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포테리움

덤프버전 :

곰포테리움
Gomphotherium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omphotherium_productum.jpg
학명
Gomphotherium Burmeister, 1837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장비목(Proboscidea)

†곰포테리움과(Gomphotheriidae)

곰포테리움속(Gomphotherium)

본문 참조

파일:24344.png
모식종의 복원도

1. 개요
2. 특징
3. 종류



1. 개요[편집]


신생대 마이오세~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고대 장비목 포유류로 오늘날의 코끼리와 빙하기에 살던 매머드의 공통조상뻘 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속명의 뜻은 '용접된 짐승'.


2. 특징[편집]


화석은 스웨덴,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미국, 중국, 파키스탄, 몽골, 일본, 북한, 케냐 같은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곰포테리움은 상당히 거대한 덩치를 가지고 있었다. 프로둑툼종(G. productum)의 표본 중 35살까지 자랐던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높이가 약 2.5m, 몸무게는 약 4.6t 정도 나갔으며, 독일에서 발견된 스테인헤이멘시스종(G. steinheimensis)은 높이 3.17m에 몸무게는 6.7t씩이나 나갔던 대형 동물이었다. 관련 자료

곰포테리움의 양턱에 각 1쌍의 엄니가 있는데 윗쪽 엄니는 길게 바깥 쪽으로 뻗어있고 아랫쪽 엄니는 기다란 주걱모양으로 생겼다. 위턱은 과시용이나 방어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의 코끼리나 빙하기에 살던 매머드와 달리 아래턱에도 송곳니가 나 있었는데 이것은 암벨로돈과에 속하는 장비목인 플라티벨로돈처럼 수생식물들을 건져 먹을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시대에 살았던 장비류에 비해서 적은 수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다.


3. 종류[편집]


  • 아속 불명
    • 곰포테리움 안구이리발리스(G. anguirivalis)
    • 곰포테리움 브레우스테렌시스(G. brewsterensis)
    • 곰포테리움 칼베르텐시스(G. calvertensis)
    • 곰포테리움 네브라스켄시스(G. nebrascensis)
  • 곰포테리움아속(Subgenus Gomphotherium)
    • 곰포테리움 아우구스티덴스(G. angustidens)모식종
    • 곰포테리움 안넥텐스(G. annectens)[1]
    • 곰포테리움 콘넥수스(G. connexus)
    • 곰포테리움 셴시엔시스(G. shenshiensis)
    • 곰포테리움 스테인헤이멘시스(G. steinheimensis)
    • 곰포테리움 수브타피로이데움(G. subtapiroideum)[2][3]
    • 곰포테리움 위마니(G. wimani)
  • 세리덴티누스아속(Subgenus Serridentinus)
    • 곰포테리움 프로둑툼(G. productum)
    • 곰포테리움 포요아켄시스(G. pojoaquensis)
    • 곰포테리움 리오그란덴시스(G. riograndensis)
  • 게노마스토돈아속(Subgenus Genomastodon)
    • 곰포테리움 오스보르니(G. osborni)
    • 곰포테리움 윌리스토니(G. willistoni)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7:57:07에 나무위키 곰포테리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제 강점기에 북한에서 화석이 발견된 전적이 있으며 현재 지질박물관에 복제품이 전시되고 있다.[2] 2021년 북한에서 발견된 새로운 화석이 해당 종 또는 곰포테리움의 근연종의 것으로 추측된다.[3] Han, K. S., So, K. S., Choe, R. S. and Kim, S. C. (2021). First Occurrence of a Gomphotheriid (Proboscidea, Mammalia)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aleontological Journal 55(10):1186-1192. https://doi.org/10.1134/S00310301211000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