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말잇기/죽지 않는 글자/통계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룰별 죽지 않는 글자
2.1. 이유
2.1.1. 값
2.1.2. 갱
2.1.3. 견
2.1.4. 긍
2.1.5. 깁
2.1.6. 꺽
2.1.7. 꽝
2.1.8. 꿈
2.1.9. 끓
2.1.10. 넌
2.1.11. 넘
2.1.12. 높
2.1.13. 닫
2.1.14. 덕
2.1.15. 듕
2.1.16. 듬
2.1.17. 뜀
2.1.18. 롬
2.1.19. 률(율)
2.1.20. 먀
2.1.21. 몬
2.1.22. 못
2.1.23. 묽
2.1.24. 밤
2.1.25. 뱅
2.1.26. 법
2.1.27. 벗
2.1.28. 벙
2.1.29. 벡
2.1.30. 뺄
2.1.31. 뻬
2.1.32. 샘
2.1.33. 성
2.1.34. 숭
2.1.35. 슐
2.1.36. 승
2.1.37. 욕
2.1.38. 웅
2.1.39. 적
2.1.40. 젓
2.1.41. 젠
2.1.42. 족
2.1.43. 준
2.1.44. 즙
2.1.45. 증
2.1.46. 짓
2.1.47. 째
2.1.48. 착
2.1.49. 춘
2.1.50. 층
2.1.51. 칙
2.1.52. 켈
2.1.53. 킷
2.1.54. 탕
2.1.55. 틀
2.1.56. 팽
2.1.57. 폭
2.1.58. 표
2.1.59. 퓨
2.1.60. 학
2.1.61. 혈
2.1.62. 형
2.1.63. 혜
2.1.64. 환
2.1.65. 훤
2.1.66. 휼
2.1.67. 흠


1. 개요[편집]


끝말잇기에서 룰별로 달라지는 죽지 않는 글자중요단어에 관하여 통계를 내고, 룰별로 달라지는 끝말잇기의 체계를 알기 쉽게 총정리한 문서이다.
끝말잇기/죽지 않는 글자/표준어 명사, 끝말잇기/죽지 않는 글자/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끝말잇기/죽지 않는 글자/모든 체언의 차이점을 이 문서에서 설명한다고 보면 된다.


2. 룰별 죽지 않는 글자[편집]


표준어 명사 룰,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룰, 모든 체언 룰 이렇게 셋 중 적어도 한 룰에서 죽지 않는 글자인 글자들을 모아서, 어떤 룰에서 죽지 않는 글자가 되는지를 표로 표시하였다. 죽지 않는 글자라면 O, 아니라면 X로 나타내었다.


표준어 명사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모든 체언

X
O
X

O
O
O

O
O
X

O
O
O

O
X
X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O
X
X

O
O
X

X
X
O

O
O
O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X
X
O

X
X
O

O
O
O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X

O
O
O

O
X
X

O
O
O
녓(엿)
O
O
O

O
X
X

O
O
X

O
O
O

O
O
X

O
O
O

O
O
O

X
X
O

O
O
O

X
X
O

O
O
O

O
O
X

O
O
O
랑(낭)
O
O
O
[1]
O
O
X
뢰(뇌)
O
O
O
륜(윤)
O
O
O
률(율)
O
O
X
륭(늉, 융)
O
O
O
륵(늑)
O
O
O
름(늠)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O
X
X

X
X
O

O
O
O

O
O
X

O
O
O

O
X
X

O
X
X

O
X
X

X
X
O

X
X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X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O
X
X

O
O
O

O
X
X

O
O
O

O
O
X

O
X
X

O
O
O

O
X
X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O
X
X

X
X
O

O
O
X

O
O
O

O
O
O

O
X
X

O
O
O

O
O
X

O
X
X

O
O
O

O
O
X

O
O
O

O
O
O

O
O
O

X
X
O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X
X

O
O
O

O
O
X

O
O
X

O
O
O

O
O
O

O
O
O

X
X
O

X
O
O

O
O
X

O
O
O

O
O
O

O
O
X

O
O
O

X
O
X

O
O
O

O
O
O

O
O
X

O
O
O

X
O
X

O
X
X

O
O
X

O
O
O

O
O
O

O
O
O

O
O
O

X
O
O

O
O
O

O
X
X

O
X
X

O
O
O

O
O
O

O
X
X

O
O
O

O
O
O

O
X
X

O
X
X

O
O
O

O
O
O

O
O
O

O
O
O

O
X
X

O
O
O

O
O
O
죽지 않는 글자
165
152
118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닌 것
10
23
57
총 175개.

