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옥희

덤프버전 :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1977이영숙 · 황숙주
1978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1기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신정순
1983 2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서현주 · 정재봉 · 황숙주
1983 3기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1기김진호 · 김미영 · 이순미 · 정재봉
1984 2기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1985 1기김미영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이숙향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5 2기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정재봉
1985 3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 이숙향 · 조윤정
1985 4기김진호 · 박정아 · 서향순 · 양경순
1986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6 2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이선희 · 임명란
1987 1기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임명란 · 정재봉
1987/88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황은희
1988 2기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1988 3기김수녕 · 왕희경 · 윤영숙 · 임은숙
1989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1기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왕희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0 2기김경욱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한희정
1991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사정으로 입촌 포기



윤옥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아시안 게임
[ 펼치기 · 접기 ]
8회1978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9회1982 뉴델리파일:북한 국기.svg 오광순
10회1986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아11회1990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
12회1994 히로시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13회1998 방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조순
14회2002 부산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위안수치15회2006 도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6회2010 광저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17회2014 인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다소미
18회2018 자카르타-팔렘방파일:중국 국기.svg 장신옌19회2022 항저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시현




윤옥희
Yun Okhee
파일:윤옥희.jpg
출생1985년 3월 1일 (39세)
경상북도 예천군
국적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예천동부초등학교 (졸업)
예천여자중학교 (졸업)
예천여자고등학교 (졸업)
경운대학교 (학사)
종목양궁
신체162cm
종목양궁
소속선수예천군청 (2004~2021)
코치경북일고등학교 (2022~ )
1. 개요
2. 수상 기록
3. 기타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양궁 선수로, 2005~2013, 2020년, 무려 10년 간 국가대표를 지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 개인전 동메달리스트이자 월드컵 시리즈에서 가장 많은 개인전 메달(금메달 8개, 은메달 3개, 동메달 5개, 메달 총합 16개)을 보유한 선수다.[1]

2.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금메달2008 베이징단체전
동메달2008 베이징개인전
세계선수권
금메달2009 울산단체전
금메달2013 벨렉단체전
동메달2013 벨렉개인전
월드컵 파이널
금메달2010 에든버러개인전
금메달2013 파리혼성 단체전
금메달2013 파리개인전
동메달2008 로잔개인전
동메달2009 코펜하겐개인전
아시안게임
금메달2006 도하단체전
금메달2010 광저우단체전
금메달2010 광저우개인전
은메달2006 도하개인전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07 시안단체전
은메달2005 뉴델리단체전
은메달2005 뉴델리개인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02 님부르크단체전

3. 기타[편집]


  • 김진호 다음으로 경상북도 예천군 출신 양궁 스타플레이어 계보를 잇는 선수다. 예천군은 "원조 신궁" 김진호를 배출한 이래로 양궁 선수 육성에 큰 공을 들이고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예천군에서 매우 자랑스러워한다. 훗날 이 계보는 김제덕이 바톤 터치를 받았다.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기보배, 주현정과 함께 출전하여 결승전에서 중국과 비긴 후 슛오프까지 갔다. 슛오프 첫번째 세트에서는 28점 동점이었으나 두번째 슛오프에서는 대한민국이 30점 만점을 쐈는데, 주목할 점은 윤옥희가 마지막 화살을 담당이었는데, 화살을 쏘고 놀란 표정을 지은 것이 카메라에 잡혀서 생중계 하는 해설위원마저도 놀랐으나 화살은 10점에 꽂혔다. 이에 댓글은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달렸다.[2]

  • 2022년도부터 경북일고등학교 양궁팀 코치로 활동 중이다. 이로 인해 자신의 뒤를 이어 예천군 출신 양궁 스타플레이어 계보를 이어 받고 현재 경북일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김제덕을 제자로 두게 되었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세계양궁연맹 로고_상하.svg
세계양궁연맹 리커브 랭킹 1위 수성 일수
1,195일 (역대 2위)

World Archery
리커브 여자 세계 랭킹 1위
파일:중국 국기.svg 첸자링>
(2006.10.10 - 2007.6.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
(2007.6.4 - 2007.7.23)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에르디니예바
(2007.7.24 - 2007.8.2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나탈리아 발리바
(2008.4.11 - 2008.7.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
(2008.7.9 - 2009.4.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2009.4.25 - 2009.7.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2009.4.25 - 2009.7.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
(2009.7.30 - 2010.8.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2010.8.16 - 2010.12.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2010.8.16 - 2010.12.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
(2010.12.16 - 2011.5.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보배
(2011.5.30 - 2011.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보배
(2012.8.14 - 2013.1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옥희
(2013.10.7 - 2014.8.10)
파일:중국 국기.svg 쉬징
(2014.8.11 - 2015.8.1)


[1] 금메달 개수는 브래디 엘리슨과 8개로 같으나 앨리슨의 총 메달 수는 12개다.[2] 당시 경기 방식은 지금과 달리 1점이라도 이기면 게임이 끝나는 방식이었으며, 2012년부터 지금의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3:10:17에 나무위키 윤옥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