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토 산타나

덤프버전 :

1. 개요
2. 커리어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70년대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프로레슬링 선수. 데뷔 초기에는 리차드 블러드 (Richard Blood)라는 링네임으로 주로 일본에서 활동했으며 한국에 원정을 와서도 김일, 김덕과 경기한 적이 있다. 한동안 릭 마텔과 함께 태그팀 스트라이크 포스로도 활동하였으며 WWF 태그팀 챔피언을 지내기도 했다. 나중에는 투우사 기믹의 엘 마타도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1] 피니시 기술은 스트라이크 포스 시절 주로 사용한 피겨 포 레그락, 티토 산타나 시절 사용한 플라잉 포어암, 엘 마타도르 시절 사용한 플라잉 춉 비슷한 기술이 있다.

프로레슬러 은퇴 후엔 중학교 스페인어 교사가 되었다고 한다.

2. 커리어[편집]


  • WWF 레슬매니아 I에서 디 익스큐셔너와 경기를 하여서 래슬매니아 첫 승리를 따냈다. 하지만 이것이 레슬매니아에서의 마지막 승리였고 이 후 2~8까지 매년 참여했지만 전부 패배했다
  • WWF 레슬링 클래식의 토너먼트 1라운드에서 돈 무라코에게 승리했다. 준준결승에서는 폴 온돌프와 경기를 가졌다.
  • WWF 레슬매니아 II에서는 테리 펑크, 호스 펑크 팀과 경기를 가졌다.
  • WWF 로얄럼블(1988)의 20인 로얄럼블 경기에 2번으로 참가했으나 하트 파운데이션에게 탈락되었다.
  • WWF 레슬매니아 IV 데몰리션과의 경기에서 액스의 반칙으로 패배하며 태그팀 챔피언 자리에서 물러난다.
  • WWF 로얄럼블(1989)에는 12번으로 참가했다.
  • WWF 레슬매니아 V에서 브레인 버스터즈와 경기 도중 릭 마텔이 턴힐하며 소속팀인 스트라이크 포스 공식 해체.
  • 1989년에 열린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릭 마텔을 꺾고 우승한다.
  • WWF 서바이버 시리즈(1989)에는 더스티 로즈, 레드 루스터, 브루투스 비프케익과 함께 더 드림 팀으로 참여했다. 상대 팀은 빅 보스 맨, 아킴, 릭 마텔, 홍키 통크 맨으로 이루어진 디 인포서즈. [2]
  • WWF 로얄럼블(1990)에는 23번으로 출전했고 얼티밋 워리어에게 탈락되었다.
  • WWF 레슬매니아 VI에서는 바바리안과 경기를 가졌다.
  • 이후 벌어진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미스터 퍼펙트에게 롤업으로 아쉽게 패했다. 여기서 선역선수 답지않은 무자비한 경기력으로 미스터 퍼펙트를 경기내내 몰아부친다.
  • WWF 서바이버 시리즈(1990)에서 니콜라이 볼코프,부쉬웨커스와 함께 팀으로 참여하였다. 마지막에 서전 슬로터의 코브라 클러치로 탭아웃했으나 그 전에 서전 슬로터의 매니저의 반칙으로 DQ로 이 팀에서 유일하게 그랜드 파이널까지 진출했다.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호건, 얼티밋 워리어와 함께 밀리언 달러맨, 워로드, 파워 & 글로리, 릭 마텔 팀과 경기하게 되었다. 산타나가 워로드를 제거했지만 밀리언 달러 맨에게 탈락되었다.
  • WWF 로얄럼블(1991)에는 11번으로 출전하였다.
  • WWF 레슬매니아 VII에서는 마운티와 경기를 가졌다.
  • WWF 서바이버 시리즈(1991)에서는 핵소 짐 더간, 텍사스 토네이도, 서전 슬로터와 함께 팀을 이루어 콜로넬 무스타파, 스키너, 버저커, 허큘리스 팀에게 승리했다.
  • WWF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에 버질과 팀을 이루어 테드 디비아시, 리포맨 팀과 경기를 가졌다.
  • WWF 로얄럼블(1992)에도 7번으로 참가했으나 숀 마이클스와 엉켜 있다가 동반 탈락했다. 이후 둘의 마찰이 있었다.
  • 결국 이 대립은 WWF 레슬매니아 VIII까지도 이어졌다.
  • WWF 로얄럼블(1993)에도 25번으로 참가했으나 요코주나에게 탈락되었다.
  • 2004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 되었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WWE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2위3위4위5위
뉴 데이하디 보이즈하트 파운데이션E & C더들리 보이즈
6위7위8위9위10위
리전 오브 둠우소즈뉴 에이지 아웃로즈파괴의 형제브리티쉬 불독즈
11위12위13위14위15위
데몰리션발리안트 브로스메가 파워즈락커즈와일드 사모안즈
16위17위18위19위20위
락 앤 싹 커넥션스타이너 브라더스토루 타탕카 & 미스터 후지소울 패트롤언디스퓨티드 에라
21위22위23위24위25위
DX실드블랙잭스애콜라이츠로스 게레로스
26위27위28위29위30위
니콜라이 볼코프 & 아이언 쉬크팀 헬 노더 바더 미즈 & 존 모리슨브리티시 불독 & 오웬 하트
31위32위33위34위35위
하퍼 & 로완더 브리스코즈스트리트 프로피츠내추럴 디자스터즈제리
36위37위38위39위40위
머니 Inc.셸턴 벤자민 & 찰리 하스#DIY폴 런던 & 브라이언 켄드릭레이티드 RKO
41위42위43위44위45위
네스티 보이즈MNM바티스타 & 릭 플레어케인 & 엑스팍헤드슈링커즈
46위47위48위49위50위
스트라이크 포스스모킹 건즈퀘베커즈투 쿨부쉬웨커스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태그팀
리키 스팀보트
폴 존스
(1978)
이반 푸츠키
티토 산타나
(1979)
지미 스누카
레이 스티븐스
(1980)

파일:external/www.steelchairmag.com/KingoftheRing2015.jpg
1989년 WWF 킹 오브 더 링 우승자
테드 디비아시티토 산타나브렛 하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5:46:58에 나무위키 티토 산타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WWE에서는 악역으로 활동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비슷한 예로 리키 스팀보트, 헐크 호건(WWE에서는 계속 선역이었다.) 등이 있다.[2] 이 무렵에는 팀이 이미 한참전에 해체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