것이다. 반면 순천의 경우는 순천시 선거구가 인구가 과대한데 분할하기 싫어 일부를 떼 버린것.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목포시·신안군 을
목포시 산정3동, 충무동 + 신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광희(金光熙)5,569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3.54%낙선
2한화갑(韓和甲)34,870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4.83%당선
3김재철(金在喆)666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62%낙선
선거인 수62,988투표율
67.79%
투표 수42,698
무효표 수1,59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6:55:04에 나무위키 목포시·신안군 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