끝말잇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원래 죽지 않는 글자이던 글자를 죽이는 한방단어가 존재하게 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쪽이 훨씬 많기 때문에 범위가 넓어질수록 죽지 않는 글자의 개수도 줄어드는 현상을 보인다.

2.1. 이유[편집]


위의 표에서 X가 있는 죽지 않는 글자만 설명한다. 모두 O인 경우에는 설명할 사항도 없는 게 당연하기 때문이다.

2.1.1. 값[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표 한방단어가 표고버섯이 된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는 순간 섯녘 때문에 표고버섯이 쓸모없어진다. 이로 인해 표 한방단어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모든 체언을 허용하면 표 한방단어인 표구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값이 한방단어가 되게 된다.

2.1.2. 갱[편집]


원래 '~즙'이 한방단어가 될 수는 없는 것이, 즙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에서 다른 단어는 모두 죽는데 딱 하나, 즙화향적이 탈출구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적'은 죽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북한어를 허용하면 적외선텔레비죤 때문에 이마저도 소용이 없게 되어버리고, 결론적으로 북한어를 허용하면 '~즙'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갱'은 갱즙으로 죽일 수 있게 된다.

2.1.3. 견[편집]


우선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말 범위에서는 견 한방단어가 견훤이 된다. 그 이유는 이렇다. 일단 표준어 명사만을 허용하면 다른 단어는 다 죽는다 해도 훤화지성으로는 '~훤'을 방어할 수 있다. '성'은 죽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성호르몬'이 '몬드법 법썩(잘못된 말) 썩초 초산소듐'의 패턴으로 한방단어가 된다. 결국 '견훤'을 하면 이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견'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며, 여기에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죽지 않는 글자이다.
그렇다면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오히려 훤훤이라는 옛말로 '견훤'을 죽여버릴 수 있다! 견훤 죽은 지가 언젠데... 따라서 유일한 '견' 한방단어이던 견훤이 쓸모없어지므로 '견'이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4. 긍[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긍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긍'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휼'이 왜 한방단어가 되는지는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2.1.5. 깁[편집]


'깁'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깁바탕' 하나뿐인데, 북한어를 허용하면 탕그릇으로 죽는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6. 꺽[편집]


'꺽'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꺽지탕', '꺽저기탕' 두 개이다. 그러나 북한어를 허용하면 탕그릇으로 죽으므로 '꺽'은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7. 꽝[편집]


이 글자는 모든 체언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둑'과 '낭'이 죽지 않는 글자인데, 둑지꽝꽝낭 따위가 제주 방언이기 때문이다.

2.1.8. 꿈[편집]


원래 '꿈' 한방단어는 꿈땜 하나뿐인데 방언을 허용하면 오히려 땜뿍이라는 한방단어 때문에 '꿈땜'이 쓸모없어진다. 결국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꿈'이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9. 끓[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끓' 한방단어는 '끓을탕', '끓는점법' 두 개이다. 그런데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법썩이라는 잘못된 말로 '끓는점법'을 죽이고, 북한어까지 허용하면 '탕그릇'으로 '끓을탕'을 죽인다. 결국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끓' 한방단어가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어 '끓'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게 된다.

2.1.10. 넌[편집]


'넌'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넌덕' 하나뿐이다. 그러나 옛말을 허용하면 덕거뮈 때문에 쓸모가 없어진다. 결국,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넌'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11. 넘[편집]


'넘'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넘늘이성' 하나뿐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성호르몬으로 죽일 수 있다. '성호르몬'이 잘못된 말이라는 것은 아니다. '~몬'은 잘못된 말을 허용할 때만 한방단어이기 때문에 이렇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몬 문단 참조.

