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권씨

최근 편집일시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삼한공신

[ 펼치기 · 접기 ]
개국공신
1등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2등
견권
능식
권신
염상
김락
연주
마난
3등
2천여 명(사서에 전하지 않음)
삼한공신
유금필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양유 · 김견술 · 서필
이상 배향공신#고려

강공훤 · 강궁진 · 권행 · 금용식 · 김극렴 · 김선평 · 김유렴 · 김인윤 · 김일긍 · 나총례 · 류차달 · 박지윤 · 소격달 · 왕경 · 염형명 · 원극유 · 윤신달 · 이금서 · 이능일 · 장정필 · 최정헌 · 허선명
그 외 다수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

문열왕

은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만천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

선성왕

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안동 권씨(安東 權氏) 관련 틀


신라 김씨 왕조(金氏 王朝) 환성(換姓) 성씨


파일:안동 권씨 종문.jpg
安東 權氏
안동 권씨


관향
경상북도 안동시 (安東市)
원시조(遠)
세조왕 김알지(金閼智)[1]
비조(鼻)
김내물(金奈勿)[2]
시조(始)
권행(權幸)[3]
아시조(亞)
권인행(權仁幸)[4]
파조(派祖)
권수평(權守平) / 추밀공파(樞密公派)
권수홍(權守洪) / 복사공파(僕射公派)[5]
권영정(權英正) / 별장공파(別將公派)
권수중(權守中) / 수중공파(守中公派)[6]
권시중(權時中) / 부호장공파(副戶長公派)
권체달(權採達) / 동정공파(同正公派)
권지정(權至正) / 좌윤공파(佐尹公派)
권통의(權通義) / 부정공파(副正公派)
권인가(權仁可) / 시중공파(侍中公派)
권형윤(權衡允) / 급사중공파(給事中公派)
권숙원(權叔元) / 중윤공파(中允公派)
권사발(權思拔) / 군기감공파(軍器監公派)
권대의(權大宜) / 정조공파(正朝公派)[7]
권추(權樞) / 호장공파(戶長公派)
권척(權倜) / 검교공파(檢校公派)
집성촌(集姓村)
서울특별시 강서구
대구광역시 달서구·동구
대전광역시 서구·중구
울산광역시 울주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강원도 강릉시·삼척시
경기도 연천군·용인시·이천시
경기도 파주시·포천시
충청북도 괴산군·음성군·충주시
충청남도 금산군·서천군
전라북도 고창군·김제시
전라북도 무주군·순창군
전라북도 부안군·익산시
전라북도 장수군·정읍시
전라남도 곡성군·광양시·나주시
전라남도 순천시·영암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경상북도 경주시·고령군
경상북도 구미시·군위군
경상북도 김천시·문경시
경상북도 봉화군·상주시
경상북도 성주군·경산시·안동시
경상북도 영덕군·영양군
경상북도 영주시·영천시·예천군
경상북도 울진군·의성군
경상북도 청송군·칠곡군·포항시
경상남도 거제시·밀양시
경상남도 산청군·의령군
경상남도 진주시·창녕군
경상남도 창원시·함양군·합천군
강원도 고성군·평강군
황해도 봉산군·서흥군·신천군·연백군·평산군
평안북도 영변군
함경남도 덕원군·문천군
인구(人口)
705,941명(2015년) | 국내 15위[8]
대종회(大宗會)
안동권씨 대종회
안동권씨 종보사[9]

1. 개요
2. 분적과 분파
3. 안동 권씨 종기
4. 신 안동 김씨 분적설
5. 다른 가문(왕실)과의 관계
5.1. 안동 권씨와 금나라의 관계
5.2. 안동 권씨와 원나라의 관계
6. 항렬표
7. 집성촌
7.1. 서울·강원·경기
7.2. 대전·세종·충청
7.3. 전라·제주
7.4. 대구·경북
7.5. 울산·경남
7.6. 북한
8. 실존 인물
8.1. 근대 이전
8.2. 현대 인물
8.3. 계보 불명



1. 개요[편집]


安東 權氏

안동 권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먼저 권씨(權氏)는 본래 김씨(金氏)로 신라의 김씨 왕실에서 분관[10]하여 권씨(權氏)를 최초로 사성[11]받아 김씨(金氏)에서 권씨(權氏)로 환성[12]한 성씨이다. 시조는 당시 고창(古昌)[13]에서 별장을 지낸 태사공(太師公) 권행이다. 본래 신라의 왕성(王姓)경주 김씨였으며, 본명이 김행이다. 신라 추존 국왕인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고[* 한마디로 시조 권행은 신라 왕실(종실)의 후손이다.], 김알지 계열 성씨이다.

