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양현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배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던전앤파이터의 직업군에 대한 내용은 배틀메이지(던전 앤 파이터) 문서
배틀메이지(던전 앤 파이터)번 문단을
배틀메이지(던전 앤 파이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양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
2012스프링거품게임단LongPanda · inSec · Mima · Pecko · Kish
서머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Mima · imp · SmallBrain
2013윈터GSGCheonju · Solo · Easy · Clear · ManDu
스프링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Chop · Watch · SSONG · PraY · Cain
서머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Expession · Watch · SSONG · Nagne · PraY · Cain
2014윈터파일:CJ Entus BLAZE.pngFlame · DayDream · Ambition · BaeMe · Emperor · Cpt Jack · Lustboy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Shy · Swift · CoCo · Space · MadLife
서머파일:attachment/Sktt1_k.pn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파일:Demacia_Cup.pngDemacia Cup
역대 우승 선수
||
[ 펼치기 · 접기 ]

연도우승팀선수
시즌 1
(2013 윈터)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Zz1tai · Kid · Illusion · PDD · XiaoXiao
시즌 2
(2014)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Koro1 · Clearlove · Fireloli · U · NaMei · Fzzf
2015
스프링
Koro1 · [[밍카이|{{{#c0c0c0
Clearlove}}}]] · PawN · Deft · Meiko
2015 서머Koro1 · AmazingJ · Clearlove · BaeMe · PawN · Deft · Meiko
2015
파이널
Koro1 · Clearlove · BaeMe · Deft · Meiko
2016mouse · Koro1 · clearlove · scout · pawN · deft · meiko
2017 서머파일:RNG 로고 2017.svgLetme · Mlxg · xiaohu · wuxx · ming
2017 윈터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Ray · Haro · Scout · iBoy · Meiko
2018 서머파일:RNG 로고 2017.svgZz1tai · Letme · Karsa · Mlxg · xiaohu · Able · Ming
2018 윈터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Duke · Ning · Rookie · JackeyLove · West · Baolan
2019파일:RNG 로고 2017.svgLangx · XLB · Xiaohu · Betty · Ming
2020파일:TES 로고 2019.svg369 · Karsa · knight · JackeyLove · Zhuo · Photic · yuyanjia
2021Qingtian · Zoom · Wayward · Xiaopeng · Tian · knight · JackeyLove · Zhuo
2022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n · XUN · Yagao · Elk · ON · Jwei
2023Bin · XUN · knight · Elk · ON · LvMao
2015 파이널: 2015 데마시아 컵 스프링 / 서머 1, 2위 팀들이 초청되어 당해 최강팀을 가리는 최종전이다.




||
[ 펼치기 · 접기 ]

년도대회우승팀선수
2015스프링파일:Qiao_Gu_Reaperslogo_square.pngV · Swift · Doinb · TnT · TcT
서머파일:380px-Energy_Pacemaker.All_teamcard.pngGimGoon · Crisis · Eshen · Romantic · JieZou
2016스프링파일:EDward_Esportslogo_square.webpAmazingJ · Avoidless · BayBay · BaeMe · Jinjiao · Road
서머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Newbee_Young.pngss17 · Khan · Clid · doinb · Along · Ahrl
2017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SN_Gaminglogo_square.pngXiaoAL · Avoidless · dian · Fury · Yoon
서머파일:342px-VICI_Gaming_allmode.pngLoong · Crash · Easyhoon · Martin · Caveman
2018스프링파일:TyLoo2016logo.pngMaxPower · GuYueXin · Angelo · ZIV · ZhuangZhou
그랜드파이널파일:SinoDragon_Club_allmode.pngChanghong · Xiaopeng · Twila · Aone · GALA · Mark
2019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Young_Miracleslogo_square.png[[파일:Young Miracles 화이트 로고.pngCJJ · xiaolongbao · Zhuang · rat · ALU
서머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705 · Wisdomz · Forge · huanfeng · fate
2020스프링파일:Team_WE_Academylogo_square.pngCoten · Clever9 · Magic · Shanks · Simple · Zhuo
서머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zs · XUN · Captain · Snow · Lucas
2021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Young_Miracleslogo_square.png[[파일:Young Miracles 화이트 로고.pngQingtian · Heng · xiaocaobao · Xing · Ke
서머파일:Rare_Atom_Period_logo_square.pngtorch · XiaoYang · zzx · Strive · Ahn · CJ · Parac
2022스프링파일:Bilibili_Gaming_Junior_logo_square.pngMyths · can · pinz · Rise · Jwei
서머파일:FPB_New_logo.pngKartis · haoye · Qing · Xingye · Lele
2023스플릿 1파일:Royal_Club_2017_full_lightmode.png[[파일:Royal_Club_2017_full_darkmode.pngPandaC · milkyway · Xzz · Zinco · zhiqiuyi · Bunny · ziyou
스플릿 2파일:Top_Esports_Challengerlogo_square.pngAspire · naiyou · Wangzxiao · JiaQi · Niket
그랜드 파이널파일:MAX_Teamlogo_square.pngGarvey · moyan · Medzz · Such · Vinay
2024스플릿 1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Aspire · Coward · Lime · Leave · Ycx
스플릿 2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Rbow · Tyrion · Mentality · Ninefog · cute · Jerry
그랜드 파이널파일:LGD.Ylogo_square.pngNuo · want2 · climber · zqw · chips · yhp · Mitsuki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2017 Baeme Summer1.png
BaeMe
강양현 (姜壤賢 | Kang Yang-Hyun)
출생1993년 10월 27일 (31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D리리컬 매지컬 #
BaeMe1 #
포지션미드
소속CJ Entus Blaze
(2013.10.05 ~ 2014.05.04)
AD Gaming
(2014.07.30 ~ 2015.05.18)
Edward Gaming
(2015.05.18 ~ 2015.12.25)
I May
(2015.12.25 ~ 2016.12.17)
IN Gaming
(2016.12.17 ~ 2017.04.??)
Joy Dream
(2017.05.20 ~ 2018.03.02)