2.1.12. 높[편집]


'높'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높임법' 하나뿐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법썩'으로 죽는다. 따라서 '높'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13. 닫[편집]


'닫'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닫힌도덕' 하나뿐이다. 그러나 옛말을 허용하면 덕거뮈로 죽는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닫'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14. 덕[편집]


다른 때에는 죽지 않는 글자지만 옛말을 허용하면 덕거뮈 때문에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15. 듕[편집]


옛말을 허용하면 '궁듕', '듕깃' 때문에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16. 듬[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널도듬', '듬벙', '벙드레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듬'이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널도듬'은 표준어이지만 '듬벙'과 '벙드레죽'은 방언이다.

2.1.17. 뜀[편집]


~뜀 뜀틀 틀톱 톱니무늬 늬치럼의 패턴으로 한방단어가 되는데, '늬치럼'은 방언이므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만 그렇다. 따라서 '늬치럼'을 쓰지 못하는 다른 범위에서는 톱니무늬가 톱 한방단어가 되는 시스템이다. 이 경우에는 '뜀'이 죽지 않는 글자가 맞는다.

2.1.18. 롬[편집]


롬바르드족이라는 중요단어가 있지만, 방언을 허용하면 족장톱이라는 단어가 한방단어가 된다. 족장톱이라는 단어는 엄연한 표준어지만, 이 단어가 한방단어의 효력을 갖는 것은 방언을 허용할 때뿐이라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은 한방단어가 된다.
결론적으로, '롬'은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왜 '~톱'이 한방단어가 되는지는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톱 문단을 참고하자.

2.1.19. 률(율)[편집]


본래 '률(율)'은 죽지 않는 글자가 맞지만, 옛말을 허용하는 순간 율믜율믜쥭으로 죽으므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20. 먀[편집]


'먀'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먀오족뿐인데, 방언을 허용하면 족장톱 톱니무늬 늬치럼의 패턴으로 죽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21. 몬[편집]


'~몬'은 잘못된 말을 허용할 때에만 한방단어이다. ~몬 몬드법 법썩 썩초 초산소듐의 패턴인데, 여기에서 '법썩'이 '법석'의 잘못된 말이기 때문. '법썩'을 사용할 수 없는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몬'이 한방단어가 되지 않고 죽지 않는 글자일 뿐이다.

2.1.22. 못[편집]



2.1.23. 묽[편집]


'묽'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묽힌법칙'뿐이다. 그러나 방언을 허용하면 '칙시깐' 때문에 죽게 된다.

2.1.24. 밤[편집]


원래 '~즙'이 한방단어가 될 수는 없는 것이, 즙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에서 다른 단어는 모두 죽는데 딱 하나, 즙화향적이 탈출구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적'은 죽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북한어를 허용하면 적외선텔레비죤 때문에 이마저도 소용이 없게 되어버리고, 결론적으로 북한어를 허용하면 '~즙'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밤'은 밤즙으로 죽일 수 있게 된다.

2.1.25. 뱅[편집]



2.1.26. 법[편집]


'법'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이지만,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법썩' 때문에 죽게 된다. '법'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인 셈이다.

2.1.27. 벗[편집]


원래 '꿈' 한방단어는 꿈땜 하나뿐이었으나 방언을 허용하면 땜뿍 때문에 꿈땜이 쓸모없어지면서 '꿈' 한방단어가 없어진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벗어난끝바꿈을 중요단어로서 사용해도 된다.

2.1.28. 벙[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듬벙'과 '벙드레죽'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체언을 허용할 때에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듬'과 '죽'은 모든 체언 범위에서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29. 벡[편집]


'벡'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벡터적'뿐인데, 북한어를 허용하면 '적외선텔레비죤' 때문에 죽게 되므로 '벡'도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30. 뺄[편집]


'뺄'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뺄셈법'뿐인데,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법썩' 때문에 죽게 되므로 이 경우 '뺄' 또한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게 된다.

2.1.31. 뻬[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뻬다깐이 '뻬' 한방단어가 되므로 '뻬'가 죽게 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뻬'가 죽지 않는 글자가 되지 않는다.