경순왕 원년 (927년 11월) 후백제의 군주인 견훤(甄萱)이 경애왕을 조롱하며 왕비를 능욕했으며, 후에 경애왕을 주살하게 하자, 이에 격분한 삼태사(三太師) 권행(權幸),[14]김선평(金宣平),[15]장정필(張貞弼)[16] 인물들이 고창 전투에 참전해 크게 승리를 거두자, 고려 태조가 "동쪽을() 편히() 했다."라는 뜻으로 당시 고창군(古昌郡)이였던 지역을 안동부(安東府)로 승격하고 고려 창업에 (功)을 세워 고려 태조(太祖) 세력에게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라는 작위를 받고, '능병기달권(能炳幾達權)'하다는 뜻으로 권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 이것이 안동 권씨의 시초(始初)이다.

고려조선 당시에 특출난 가문이었다. 고려때엔 고려 삼한공신(三韓功臣)에 들어가는 문벌 귀족 가문이였고, 조선에선 과거 제도(科擧 制度) 시험에 문과 359명, 무과 909명을 배출했다. 이는 과거시험을 본 가문 중 전체 2등[17]인 기록이다. 하지만, 조선 후기[18]로 가면서 안동 김씨(安東 金氏)의 세도정치(勢道政治)로 인해 안동 김씨(安東 金氏) 가문의 권력(權力)과 가문(家門)의 위세가 급성장하였고, 이로 인해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위세가 떨어진 것 이다. 안동 권씨는 신라의 종성에서 권씨로 환성(換姓)하였고, 경주 김씨(慶州 金氏)에서 분적(分籍)된 것인데, 이를 분적(分籍)이라고 이르지 않는 이유는 분적(分籍)이란, 그 은 그대로 두고 본관만 바꾸어 독립할 때에 지칭하는 말이고, (姓)과 본관(本貫)을 다 바꿀 때는 완전히 타성(他姓)으로 되어 통혼(通婚)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19]


한국사(韓國史)에서는 나름의 비중을 차지하는 성씨(姓氏)인데,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族譜)가 이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성화보>이기 때문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문화 류씨(文化 柳氏)의 <가정보>가 제일 오래된 족보(族譜)라고 적고 있지만, 과거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동양학과의 에드워드 윌렛 와그너(Edward Willett Wagner) 교수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족보(族譜)는 안동 권씨(安東 權氏) <성화보>라고 한다.

안동 권씨(安東 權氏) <성화보>가 문화 류씨(文化 柳氏) <가정보>보다 연대가 조금 더 빠르다고 하는데, 다만, 족보의 체계나 구성 등에 있어서는 <성화보>보다 <가정보>가 훨씬 수록 범위가 보다 더 넓고, 발전된 형태를 띠고 있다.

어쨌든 이 <성화보>는 1476년(성종 7) 목판으로 간행했고, 서거정족보의 서문을 썼다. 와그너 교수는 이 책을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마이크로필름에서 찾아냈다고 한다.

안동시에서는 지역 정치를 안동 김씨(安東 金氏)와 안동 권씨가 세력이 강하고, 이 지역에는 권씨가 매우 많아 상위 3개 성씨가 '김,이,박'(金,李,朴)이 아니라 '김,이,권'(金,李,權)일 정도이다.[20]

강릉시에서도 세력이 강해서, 여기는 아예 지역구 국회의원부터 안동 권씨다.[21]


2. 분적과 분파[편집]


경상북도 북서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지금의 안동 지역에 있던 부족국가 창녕국(昌寧國)을 비롯한 구령국(驅令國)·소라국(召羅國) 등은 초기 신라의 속국으로 되어 있다가, 그 후 신라의 고타야군(古陀耶郡)으로 고쳐졌다.

757년(경덕왕 16)에 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쳐졌고, 930년(태조 13)에는 안동부(安東府)로 개칭 승격되었다. 시대에 따라 지명이 바뀌고, 승격강등을 거듭하다가, 1895년(고종 32)에 23관찰부제에 따라 경상도 동북부 17개군을 관할하는 관찰부(觀察府)가 설치되었으며, 이듬해에 13도제(道制)에 따라 경상북도안동군(郡)으로 개편되었다.

