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나이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희왕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암모 나이트 문서
암모 나이트번 문단을
암모 나이트# 부분을
, 영화에 대한 내용은 암모나이트(영화) 문서
암모나이트(영화)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암모나이트(국석아강)
Ammonite


파일:Perisphinctes.jpg

학명
Ammonoidea
(Zittel, 1884)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Mollusca)

두족강(Cephalopoda)
아강
†국석아강(Ammonoidea)


파일:아스테로케라스.jpg

암모나이트의 일종인 아스테로케라스의 복원도

1. 개요
2. 번성
3. 넘쳐나는 화석
4. 계통
5. 고대의 인식
6. 대중매체의 암모나이트



1. 개요[편집]


암모나이트고생대에 나타나 중생대, 나아가 신생대 극초기까지 번성했던 두족류들 중 국석아강에 속하는 이들을 통틀어서 칭하는 말이다.

어원은 이집트 신화의 신인 아문으로, 화석을 아문신의 머리에 있던 숫양뿔이라고 고대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가 생각하고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 ammonis cornua(암몬의 뿔)이라고 쓴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암모나이트 화석은 2023년 기준으로 남북한 포함해서 발견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데본기 시절부터 백악기 말까지의 해성층이 형성된 것이 없거니와 설사 있었더라도 지질구조 변화와 무분별 난개발 등으로 인하여 사라졌기 때문이다.[1][2]

2. 번성[편집]


당시 굉장히 번성했기에 고생대의 삼엽충과 같이 중생대의 표준화석이다. 간단히 말해서 삼엽충이 발견되면 고생대의 지층, 암모나이트가 발견되면 중생대의 지층인 것이다. 다만 암모나이트류 자체는 고생대 데본기에 출현하였으며, 따라서 그 이후의 석탄기페름기의 지층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단지 이들이 본격적으로 번성한 건 중생대부터이기 때문에 중생대의 표준화석으로 취급받는 것.

친척뻘인 벨렘나이트와 함께 중생대 내내 번성하며 1만 종 이상의 형태로 진화하였기에 삼엽충처럼 지층에서 발견된 암모나이트 화석의 종류를 통해 해당 지층이 중생대 중에서도 어느 시기에 속하는 지층인지 알 수 있다. 1억 5천만 년 이상에 걸쳐 번성하였으나, 중생대의 마지막인 백악기K-Pg 대멸종이 일어나면서 절멸에 이르게 된다. 이후에도 몇몇 종은 살아있었다. 하지만 그 기간이 굉장히 짧았기에 사실상 이것으로 멸종했다는 게 정설이다.


3. 넘쳐나는 화석[편집]


굉장히 오랜 시간 동안 번성했던 생물이었고, 단단한 껍데기 부분이 화석화되기 좋은 덕분에 현재까지도 암모나이트 화석은 동시대 다른 생물들에 비해 흔하다. 삼엽충과 함께 일반인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화석으로 네팔카트만두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관광상품으로 팔렸으며, 한국에서는 최저 500원부터 최고 5억 원 이상의 암모나이트 화석이 있다.[3] 20세기 말 KBS TV쇼 진품명품에서 중생대 쥐라기 후기의 암모나이트 무리 화석의 감정 가격이 당시 2,800만 원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1988년 NHK 스페셜 '지구대기행' 제작팀이 히말라야산맥을 방문했을 때는 냇가의 바위(직경 30cm 가량)를 뒤집어봤더니 그게 암모나이트 화석 1/4짜리였다.# 전체 크기가 60cm에 달하는 대형종이었던 셈이다. 중생대 당시 테티스해가 자리잡은 곳이었던 히말라야는 과장 조금 붙여서 냇가에 돌멩이 주워서 대충 깨 보면 암모나이트 화석일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곳이다. 지구대기행에서도 냇가에서 돌멩이를 주우니 벨렘나이트고 암모나이트인 장면이 나왔고 저 대형 암모나이트 화석도 그렇게 발견된 것이다. 히말라야 산맥이 위치한 지질층 일대는 아득한 옛날에는 해저였고, 인도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이 충돌하여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융기하여 현재에 이르렀기 때문에 해양 생물 화석이 다수 발견되는 것.

황금색으로 보이는 암모나이트가 발견되기도 한다. [4]

4. 계통[편집]


달팽이와 비슷한 껍데기를 지니고 있지만, 계통상으로는 달팽이와 같은 복족류가 아닌 두족류이다. 이 두족류에 속하는 동물로는 문어, 오징어, 갑오징어, 낙지, 앵무조개 등이 있는데, 오징어 낙지 등은 초형아강에 속하며 형태가 매우 다르지만 앵무조개[5]와 매우 닮았다. 단 계통상으로는 문어나 오징어 등의 초형아강에 더 가깝다. 또한 심해에서 20년 가량을 생활하는 앵무조개와 달리 초형아강 두족류처럼 얕은 바다에서 짧은 생을 살고 알은 단순히 해저에 뿌려버리는 식이었다고.