1. 소개
2. 플레이 스타일
3. 선수 경력
3.1. 2015년
3.2. 2016년
4. 기타



1. 소개[편집]


파일:dgsb5rd.png
Kang "BaeMe" Yang-hyun
前 CJ, EDG, IM의 미드 라이너. 데이드림 강경민의 친형으로 잘 알려져있다.


2. 플레이 스타일[편집]


EDG 시절로 평가해보면 폰이 페이커라면 이쪽은 이지훈과 같은 플레이를 요구받고 있는 것인지, 이지훈과 비슷하게 좁은 챔프폭과 안정적인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주력챔프는 아지르와 카시오페아. 등판 컨셉도 SKT와 똑같이 일단 배미가 출전한 뒤 최종보스(…)로 폰이 출전하는 식이었으나, 중간중간 패배한 폰과는 달리 4주차까지는 전승하면서 오히려 폰보다도 높은 승률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폰이 허리 부상 재발로 인해 휴식에 들어가면서 아예 전담 출전하고 있는 중.

안정적인 플레이 성향 덕분인지 섬머 시즌 중반부터 급격하게 무너지기 시작한 EDG 멤버 중에서 그나마 사람 구실을 하고 있다는 평이다. KDA도 멤버들 중 가장 높은 6~7점대를 기록 중. 다만 폰이 보여주는 캐리력에 비하면 그래도 뭔가 아쉽다는 이야기가 있고, 한타에서 갑자기 던지거나 물리기 시작한 데프트의 부진의 이유도 배미가 보여주는 안정적인 플레이 탓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1]


3. 선수 경력[편집]



3.1. 2015년[편집]


EDG의 리저브 팀인 ADG의 창단멤버이며, LPL의 2부리그인 LSPL에서 뛰고 있다가 EDG가 SKT T1의 식스맨 체제의 모델로 삼으면서 2015 섬머 시즌이 시작과 함께 1군으로 승격.


3.2. 2016년[편집]


아테나 강하운이 영입되고 백업으로 낙점받으면서, 배미는 16시즌에도 LSPL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정규시즌에는 주전경쟁이 치열했으나 포스트시즌에는 아테나와 확연한 기량차를 보여주며 주전에서 밀려났다. Snake전과 RNG전 모두 1세트에 얻어터지고 내려가면 아테나가 2세트부터 나와서 팀의 각성과 함께 진정한 다전제가 시작되는(...) 패턴이 반복되었으나 3, 4위전 WE를 상대로는 1세트에 또 강판당했지만 3세트에 다시 올라와서 아우렐리온 솔로 하드캐리를 보여준 뒤 4세트에 아테나와 또 한 번 교체되었다. 차별화된 챔프폭을 통해 조커카드로의 기용여지를 약간 남긴 셈이다.

손대영 코치 역시 인터뷰에서 적극적으로 배미가 아테나보다 챔프폭이 넓다[2]는 점을 강조하며 롤드컵에서도 아테나가 주전이지만 배미를 전략을 다양화하거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조커카드로 활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아무래도 배미가 매번 포스트시즌 1세트에 패배하며 다소 자신감을 잃을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감을 부여해주려는 모양이다. 손대영 코치 본인도 '중국에서도 친목질 혹은 의리 기용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듯 절대 사실이 아님을 강조했다.[3]

롤드컵에서는 SKT전에 투입되어 리메이크 라이즈로 분전했지만 역시나 패했다. 아테나가 시즌 6 초기 라이즈 장인이었지만 그 후 라이즈가 리메이크되어 완전 다른 챔프가 되었고 대회에서도 비주류가 된 것과 배미의 라이즈 플레이가 SKT라는 팀을 상대로 제법 좋았던 것을 감안하면 최소한의 존재가치는 증명했다.

그리고 2주차 1차전 아테나가 정글땜빵 갔을때 출전해서 자신의 상징인 아우솔로 한국 한정 해외 2위 미드(...)인 메이플을 완봉하며 확실하게 제몫을 해주고 들어갔다.

12월에 2부 리그 팀인 IN Gaming에 입단했다.


4.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8 11:51:12에 나무위키 강양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프트는 이전부터 다데처럼 무리를 해서라도 어그로를 끌어주는 미드와 잘 어울린다는 평이 많았다.[2] 지금까지 보여준 카드로는 대표적으로 정규시즌 꾸준히 활용한 르블랑이나 포스트시즌에 LPL 최초로 기용해 하드캐리한 아우렐리온 솔이 있다.[3] 강현종 감독의 CJ가 소위 간손미빠갱막 시절 실패한 식스맨 활용으로 악명이 높았던 것도 있고 배미가 데이드림의 친형이자 한때 블레이즈의 서브이기도 했기에 소문이 확대재생산되는 것을 막고자 적극적인 해명을 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