분적한 성씨로는 강릉 권씨(江陵 權氏)[22]가 있다.

안동 권씨에는 15개의 대파가 있다.
1세
2세
3세
4세
...
10세
파명
권행
權幸
인행
仁幸


균한
均漢

수중
守中
수중공파
守中公派

시중
時中
부호장공파
副戶長公派

수평
守平
추밀공파
樞密公派

수홍
守洪
복야공파
僕射公派

채달
棌達
동정공파
同正公派

지정
至正
좌윤공파
佐尹公派

영정
英正
별장공파
別將公派

통의
通義
부정공파
副正公派

인가
仁可
시중공파
侍中公派

형윤
衡允
급사중공파
給事中公派

광한
光漢
숙원
叔元
중윤공파
中允公派

사발
思拔
군기감공파
軍器監公派

겸한
謙漢
대의
大宜
정조공파
正朝公派



호장공파
戶長公派



응화
應和


검교공파
檢校公派


3. 안동 권씨 종기[편집]


파일:안동 권씨 종기.jpg
출처: 안동권씨대종회


4. 신 안동 김씨 분적설[편집]



종 종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에서 분적(分籍)된 것 이라 알고 있는 사람이 꽤 있는데, 역사 왜곡이다.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안동 권씨(安東 權氏),안동 장씨(安東 張氏)와 함께 역사가 시작되어 같이 뿌리를 이어나갔다. 한마디로 동시대(同時代) 가문(家門)끼리 분적(分籍)되는건 불가능하다. 시조 권행은 신라 종실(宗室), 즉 종친(宗親)의 인물이기에 경주 김씨(慶州 金氏) 본관의 인물이 맞다. 시조 권행이 안동김씨 인물이라는 자료는 없다. 역사학에서도 경주 김씨(慶州 金氏)에 인물이라 보고 있다. [23]



5. 다른 가문(왕실)과의 관계[편집]



5.1. 안동 권씨와 금나라의 관계[편집]



본 문단은 편집자들의 개인적 견해이고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있으나, 엄연히 검증되지 않는 자료들이기에 신뢰를 금함.

평주의 승려 김행의 아들 김극수가 여진의 아지고촌에 들어가 여진 여성에게 장가를 들어 아들 고을태사를 낳고, 그 현손 아골타1115년 1월, 금나라 태조의 자리에 올랐다고 한다. 이 설에 따르면, 금 태조 아골타권행의 둘째 아들의 후손이다.

고려 태조 왕건의 출생년도가 877년-943년이고, 태조 왕건권행을 아부라고 불렀다고 하면, 권행의 출생년도는 대략 866년-953년[24]일 것이다. 그럼, 첫째 아들의 출생년도는 대략 권행20대 이후로 보면 886-이후이고, 둘째와 셋째 아들이 있었다면 887년 이후가 될 수가 있다.

이는 이미 견훤을 물리친 고창대전 때 권행의 나이는 60세가 넘었고, 3자들의 나이도 벌써 40세가 넘었다는 것이 된다. 즉, 김함보의 출생년도는 대략 890년~960년 사이가 될 것이다. 이는 금시조 아골타의 7대 조상[25] 140년 이전이 되며, 거의 정확히 김함보(권함보)의 활동 시기와 일치한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 했듯이 금사에는 김함보의 형제가 3명이었는데, 장자[26]신라(고려)에 남고, 나머지 둘이 여진으로 이주를 했다는 것이다.

김행의 아들 들이 한사람으로 나오는 안동 권씨의 족보와 우연히도 일치를 한다. 그리고, 금사에도 김행의 이름이 나온다. 이것은 우연이 아니고 정확히 완안아골타조상신라(고려)에서 넘어간 권행의 둘째 아들이라는 것이다.


5.2. 안동 권씨와 원나라의 관계[편집]


원 소종 아유르시리다르의 권황후(權皇后)는 고려 출신 여성으로 권겸이고, 원 소종의 황후이다.

그러므로, 소종과 인척 관계다.


6. 항렬표[편집]


근현대에 존재하는 안동 권씨들은 주로 33~39세손 사이에 위치하며, 이 가문 역시 항렬을 철저히 지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본래 항렬자는 여자에게는 붙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인데, 이 가문은 여성도 예외없이 항렬자를 적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다만, 항렬자 규칙이 워낙 단순해서[27] 항렬표에 나와 있지 않은 한자를 항렬자로 쓰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래서 그런지 안동 권씨 대종원에서도 본항렬과 예비항렬을 모두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정해진 항렬자로 무난한 이름을 짓기 힘들다'는 이유로 항렬자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니면 여전히 각 문중의 항렬자를 쓰기도 한다.[28] 이건 다른 성씨 본관들도 마찬가지. 세대 분포가 넓은 가문으로 평가받는다. 동시대에 9세대 차이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면...

