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잠비아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png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가야-후한 관계백제-수나라 관계나당관계여요관계고려-금나라 관계
조명관계중소관계
송나라 · 청나라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1.1. 2000년대
2.1.2. 2010년대
2.1.3. 2020년대
3. 경제 교류
3.1. 2000년대
3.2. 2010년대
3.3. 2020년대
4. 군사 교류
5. 대사관
6. 관련 기사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잠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잠비아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국과의 교류가 많은 편이지만, 일대일로와 관련해서 갈등이 존재한다. 게다가 잠비아는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채무와 관련해서 디폴트에 빠졌다.#1#2 잠비아의 총대외공적재무 중 3분의 1 이상이 중국 채무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1#2 그리고 잠비아는 광물 자원과 관련해 중국과의 갈등이 존재한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1세기[편집]



2.1.1. 2000년대[편집]


2006년 9월 1일, 주 잠비아 중국 대사는 중국은 잠비아와 함께 경제발전에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9월 4일, 주 잠비아 중국 대사가 잠비아 측에게 대만을 인정하면 단교한다고 밝혔다.#

9월 6일, 중국이 잠비아 대통령 선거에 개입(!)한 것이 밝혀졌다.#

10월 3일, 잠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중국을 비판한 후보가 선거에서 패하자 지지자들이 잠비아의 중국인 가게를 약탈했다.#

2007년 2월 4일, 중국과 잠비아는 루사카시에 경제특구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2008년 4월 21일, 잠비아 측은 중국 화물선의 영해 입항 금지를 요청했다.#

2009년 1월 14일, 중국-잠비아 투자촉진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2.1.2. 2010년대[편집]


2010년 2월 25일, 후진타오 주석이 잠비아를 방문해 양국간 경제협력 강화를 합의했다.#1#2

8월 4일, 중국인이 잠비아에서 중국행 비행기를 타는 도중에 야한 동영상을 소지(...)한 죄로 체포됐다.#

2011년 1월 22일, 중국이 탄자니아와 잠비아 철도 채무를 절반으로 탕감시켰다.#

9월 26일, 사타 신임 대통령은 중국인들은 잠비아에서 법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2012년 8월 4일, 잠비아에서 중국 소유의 광산에서 시위가 일어나 중국인 1명이 사망했다.#

9월 7일, WSJ은 중국 소유의 광산에서 노동자들에게 중노동을 강요하는 것으로 인해 시위와 유혈사태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13년 2월 20일, 잠비아 광산부는 중국 기업이 중국 소유의 광산에서 하루 18시간 중노동(!)을 노동자들에게 강요했기 때문에 채굴권을 회수한다고 밝혔다.#

2015년 1월 25일, 잠비아의 룽구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중국의 잠비아 자원 싹쓸이를 비판했다.#

5월 30일, 에드가 룽구 잠비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다.#

2017년 6월 7일, 잠비아에서 구리를 불법적으로 채굴한 중국인 31명이 중국으로 추방됐다.#

2018년 10월 8일, 중국 자본으로 세워진 잠비아 공영방송국이 수신료를 올리려고 하자 논란이 일어났다.#


2.1.3. 2020년대[편집]


2020년 5월 24일, 잠비아의 한 의류공장에서 중국인 3명에 강도에 피살돼 사망했다.#1#2

10월 14일, 잠비아가 중국 채무로 인한 부도 위기에 처했다.#1#2

11월 11일, 잠비아 채무 불이행에 임박했다는 것이 나왔다.#

11월 14일, 결국 잠비아는 중국 채무로 인해 디폴트를 선언했다.#1#2#3

11월 16일, 잠비아 재무부가 중국 수출입은행과 1억1천만 달러 규모의 채무이자와 원급 지급을 유예하기로 했다.#

2022년 6월 22일, 말라위에서 아프리카인들을 비하하는 노래를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뒤, 동영상을 업로드한 중국인이 잠비아에서 체포됐다.#

9월 1일, 스리랑카와 잠비아가 중국 부채로 인해 IMF에 구제금융을 지원요청했다.#

2023년 1월 24일, 잠비아 부채를 두고 미중간에 갈등이 생겨났다.#

2월 9일, 재닛 앨런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은 잠비아 부채 구조조정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3월 30일,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도 중국이 잠비아 부채 감축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5월 30일, 앙골라, 모잠비크, 레소토, 남아공, 잠비아, 짐바브웨, 모리셔스, 세이셸, 마다가스카르, 탄자니아 등도 법 집행에 대해 중국과 협력하기로 했다.#

6월 23일, 잠비아가 중국, 프랑스와 63억 달러 채무 조정에 합의했다.#


3. 경제 교류[편집]


잠비아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중국 비중이 높은 편이며 2000년대부터 중국과의 경제협력이 많아졌다.#


3.1. 2000년대[편집]


2009년 4월 1일, 중국 측이 잠비아에 바이오디젤 식물을 경작하기로 했다.#


3.2. 2010년대[편집]


2011년 5월 9일, 중국의 CNMC는 잠비아와 미얀마에서 구리 등 비철금속 생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2015년 1월 4일, 중국 광물회사들은 잠비아 정부의 증세조치에도 광물채굴을 멈추지 않는다고 밝혔다.#

2016년 11월 3일, 중국철도건설은 잠비아 철도산업를 22억 6천달러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3.3. 2020년대[편집]


2020년 10월 26일, 잠비아 정부가 중국 기업에 의뢰해 고속도로 건설을 했다.#


4. 군사 교류[편집]


중국은 잠비아에 L-15를 수출한 적이 있었다.#


5. 대사관[편집]


루사카시에 주 잠비아 중국 대사관이 존재한다.


6. 관련 기사[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18:42에 나무위키 중국-잠비아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