2.1.32. 샘[편집]


원래 샘 한방단어는 샘창자샘이다. 샘창자샘 샘근육증 증휼의 패턴인데, '~휼'은 한방단어이다. 그 이유는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을 참조하자. 그런데 '~휼'은 잘못된 말을 허용할 때만 한방단어이다. 증 한방단어는 증휼 하나뿐이다. 밑의 내용을 미리 설명해버리는 감이 있긴 하지만, 잘못된 말을 허용하지 않으면 '증'은 죽지 않는 글자라는 뜻이다. 따라서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샘창자샘'이 '샘근육증' 때문에 한방단어가 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샘' 또한 '증'과 마찬가지로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33. 성[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성'은 죽지 않는 글자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성 한방단어는 성호르몬 혹은 성페로몬이 된다. 성호르몬 몬드법 법썩 썩초 초산소듐의 패턴인데, 여기에서 '법썩'이 잘못된 말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성'은 죽지 않는 글자가 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성'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인 셈이다.

2.1.34. 숭[편집]


다른 때 같으면 '숭'은 죽지 않는 글자이지만, 방언을 허용하면 숭어뜀이 숭 한방단어가 된다. 숭어뜀 뜀틀 틀톱 톱니무늬 늬치럼의 패턴인데, 방언을 비허용하면 '늬치럼'을 사용하지 못하여 '톱니무늬'에 대응할 단어가 없어지지만[2] 방언을 허용하면 '~뜀'이 한방단어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숭' 한방단어가 생기므로 '숭'은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35. 슐[편집]


'슐'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슐리렌법'밖에 없는데, 잘못된 말을 허용하게 되면 이를 법썩으로 죽일 수 있다. 그러므로 '슐'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가 되는 셈이다.

2.1.36. 승[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승냥깐이 승 한방단어가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승'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37. 욕[편집]



2.1.38. 웅[편집]


의존명사를 허용하면 웅큼이 '웅' 한방단어가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웅'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39. 적[편집]


북한어를 허용하면 '적' 한방단어가 적외선텔레비죤이 되므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적'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40. 젓[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젓' 한방단어가 '젓딥'이 된다. 따라서 '젓'은 잘못된 말을 허용하지 않는 범위, 즉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그러나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젓딥 -> 딥지즑, 젓쿨 -> 쿨롬 -> 롬바르드족 -> 족장톱 -> 톱니무늬 -> 늬치럼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젓은 오히려 이기는 글자이다.

2.1.41. 젠[편집]


원래 '~젠'은 한방단어이지만 북한어를 허용하면 '젠벽'을 쓸 수 있으므로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모든 체언 범위에서 '벽'은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42. 족[편집]


다른 때 같으면 '족'은 죽지 않는 글자이지만 방언을 허용하면 족장톱 톱니무늬 늬치럼의 패턴으로 죽는다. 여기에서 늬치럼이 방언이다. 결론적으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43. 준[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준'은 죽지 않는 글자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준 한방단어는 준호르몬이 된다. 준호르몬 몬드법 법썩 썩초 초산소듐의 패턴인데, 여기에서 법썩이 잘못된 말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준'은 죽지 않는 글자가 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준'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인 셈이다.

2.1.44. 즙[편집]


'~즙'은 북한어를 허용하면 한방단어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죽지 않는 글자이다. 바로 '즙화향적' 때문인데, 북한어를 허용해야 '적외선텔레비죤'이라는 '적' 한방단어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즙'은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45. 증[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혜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환'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2.1.46. 짓[편집]


원래 '짓'은 죽지 않는 글자이지만, 옛말을 허용하면 짓않이 짓 한방단어가 된다. 따라서 '짓'은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47. 째[편집]



2.1.48. 착[편집]


북한어를 허용하면 '착' 한방단어는 착즙이 된다. '~즙'은 북한어를 허용하면 한방단어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죽지 않는 글자이다. 바로 '즙화향적' 때문인데, 북한어를 허용해야 '적외선텔레비죤'이라는 '적' 한방단어가 생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어를 허용하지 않으면 '~즙'은 한방단어가 아니며, '착즙'이 '착' 한방단어가 되지 않으므로 '착'은 죽지 않는 글자인 것이다.