대수
본항렬
예비항렬
31세~4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31세
병(丙)◯
대(大), 만(萬), 우(友)
32세
중(重)◯
종(宗), 인(仁), 무(武)
33세
태()◯
(), 용(), 정()
34세
영()◯
헌(), (), 작()
35세
오()◯
오(), 숙(), 오()
36세
혁()◯
기(), 경(), 영()
37세
()◯
택(), 처(), 우()
38세
용()◯
준(), 열(), 익()
39세
구()◯
숙(), 궤(), 예()
40세
승(升)◯
사(士), 두(斗), 협(協)
41세~50세 : 항렬자가 이름의 뒤에 옴
41세
◯일(一)
◯백(百)
42세
◯원(元)
◯완(完)
43세
◯전(全)
◯장(長)
44세
◯택(澤)
◯서(署)
45세
◯서(書)
◯오(梧)
46세
◯명(溟)
◯연(兗)
47세
◯칠(七)
◯건(虔)
48세
◯준(駿)
◯태(兌)
49세
◯욱(旭)
◯구(究)
50세
(甲)
◯남(南)
51세~6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51세
의(懿)◯
승(丞)◯
52세
항(恒)◯
천(天)◯
53세
(玉)◯
(三)◯
54세
(德)◯
환(寰)◯
55세
조(肇)◯
아(衙)◯
56세
경(京)◯
기(琦)◯
57세
세(世)◯
호(毫)◯
58세
팔(八)◯
일(佾)◯
59세
집(執)◯
환(紈)◯
60세
구(求)◯
(年)◯

화천군파의 경우는 상기된 수교법 항렬을 쓰지 않고, 대다수 문중에서 쓰는 오행상생법을 쓴다.#


7. 집성촌[편집]



7.1. 서울·강원·경기[편집]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 강원도 강릉시 - 죽헌동[29], 사천면 노동리, 성산면 보광리 [30]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어리
  • 경기도 가평군 읍내5리 [31]
  • 경기도 연천군 중면 중사리·횡산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 모현읍 왕산리, 남사읍 아곡리
  • 경기도 이천시 - 모가면 산내리·서경리[32]·송곡리·양평리, 설성면 상봉리·장천리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가월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덕리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수곡리(수곡서원)


7.2. 대전·세종·충청[편집]


  •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 대전광역시 중구 목달동[33]·무수동[34]·정생동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청송리[35]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정용리
  • 충청북도 음성군 - 삼성면 용성리, 소이면 갑산리[36]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복탄리·야동리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다복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남성리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내법리


7.3. 전라·제주[편집]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신흥리[37]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38]
  • 전라북도 순창군 - 순창읍 가남리·신남리, 구림면 성곡리, 적성면 고원리·대산리·운림리
  •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신기리
  • 전라북도 익산시 - 임상동, 망성면 화산리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39]
  • 전라북도 정읍시 - 영원면 은선리, 옹동면 산성리, 정우면 장순리, 태인면 매계리
  •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죽천리[40]
  •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욱곡리[41]·황룡리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7.4. 대구·경북[편집]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42]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
  • 경상북도 경산시 정평동
  • 경상북도 경주시 - 안강읍 두류리, 강동면 국당리, 내남면 망성리·율동리·화곡리·안심리, 문무대왕면 구길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 경상북도 구미시 - 도개면 궁기리·신림리, 옥성면 농소리
  •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노행리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장암리
  • 경상북도 문경시 - 산양면 일원, 영순면 사근리
  • 경상북도 봉화군
    • 봉화읍 유곡리[43]
    • 봉성면 봉양리, 춘양면 의양리[44]
  • 경상북도 상주시 - 공검면 양정리, 모서면 대포리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본리리
  • 경상북도 안동시
    • 노하동·동부동·법상동[45]·서부동[46]·신세동·안막동·용상동[47]·율세동
    • 풍산읍 노리·막곡리, 남선면 신석리[48]·원림리[49], 북후면 도촌리·연곡리[50], 서후면 명리[51]·이개리[52]
    • 와룡면 가야리·서지리·이상리·이하리[53]·주하리·중가구리, 일직면 광연리[54]·국곡리, 임동면 사월리[55]
    • 임하면 임하리, 풍천면 가곡리[56]·갈전리[57]·구호리
  • 경상북도 영덕군 - 영덕읍 괴시리[58], 병곡면 송천리[59], 창수면 인량리
  • 경상북도 영양군 - 영양읍 상원리, 수비면 계리, 입암면 신사리
  • 경상북도 영주시 - 부석면 감곡리, 이산면 두월리·원리
  • 경상북도 영천시 - 화남면 금호리·선천리[60], 화산면 가상리[61]
  • 경상북도 예천군 - 예천읍 상동리[62]·왕신리·통명리, 용궁면 향석리[63], 지보면 매창리·수월리·마전리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 경상북도 의성군 - 구천면 소호리, 다인면 삼분리, 옥산면 구성리·입암리[64], 점곡면 서변리[65]
  • 경상북도 청송군 - 안덕면 장전리[66], 진보면 광덕리[67]·신촌리·이촌리·진안리·후평리
  • 경상북도 칠곡군 - 석적읍 도개리, 가산면 학산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68]


