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나리

덤프버전 :

파일:바다나리.png

바다나리
Feather starfish
이명: 갯고사리, 해백합
Crinoidea Miller, 1821
분류

동물계(Animalia)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아문
바다나리아문(Crinozoa)

바다나리강(Crinoidea)
1. 개요
3. 특징
4. 기타
5. 매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feather starfish

동물극피동물문 바다나리아문 바다나리강에 속하는 생물의 총칭.

영어로는 직역하면 깃털불가사리지만 불가사리랑은 아문 단위에서 달라 완전히 다른 생물이다.[1] 한국어 명칭은 모양새가 나리꽃처럼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

파일:Proisocrinus_ruberrimus.jpg
외형에 따라 두 분류군으로 갈라지는데 상단의 사진처럼 유영생활을 하는 분류군을 갯나리, 아래 사진처럼 바닥에 붙어 살며 줄기가 있는 분류군을 바다나리로 구분한다.

2. 진화사[편집]


고사리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엄연한 동물이다. 그것도 후구동물이라 척삭동물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극피동물에 속한다.[2]

극피동물 중 가장 원시적인 종류로 고생대 캄브리아기부터 등장해 페름기 대멸종, K-T 대멸종을 비롯한 5대 대멸종을 모두 버티고 살아남은 살아있는 화석 중 하나이다. 화석으로 보고된 종이 5,000종에 달하고 가장 큰 종은 20m를 넘었다고 한다. 현재는 600종 정도 남아있다고 한다. 살아있는 실물보다 화석으로 먼저 발견되었기에 1870년까지 바다나리가 삼엽충, 암모나이트처럼 선사시대에 멸종된 해양생물로 여겼으나 살아있는 바다나리가 발견되어 고생물이었다는 이론을 수정했다고 한다.[3]

원래 줄기가 있던 바다나리만 있었으나 중생대 이후 줄기가 퇴화되어 유영생활에 적합한 갯나리가 번성하기 시작했다. 심해에 국한된 바다나리와 달리 갯나리는 극지방 연안부터 남태평양 해역까지 서식범위가 넓었으며 현존하는 바다나리강의 600종 중 갯나리 종이 500종이다. 고생물학자들은 아마 데본기 무렵부터 등장한 유악어류를 피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추측한다.


3. 특징[편집]


파일:c5ba644a58a751ec93233cd875699aa3.gif
평소에는 바위나 산호초 등지에 붙어서 지내나 고사리처럼 생긴 촉수를 저으면서 헤엄을 치거나 바닥을 기기도 한다.바다나리가 움직일 수 있는 법 먹이는 플랑크톤. 무려 9,000m 깊이의 심해에서도 서식한다.

천적은 일부 어류, 불가사리, 성게다. 바다나리는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분비하거나[4] 도마뱀처럼 스스로 몸의 일부를 끊는 자절 능력 등 여러 대처법을 가지고 있다.


4. 기타[편집]




5. 매체[편집]


포켓몬스터 시리즈릴리요의 모티브가 된 동물이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9:01:59에 나무위키 바다나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불가사리는 불가사리아문, 바다나리는 바다나리아문이다.[2] 쉽게 말해서 선구동물인 오징어바퀴벌레의 관계랑 비슷하다.[3] 여러 고생물 서적에서 볼 수 있어서 바다나리를 은근히 고생물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4] 깃털에 점액질 독이 있어 영 좋지 않기 때문에 맨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추천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