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진

덤프버전 :


奇正鎭
1798년(정조 22) 6월 3일 ~ 1879년(고종 16) 12월 29일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행주(幸州)[1], 자는 대중(大中), 호는 노사(蘆沙). 초명은 기금사(奇金賜).

1860년대 이항로와 함께 위정척사 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로, 척화 주전론을 내세우며 흥선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지지하였다.

2. 생애[편집]


1798년 6월 3일 전라도 순창군 복흥방 조동(현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동산리)에서 아버지 기재우(奇在祐, 1769. 11. 10 ~ 1815. 5. 15)와 어머니 안동 권씨(1769 ~ 1815. 5. 17) 권덕언(權德彦)의 딸 사이의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18세 되던 1815년 아버지와 어머니가 차례로 별세하자,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도 장성도호부 서이면 하남동(현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하남마을)[2]로 이주하였다.#

1831년(순조 31) 식년시 생원시에 1등 2위로 입격하고 이듬해인 1832년 음서강릉(康陵) 참봉(종9품), 1835년 현릉(顯陵) 참봉(종9품), 1839년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종6품), 1842년 전설사 별제(典設司別提:종6품), 평안도 도사(都事:종5품)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3]

그러다가 1857년 무장현감(茂長縣監:종6품)에 제수되자 관직에 나아갔고, 1861년 사헌부 장령(掌令:정4품), 1864년 군자감 정(軍資監正:정3품), 사헌부 지평(持平:정5품), 사헌부 집의(執義:종3품), 1866년 승정원 동부승지(정3품) 등을 역임했다. 그러다가 1866년 돌연 장성도호부로 낙향하여 경질되었다.

그 뒤 부호군(副護軍:종4품), 공조 참판(工曹參判:종2품),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종2품) 등에 올랐고, 1877년에는 호군(護軍:정4품)으로 있으면서 나이 80세를 맞아 특별히 가의대부(嘉義大夫:종2품 문관의 품계)로 승급했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8:59:13에 나무위키 기정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무공-장성문중/참판공-고흥군-금강공 24세 진(鎭) 항렬.[2] 독립유공자 기산도도 이 마을 출신이다.[3] 1833년 2월 8일 승정원일기 기사1836년 2월 9일 승정원일기 기사, 1839년 3월 5일 승정원일기 기사, 1843년 12월 24일 승정원일기 기사 등을 보면, 모두 관직에 제수된 후에 기한 내에 임금께 절하러 오지 않았기에 벼슬에 다른 사람을 임명하겠다고 나와 있다. 한편, 1842년 제수된 별제 벼슬의 경우, 1842년 11월 11일 승정원일기 기사를 보면 기정진이 스스로 병을 이유로 다른 사람으로 바꿔서 임명해주기를 요청한 정황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