7.5. 울산·경남[편집]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곡리·평리[69]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유계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위량리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누리·사월리·입암리[70], 신등면 단계리[71]·양전리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 경상남도 진주시 수정동[72]
  •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사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73]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도북리
  • 경상남도 합천군 - 대병면 상천리·성리·장단리, 쌍책면 다라리
  • 경상남도 사천시 용강동


7.6. 북한[편집]


  • 강원도 고성군 서면 송탄리[74]
  • 강원도 평강군 - 목전면 기산리, 서면 문봉리, 평강면 간리[75]
  • 황해도 봉산군 기천면 묵천하리
  • 황해도 서흥군 매양면 양사리
  • 황해도 신천군 - 궁흥면 성암리, 문무면 유령리, 용진면 삼봉리
  • 황해도 연백군 호동면 용산리
  • 황해도 평산군 용산면 노동리·광암리
  •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가좌동
  • 함경남도 문천군 구산면 수치리·장발리


8. 실존 인물[편집]



8.1. 근대 이전[편집]




8.2. 현대 인물[편집]


32세(重)
권중현(權重顯)
1854 ~ 1934
추밀공파 혁계
문신, 친일파
권중희(權重熙)
1890 ~ 1946
복야공파 분선계
독립운동가
권덕규(權悳奎)
1891 ~ 1950
추밀공파 덕창2계
독립운동가
권중환(權重煥)
1895 ~ 1959
검교공파 수경계
독립운동가
권중휘(權重輝)
1905 ~ 2003
동정공파 조균계
교육인
권중혁(權重爀)
1921 ~
복야공파 우전계
독립운동가
권중각(權重珏)
1921 ~ 1961
추밀공파 덕로계
정치깡패
권중동(權重東)
1932 ~ 2021
부호장공파 억환계
정치인, 공무원
33세(泰)
권동진(權東鎭)
1861 ~ 1947
추밀공파 수2계
독립운동가
권태호(權泰浩)
1903 ~ 1972
동정공파 복대계
음악인
권태희(權泰羲)
1907 ~ 1983
동정공파 복대계
정치인
권태욱(權泰郁)
1907 ~ 1981
복야공파 분립계
정치인
권태규(權泰圭)
1910 ~ 1957
복야공파 침계
독립운동가
권중돈(權仲敦)
1912 ~ 1985
복야공파 산보계
군인, 정치인
권노갑(權魯甲)
1930 ~
급사중공파 성행계
정치인
권정달(權正達)
1936 ~
부호장공파 봉득계
군인, 정치인
권태신(權泰信)
1949 ~
복야공파 대전계
공무원
34세(寧)
권승렬(權承烈)
1895 ~ 1980
추밀공파 수2계
공무원
권용두(權容斗)
1914 ~ 1992
추밀공파 유2계
독립운동가
권이혁(權彛赫)
1923 ~ 2020
추밀공파 덕창계
교육인, 공무원
권효섭(權孝燮)
1925 ~ 2017
복야공파 두인2계
정치인
권영해(權寧海)
1937 ~
추밀공파 세득계
군인, 공무원
권영우(權寧禹)
1942 ~ 2006
검교공파 이전계
기업인, 정치인
권영세(權寧世)
1953 ~
복야공파 분형계
정치인
권인하(權仁夏)
1959 ~
추밀공파 대경1계
음악인
권영진(權泳臻)
1962 ~
동정공파 조균계
정치인
35세(五)
권숙린(權肅獜)
1877 ~ 1939
복야공파 두망1계
독립운동가, 족보명 숙린(肅麟)
권오설(權五卨)
1897 ~ 1930
복야공파 박계
독립운동가
권오종(權五鍾)
1900 ~ 1960
동정공파 조균계
정치인
권오직(權五稷)
1906 ~ ?
복야공파 박계
독립운동가
권성기(權聖基)
1908 ~ 1997
복야공파 두인2계
정치인
권오훈(權五勳)
1911 ~ 1951
복야공파 득중계
정치인
권오병(權五柄)
