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부산직할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2. 결과
2.1. 부산직할시 제1선거구 (중구·영도구)
2.2. 부산직할시 제2선거구 (서구·동구)
2.3. 부산직할시 제3선거구 (부산진구·북구)
2.4. 부산직할시 제4선거구 (동래구)
2.5. 부산직할시 제5선거구 (남구)



1. 개요[편집]


항목제10대 국회의원 선거부산직할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정당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파일:민주통일당.svg

[[무소속|
무소속
]]
합계
득표 수348,730464,539145,308213,2551,171,832
득표율29.76%39.64%12.40%18.20%100%
당선자450110
1위04015
2위41005
  •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의 국회의원 8석을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이 4석 씩 나눠가졌으나, 이번엔 10석 가운데 신민당 5, 민주공화당 4, 무소속 1이 당선되었다. 특히 민주공화당은 부산에서 1등은 없이 2등으로만 당선되어 서울보다 더 심한 참패를 당했다.


2.1. 부산직할시 제1선거구 (중구·영도구)[편집]


부산직할시 제1선거구
중구, 영도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남석(韓南錫)31,5603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23.20%낙선
2김상진(金相鎭)39,261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8.87%당선
3여인태(呂寅泰)2,0537위
[include(틀:민주통일당)]1.50%낙선
4김자일(金子逸)5,2045위

[[무소속|
무소속
]]
3.82%낙선
5김정길(金正吉)8,2844위
[include(틀:무소속)]6.09%낙선
6문무일(文武一)1,4598위
[include(틀:무소속)]1.07%낙선
7문영팔(文榮八)1,12810위
[include(틀:무소속)]0.82%낙선
8예춘호(芮春浩)42,4211위
[include(틀:무소속)]31.19%당선
9이갑성(李甲成)80411위
[include(틀:무소속)]0.59%낙선
10이삼한(李三漢)1,2559위
[include(틀:무소속)]0.92%낙선
11이영희(李榮熙)2,5566위
[include(틀:무소속)]1.87%낙선
선거인 수181,912투표율
78.53%
투표 수137,448
무효표 수1,463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무소속
한남석김상진김정길예춘호
결과23.20%28.87%(당선)6.09%31.19%(당선)
중구28.10%(2등)33.91%(1등)6.53%17.68%
영도구20.46%26.04%(2등)5.84%38.77%(1등)

총 11명의 후보가 출마한 가운데 현역 의원인 신민당김상진 후보와 친야 무소속 예춘호 후보가 KBS부산방송총국 방송국장을 지낸 공화당 한남석 후보를 낙선시키고 부산에서 유일하게 야당 후보들만이 당선된 지역구가 되었다.

2.2. 부산직할시 제2선거구 (서구·동구)[편집]


부산직할시 제2선거구
서구,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찬종(朴燦鍾)85,4392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33.33%당선
2김영삼(金泳三)137,826[1]1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53.77%당선
3이상철(李相轍)26,7163위

파일:민주통일당.svg
10.42%낙선
4정철오(鄭哲吾)6,3254위

[[무소속|
무소속
]]
2.46%낙선
선거인 수354,760투표율
80.95%
투표 수259,721
무효표 수3,415

선거 벽보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파일:민주통일당.svg
박찬종김영삼이상철
결과33.33%(당선) 53.77%(당선)10.42%
서구35.12%(2등)55.14%(1등)6.90%
동구30.10%(2등)51.30%(1등)16.78%

신민당 총재를 맡은 야당 대표 중진의원 김영삼민주공화당 신진 세력 이었던 박찬종이 동반 당선되었다. 김영삼은 이 선거에서 당선된지 1년후 제명 파동 사건에 휘말리며 국회의원직에서 제명되었고, 공교롭게도 박찬종도 공화당 내 정풍운동을 주도하다가 제명되어 한 지역구에 두명의 국회의원이 제명된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 선거구는 38년뒤, 소선거구제 전환 이후 다시 부활하게 된다.

2.3. 부산직할시 제3선거구 (부산진구·북구)[편집]


부산직할시 제3선거구
부산진구, 북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임식(金任植)105,2132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33.78%당선
2정해영(鄭海永)119,5391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38.39%당선
3이봉학(李鳳鶴)6,9925위

파일:민주통일당.svg
2.24%낙선
4강경식(姜慶植)24,0504위
7.72%낙선
5김정수(金正秀)49,9243위
16.03%낙선
6최명수(崔命守)5,6616위
[include(틀:무소속)]1.81%낙선
선거인 수425,260투표율
85.46%
투표 수315,818
무효표 수4,439

무소속
김임식정해영김정수
결과33.78%(당선)38.39%(당선)16.03%
부산진구 갑33.10%(2등)36.99%(1등)16.46%
부산진구 을34.47%(2등)38.49%(1등)15.56%
북구34.23%(2등)40.16%(1등)15.77%

현역 의원인 김임식, 정해영 의원이 당선되었다.

2.4. 부산직할시 제4선거구 (동래구)[편집]


부산직할시 제4선거구
동래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찬우(楊燦宇)87,1712위
29.85%당선
2이기택(李基澤)117,2161위
40.14%당선
3이건일(李健一)71,2523위
24.40%낙선
4전한도(全漢道)6,2705위
2.14%낙선
5주성태(朱聖太)10,0944위
[include(틀:무소속)]3.45%낙선
선거인 수399,649투표율
80.21%
투표 수295,475
무효표 수3,472

양찬우이기택이건일
결과29.85%(당선) 40.14%(당선) 24.40%
동래구 갑31.01%(2등)39.12%(1등)23.40%
동래구 을28.20%(2등)41.59%(1등)25.81%

신민당 내 중진의원이었던 이기택이 공화당의 양찬우 후보를 큰 격차로 누르고 1등 당선되었다.

2.5. 부산직할시 제5선거구 (남구)[편집]


부산직할시 제5선거구
남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홍(金在弘)39,3472위
22.33%당선
2김승목(金承穆)50,6971위
28.77%당선
3정상구(鄭相九)38,2953위
21.73%낙선
4김영하(金永河)7,0396위
3.99%낙선
5이영근(李英根)7,2365위
4.10%낙선
6최두고(崔斗高)33,5454위
[include(틀:무소속)]19.04%낙선
선거인 수235,024투표율
83.78%
투표 수178,596
무효표 수2,437

김재홍김승목정상구최두고
남구22.33%(당선) 28.77%(당선) 21.73%19.04%
전현직 의원 4명이 출마한 이 선거구는 부산 최대의 접전지역으로 꼽혔고, 선거 결과 공화당의 김재홍 후보가 통일당 정상구 후보와의 치열한 접전 끝에 간신히 2등으로 당선되는데 성공한다.

[1] 10대 총선 지역구 최다득표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