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명

덤프버전 :


1. 劍鳴
1.1. 특징
2. 劍銘
2.1. 사례


1. 劍鳴[편집]


劍鳴 / Sword Sound / 칼울림

경지에 이른 검사가 검을 사용하였을 때 울리는 검의 소리를 뜻한다.


1.1. 특징[편집]




2. 劍銘[편집]


도검에 새기는 글. 기물명(器物銘)의 하나이다. 관련 칼럼에 따르면, '새기다'라는 뜻을 가진 명(銘)이라는 한문학 문체가 존재하며 벼루에 새기는 연명(硯銘), 도검에 새기는 검명(劍銘), 배게에 새기는 침명(枕銘) 등 여러 종류가 있었다고 한다.[1]

이렇게 보면 도검에 직접 새겨야 할 것 같지만, 그냥 검명을 짓기만 하고 실제로 새기지는 않은 경우도 있는 듯하다. 검이 아닌 칼집에 적거나 쓰다보니 닳아서 사라진 듯한 경우도 많이 있다.


2.1. 사례[편집]


이하 출처는 동아일보 기사관련 논문을 참고.

內明者敬 (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경이고)
外斷者義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는 것은 의이다)

조식, 패인명(佩釼銘)

  • 이순신의 거환도[2]
三尺誓天 山河動色 (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
一揮掃蕩 血染山河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

髮蓬蓬目覢覢 (흐트러진 쑥대머리에 번득이는 눈동자)
如攫如噉 (낚아챌 듯 하고 씹어 먹을 듯한 모습)
漆齒遁蜻蛉閃 (칠치는 달아나고 청령이 몸을 피하네)
疑虓疑魘 (울부짖는 호랑이 소리인가 가위눌림인가)
星櫑鳴綉襓颭 (별 무리가 울고 수놓은 칼전대 펄럭이니)
危哉彼憸 (저 간사한 무리들 위태로울지다)

정약용, 귀도명(鬼刀銘)[3]

三尺龍泉萬卷書 (석자 용천검에 만권의 책을 읽었으니,)
皇天生我意何如 (저 하늘이 나를 낳은 뜻은 무엇이랴?)
山東宰相山西將 (산동 땅에서 재상 나고 산서 땅에서 장수난다 하지만,)
彼丈夫兮我丈夫 (저들이 장부라면 나도 또한 장부다)

임경업, 검명(劒銘)[4]
滿洲窺我 (만주가 우리나라를 엿봄에)
將軍佩此劒而鎭西方 (장군이 이 검을 차고 서쪽 지방을 진압하였네)
孔耿侵我 (공유덕과 경중명이 우리를 침략함에)
將軍佩此劒而虜幾創 (장군이 이 검을 차고 오랑캐를 몇 차례나 물리쳤던가)
椵島殺帥 (가도에서 장수를 죽이니)
將軍佩此劒而息冦攘 (장군이 이 검을 차고 도적의 창궐을 막았네)
隣嘖交織 (이웃나라에서 헐뜯는 말 끝없이 이어짐에)
將軍佩此劒而海于航 (장군이 이 검을 차고 배를 타고 바다로 떠났지)
鋩寒色正 (칼끝에 서린 빛 차갑게 빛나니)
忠義以之張 (충성과 절의가 이처럼 넘쳐나는구나)

성해응[5]

  • 임경업의 추련도
時呼時來否在來 (시절이여 때는 다시 오지 않나니)
一生一死都在筵 (한번 태어나고 한번 죽는 것이 모두 여기 있도다)
平生丈夫報國心 (대장부 한평생 조국을 위한 마음뿐이니)
三尺秋蓮磨十年 (석자 추련검을 십년동안 갈고 갈았도다)

#

寒霜其光 烈日其鍔 (찬 서리처럼 하얀 빛 강렬한 햇살처럼 내뿜는 칼날)
無體之釰 其利截鉄 (형체 없는 칼이여 그 날카로움은 쇳덩이도 자른다네)
鋒穎所指 百邪屛息 (뾰족한 칼끝이 향하는 곳 온갖 삿됨 자취를 감추니)
爾威之壯 爾功之神 (너의 위엄 장대하고 너의 공덕 신묘하구나)
勖哉匕劒 無我婦人 (힘쓸 지어니 날카로운 비수여 나를 부인네라 여기지 말지니)
愈勵爾銳 若硎新發 (너의 날카로움 더욱 단단히 벼려 숫돌에서 막 갈아낸 듯하구나)
蕩我蜂起 殳我榛塞 (떼 지어 일어나는 사욕 흩어버리고 무성한 잡초를 베어버려)
四凶旣除 舜日中天 (사흉이 제거되어 순임금의 태양이 환히 빛나니)
太平萬世 天君泰然 (태평시절 만세에 이어지고 천군이 태연하구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8:38:23에 나무위키 검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도 좌우이라는 말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2] 이전 보물 326-1호, 현 국보.[3] 후대 사람인 정약용이 직접 검명을 새겼을 리는 없으니, 문집에만 적은 검명이다.[4] 원나라 때 관한경이 지은 잡극관대왕독부단도회(關大王獨赴單刀會)의 첫 구절로 노숙의 대사이다.[5] 직접 새기지는 않고 자기 문집에만 적은 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