1918 ~ 1975
복야공파 두길계
법조인, 공무원
권오석(權五石)
1921 ~ 1975
복야공파 응경계
노무현 가문, 족보명 오석(五晳)
권오석(權五石)
1923 ~ 2002
추밀공파 눌계
정치인
권오태(權五台)
1927 ~ 2010
부정공파 태시계
정치인
권오기(權五琦)
1932 ~ 2011
동정공파 조균계
언론인, 공무원
권기술(權琪述)
1938 ~ 2011
좌윤공파 극겸계
정치인
권오길(權伍吉)
1940 ~
복야공파 두양계
생물학자
권경석(權炅錫)
1946 ~
복야공파 상2계
정치인
권철현(權喆鉉)
1948 ~
복야공파 건계
정치인
권오갑(權五甲)
1951 ~
추밀공파 규2계
체육인
권오규(權五奎)
1952 ~
추밀공파 시현계
공무원
권재진(權在珍)
1953 ~ 2020
복야공파 섬계공계
법조인, 공무원
권오성(權五晟)
1955 ~
추밀공파 시태계
군인
권오을(權五乙)
1957 ~
검교공파 영세계
정치인
권영현(權瑛鉉)
1966 ~
복야공파 순계
군인
권용기(權用基)
1969 ~
추밀공파 수경계
학원인
권락용(權樂容)
1982 ~
검교공파 림계
정치인
36세(赫)
권기일(權奇鎰)
1886 ~ 1920
부정공파 태시계
독립운동가, 족보명 혁린(赫麟)
권일(權逸)
1911 ~ 2001
좌윤공파 미윤계
정치인
권복인(權福仁)
1912 ~ 1978
정조공파 상평계
체육인
권혁조(權赫朝)
1923 ~ 2002
좌윤공파 미윤계
독립운동가
권혁수(權赫壽)
1926 ~ 1953
복야공파 박계
독립운동가, 족보명 재탁(在倬)
권갑주(權甲周)
1929 ~ 2020
추밀공파 흡계
정치인
권영길(權永吉)
1941 ~
복야공파 상2계
정치인
권영기(權泳基)
1947 ~
복야공파 빈계
군인
권양숙(權良淑)
1948 ~
복야공파 응경계
영부인
권혁준(權赫準)
1952 ~
추밀공파 절계
만화가
권선택(權善宅)
1956 ~
추밀공파 유2계
정치인
권기균(權奇鈞)
1957 ~ 2020
부정공파 덕여계
공학자, 정치인
권헌성(權憲成)
1958 ~
복야공파 두장1계
정치인
권영택(權英澤)
1962 ~
부정공파 태시계
정치인
권기창(權奇菖)
1962 ~
정조공파 명일계
정치인
권기선(權奇宣)
1963 ~
복야공파 승의랑계
공무원
권익환(權益煥)
1967 ~
급사중공파 성시계
법조인
권상우(權相佑)
1976 ~
추밀공파 유2계
배우, 족보명 상우(祥佑)
권혁주(權赫周)
1978 ~
부정공파 우정계
만화가
권창훈(權昶勳)
1994 ~
별장공파 득립계
체육인
37세(純)
권구원(權九瑗)
1924 ~ 2017
시중공파 유경계
독립운동가, 족보명 희원(熙瑗)
권희필(權熙弼)
1935 ~
시중공파 성원계
정치인
권철현(權哲賢)
1947 ~
복야공파 유경1계
정치인
권희태(權熙泰)
1954 ~
시중공파 성원계
정치인
권유관(權有官)
1957 ~
추밀공파 허진계
정치인
권순일(權純一)
1959 ~
추밀공파 두기계
법조인
권성동(權性東)
1960 ~
복야공파 흥문계
법조인, 정치인
권문상(權文相)
1964 ~
복야공파 흠계
법조인, 족보명 문상(汶相)
권삼(權參)
1964 ~
추밀공파 득평1계
군인, 족보명 순삼(純參)
권택기(權宅起)
1965 ~
별장공파 해계
정치인
권칠승(權七勝)
1965 ~
복야공파 상률계
정치인
권광택(權光澤)
1968 ~
복야공파 양득계
정치인
권세호(權世昊)
1968 ~
부정공파 구계
정치인
권순욱(權純旭)
1968 ~
부정공파 복형계
언론인
권용순(權龍純)
1975 ~
복야공파 박계
기업인
권학봉(權學峰)
1979 ~
부정공파 오계
사진가
권희동(權熙東)
1990 ~
시중공파 이량계
체육인
권순영(權順榮)
1996 ~
추밀공파 탁1계
아이돌
권순우(權純雨)
1997 ~
추밀공파 우1계
체육인
38세(容)
권문용(權文勇)
1943 ~
추밀공파 기계
정치인
권용현(權容賢)
1960 ~
추밀공파 엽계
공무원
권성중(權成重)
1969 ~
시중공파 성원계
법조인, 정치인
권용일(權容日)
1971 ~
별장공파 준계
공무원
권민중(權旼重)
1975 ~
시중공파 성원계
배우
권용관(權容寬)
1976 ~
추밀공파 종성계
체육인
권성주(權聖主)
1979 ~
복야공파 유경1계
정치인
39세(九)
권재관(權載寬)
1977 ~
추밀공파 수영계
희극인, 족보명 구복(九福)