2.1.49. 춘[편집]



2.1.50. 층[편집]


북한어를 허용하면 '층' 한방단어는 층사귐이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층'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51. 칙[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칙시깐 때문에 '칙'이 죽는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칙'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52. 켈[편집]


원래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젠'이 한방단어이므로 켈 한방단어는 켈젠이 된다. '켈젠'은 유일한 켈 한방단어이다. 그런데 북한어를 허용하면 '젠벽'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켈젠'이 쓸모없어진다. 따라서 '켈'은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53. 킷[편집]


'~값'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한방단어라는 결론을 위 '값' 문단에서 내렸다. '킷' 한방단어는 '킷값' 하나뿐인데 이것은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쓸모없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킷'은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54. 탕[편집]


북한어를 허용하면 '탕' 한방단어는 탕그릇이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탕'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55. 틀[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틀' 한방단어는 '틀톱'이 된다. 틀톱 톱니무늬 늬치럼의 패턴인데, 여기에서 늬치럼이 방언이다. 방언을 비허용하면 '늬' 한방단어가 없고 '~늬'가 한방단어라서 '틀톱'을 하면 오히려 진다. 이럴 때는 '틀'이 죽지 않는 글자이다. 그런데 방언을 허용하면 '늬치럼' 때문에 '틀톱'이 '틀' 한방단어로 작용하는 것이다.

2.1.56. 팽[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팽 한방단어가 팽이버섯이며, 북한어를 허용하면 팽이그릇이 된다. 따라서 표준어 명사 범위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팽'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이제 남은 문제는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범위일 때이다. 이 경우에는 섯녘 때문에 유일한 팽 한방단어이던 '팽이버섯'이 쓸모없어진다. 따라서 '팽'은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57. 폭[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폭 한방단어는 폭도둑놈이 된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폭'이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58. 표[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표고버섯이 유일한 표 한방단어이다. 그러나 여기에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섯녘 때문에 쓸모없어진다. 옛말까지 허용하면 '표고버섯'은 쓸모없지만 표구렁이 표 한방단어가 된다. 결론적으로, '표'는 표준어 명사와 잘못된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59. 퓨[편집]


'퓨'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퓨렉스법'뿐인데,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법썩이 '법' 한방단어가 되므로 '퓨렉스법'이 쓸모없어진다. 따라서 '퓨' 중요단어가 하나도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퓨'는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60. 학[편집]


방언을 허용하면 '학'은 '학뜀 뜀틀 틀톱 톱니무늬 늬치럼'으로 죽는다. 따라서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학'은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2.1.61. 혈[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값'이 한방단어이다. 따라서 '혈' 한방단어는 혈당값이 된다. 혈 한방단어는 혈당값 하나뿐이다. 그러나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값'은 한방단어가 되지 않고, '값'은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다시 말해 '혈당값'이 한방단어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혈'은 죽지 않는 글자가 된다.

2.1.62. 형[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형' 한방단어를 찾아볼 수가 없지만, 잘못된 말에서는 '형제주인어멈'이라는 한방단어가 있다. 따라서 '형'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63. 혜[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혜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혜'는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2.1.64. 환[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환난상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환'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2.1.65. 훤[편집]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는 '~훤'을 '훤화지성'이라는 중요단어로 연결할 수 있지만,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성호르몬 때문에 '훤화지성'이 쓸모가 없어지고, 모든 체언 범위에서는 훤훤이라는 옛말 때문에 '~훤'이 아예 맥을 못 춘다. 결론적으로, '훤'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2.1.66. 휼[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죽지 않는 글자가 아니다. 그 이유는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2.1.67. 흠[편집]


잘못된 말을 허용하면 '~휼'이 한방단어가 되므로 흠휼로 죽게 된다. 따라서 '흠'은 표준어 명사 범위에서만 죽지 않는 글자이다.
끝말잇기/한방단어/시리즈별에서 '~휼' 문단 참조.
[1] 롬(놈)이 아닌 롬으로 표시하는 이유가 있다. '뢰' 같은 경우에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뇌'로 바꾸고, '뇌'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뢰(뇌)라고 표시하지만, '놈'으로 시작하는 중요단어는 없으므로 그냥 으로만 표시한다.[2] '늬굽'도 있으나 이 역시 방언이므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대응할 단어가 없어지는 것이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