8.3. 계보 불명[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0:01:06에 나무위키 안동 권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조가 고려 태조(太祖)에게 권씨(權氏)라는 새 성을 사성받기 전에 경주 김씨였기에 김알지의 후손이다. 대종회에서도 이를 언급하고 선조로 여긴다. http://andongkwon.org/bbs/board.php?bo_table=z4_01&wr_id=1[2] 시조 권행(權幸)은 경순왕(敬順王)의 외손자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시기가 안맞는다. 권행(權幸)이 왕건(877년)보다 나이가 많았고 이미 고창전투(古昌戰鬪)를 치르고 있었을 당시 나이가 60세 정도였다. 경순왕(敬順王)은 왕건(王建)보다 나이가 적었으며, 고창전투의 시기가 929년 ~ 930년이였다. 경순왕(敬順王)의 출생이 897년이라 추정되면, 고창전투 시기때의 경순왕(敬順王)의 나이가 약 32살이였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권행(權幸)과 경순왕(敬順王)의 나이차이가 심하면 30살까지도 차이가 났었던 것이다. 현재로서 계보가 확인된것은 내물왕(奈勿王)까지 이다. 한마디로 내물왕부터 김행(金幸)까지의 계보는 상고 할 수 없으나, 선계를 따지자면 내물왕(奈勿王)이 선조인 것 은 사실이다. 이로써 권행(權幸)은 헌강왕의 후손 설과, 문성왕의 후손 설이 있다.[3] 고려의 삼한공신(三韓功臣). 고려 태조(太祖)에게 권씨 성을 사성받기 전에 이름은 김행(金幸)[4] 시조 2세 즉 장남으로, 안동 권씨에서 모시는 아시조(亞始祖)이다. 모든 안동 권씨 후손들이 이 분의 후손이기도 하다.[5] 복야공파[6] 직계종파[7] 광석공파[8] 이 자료에 의하면 100만명인데 현재는 삭제되어 볼 수 없다.[9] 이 링크로 들어가서 인터넷족보-한글판대동보열람을 클릭하면 인터넷족보를 열람할 수 있다.[10] 본래 본관에서 다른 지역으로 본관을 삼아 독립된 성씨를 갖추는 것.[11] 군주에게 성을 받은 것.[12] 성씨를 바꾼 것.[13] 현재의 안동시 [14] 당시 이름은 신라의 종성 김씨의 이름인 김행[15] 이 당시 김선평도 신라의 종성 김씨였다.[16] 그의 아버지 장원과 함께 당나라에서 신라로 망명을 왔으며, 고려에 공을 세워 작위를 받고 안동 장씨의 시조가 되었다.[17] 1등 전주 이씨, 3등 파평 윤씨[18] 1800년 ~ 1873년 이후[19] http://www.andongkwon.or.kr/page_view.html?page_no=7 그래서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와 혼인(婚姻)하는 일이 빈번하다.[20] 박씨(朴氏)는 여기에 많지 않고, 박씨(朴氏)보다는 이 지역에 최씨(崔氏)가 많다.[21] 지역구 국회의원은 당연직으로 그 지역의 당조직을 총괄하는 책임을 지며,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에 대한 공천권을 지닌다. 특히 강릉시와 같은 단독선거구인 경우, 지자체장보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힘이 막강할 수 밖에 없는데, 영동지방이 보수정당의 텃밭이고, 권성동윤석열의 최측근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강릉시에서 안동 권씨 세력이 강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22] 현재 25명이 있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로 안동 권씨로 합본되었다. (안동 권씨 시중공파에서 갈라졌다.)[23] 경주 김씨(慶州 金氏) 연합대종원에도 분적(分籍)된 성씨 가운데 안동 권씨도 포함되어 있다.[24] 943년보다는 많을 것임.[25] 1대를 20-30년으로 보면[26] 아마 안동 권씨에서 아시조로 모시는 권행의 독자이자 장남인 권인행일 것이다.[27] 항렬자 안에 숫자에 해당하는 한자가 있다. 수교법 문서를 참조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반남 박씨도 역시 이 방법을 쓴다.[28] 특히, 37대손인 순자는 오늘날 보기엔 다소 촌스럽기도 하고, 남자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안 쓰는 사람이 꽤 많고, 대신 동()자를 항렬자로 많이 쓰는 편이다.(예: 권성동)[29]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특히 강원도 지역 중 가장 많은 안동 권씨 집성촌으로 알려져 있다. 강릉원주대학교(구 강릉대학교) 장정룡 교수에 따르면 강릉시 인구 중에서도 안동 권씨가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고 한다.[31] 이곳은 구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엽광촌으로, 가평에서 대표적인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32] 독립유공자 권중효가 이 마을 출신이다.[33] 권선택 전 대전광역시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34] 독립유공자 권용두가 이 마을 출신이다.[35] 독립유공자 권혁기권문용 전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36] 독립유공자 권재학이 이 마을 출신이다.[37] 독립유공자 권철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38] 독립유공자 권중현이 이 마을 출신이다.[39] 독립유공자 권중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40] 참고문헌인 『한국근대민속·인류학자료대계 8 - 조선의 성씨』동족집단상황 부분에는 인동(仁同) 권씨 집성촌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안동 권씨의 오기로 보인다.[41] 독립유공자 권영회가 이 마을 출신이다.[42] 권오훈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43] 안동 권씨의 대표적 집성촌으로 권벌과 그 후손들이 살던 곳이다. 독립유공자 권경섭·권명섭·권상원·권상위·권상익·권세연·권영섭·권옥연·권차응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44] 독립유공자 권상경·권재호·권태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45] 독립유공자 권상학·권예윤·권점필·권중석·권중윤권정달·권택기 전 국회의원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46] 독립유공자 권태염이 이 마을 출신이다.[47] 독립유공자 권정필이 이 마을 출신이다.[48] 권중동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49] 권영진 전 대구광역시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50] 권오기 전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과 권중휘 전 서울대학교 총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51] 독립유공자 권제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52] 독립유공자 권두경이 이 마을 출신이다.[53] 독립유공자 권이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54] 독립유공자 권구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55] 독립유공자 권영석·권오규·권중희·권태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56] 독립유공자 권각·권오돈·권오설·권준희·권혁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57] 권영우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58] 독립유공자 권영만이 이 마을 출신이다.[59] 독립유공자 권영조·권유동·권정필·권진모·권태응·권헌문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60] 권칠승 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61] 임진왜란 때 의병장 권응수 장군이 이 마을 출신이다.[62] 독립유공자 권혁조가 이 마을 출신이다.[63] 독립유공자 권혁무가 이 마을 출신이다.[64] 독립유공자 권오균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65] 독립유공자 권대직·권휘연이 이 마을 출신이다.[66] 독립유공자 권탁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67] 독립유공자 권영만·권유현·권중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68] 독립유공자 권대진·권중혁이 이 마을 출신이다.[69] 권기술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70] 권경석·권영길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71] 독립유공자 권숙린권익현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72] 독립유공자 권채근, 권봉근, 권유근이 이 곳 출신이다.[73] 독립유공자 권영대·권영조·권오규·권태용과 비전향 장기수 권오석-노무현 대통령 영부인인 권양숙 부녀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74] 독립유공자 권형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75] 독립유공자 권병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76] 본명은 권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