암모나이트의 껍데기는 의 이빨처럼 매일 자라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 그때그때 껍데기를 성장시키기 때문에 특유의 줄무늬를 남긴다. 그리고 진화를 거듭할수록 이 문양은 더욱 복잡해진다. 200과 1,800속 1만 종에 이르는 만큼 껍데기의 형태도 보편적인 달팽이 모양에서 소라 모양, 클립 모양, 원뿔형, 불규칙하게 꼬인 모양 등으로 다양하고, 크기 또한 동전 만한 것에서부터 최대 2m에 달하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하물며 무늬는 크기보다도 더 다양하므로 암모나이트 화석 수집에 끝은 없다고 하며, 이에 열을 올리는 사람도 많다.

다만, 앵무조개만이 암모나이트를 닮은 유일한 생물로 알기 쉬운데, 아직 두족류에도 비슷한 생물체들이 존재한다. 끝 지느러미 부위에 암모나이트와 비슷하게 생긴, 하지만 아주 자그마한 껍데기가 내장되어 있는 오징어인 스피룰라(Spirula spirula - Ram's horn squid)라는 생물이 있는데, 이 종의 경우에는 수심 100-200m의 깊은 물 속에 살다가 수명이 다해 죽으면 머리의 껍데기만 수면으로 떠올라 해안에 밀려와 오래전부터 껍데기만 알려져 있었고 어떤 생물체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가, 1910년에 대서양의 카나리아제도 근해에서 온전한 개체를 잡아 비로소 어떤 생물체인지 알려지게 되었다. 이 생물이 발견되고 나서, 유사한 형태 때문에 암모나이트 화석 일부는 기존에 알려진 앵무조개 형태가 아니라 스피룰라와 같은 형태를 한 거대한 개체가 아니었는가 하는 추측도 나왔다.

또한 집낙지(Paper Nautilus/Argonauta argo)라는 종 역시 암모나이트와 비슷한 형태의 껍데기를 가진 낙지이다. 생태를 보면 학자들이 추측한 암모나이트와 같이 물속을 떠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껍데기는 태어나면서 지니고 태어나는 물건은 아니고, 알을 보호하기 위해서 암컷이 임시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역시나 유사한 형태 때문에 암모나이트 화석 일부, 특히나 껍데기 입구 부분에 두족류 특유의 촉수의 흔적이 있어 스피룰라 부류가 될 수 없는 개체들 중 일부가 알껍데기를 만드는 집낙지와 같은 후천적 껍데기일 수도 있다는 추측도 나온 바 있다.


5. 고대의 인식[편집]


고대 인류 문명 시기에 발견되었을 때 이집트인들은 숫의 머리를 한 아문신의 뿔로 여겼으며 이 생각이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의해서 현대까지 그대로 전해지다가 칼 알프레드 폰 지텔 에 의해서 암모나이트라는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이 화석을 머리가 잘린 똬리를 튼 이라고 생각했는데 영국 횟비의 한 전설에서는 성녀 힐다에게 목이 잘린 뱀들이 돌이 된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그런지 그때 당시의 골동품을 보면 암모나이트 화석에 뱀머리를 조각한 것이 있다.


6. 대중매체의 암모나이트[편집]



  • 공룡세계에서 살아남기에선 백악기로 시간여행한 주인공 일행이 죽은 녀석을 발견하는데 주노가 얼마나 단단한지 시험해 보겠다며 돌맹이로 껍질을 부순다.[6]




  • 은밀한 귀환! - 암모나이트 화석이 두 남녀 주인공의 연을 맺어준 중요한 아이템으로 나온다.





  • 프라이미벌에선 헬렌 카터가 닉의 대학 사무실에 놓고 간다. 물밖에 꺼내 두었으니 얼마 못가 죽겠지만...


  • ABZÛ에서는 암모나이트 껍데기 12개를 모으면 암모나이트 문양이 새겨진 흰색 잠수복을 주는데, 이걸 착용하면 본래의 잠수복보다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헤엄칠 수 있다. 암모나이트 자체도 챕터 6에서 등장.

  • 공룡 메카드에서도 등장하는데 이쪽은 독특하게 물 위에서 싸운다. 게다가 땅 위를 기어다니고 오히려 바다에선 거의 싸우지 못한다. 물도 누두가 아닌 촉수 끝에 원기옥마냥 물 뭉치를 모아 쏘는 고증은 개나 줘버린 식. 심지어 어린이들이 암모나이트를 공룡으로 착각하는 멍청한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비단 암모나이트 뿐 아니라 아노말로카리스 등의 생물도 포함되는 문제.

  • 짱구는 못말려 5기 36화 여러가지 모양의 돌을 찾아요 편에서 나온다. 이훈이가 던져서 깨트린 돌이 다름아닌 암모나이트가 안에 있는 화석이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4:02:42에 나무위키 암모나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혹여나 남북한 포함해서 데본기에서 백악기 말까지의 해성층이 조금이라도 남아있어서 암모나이트가 발견된다면 국보급(또는 보물급)에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2]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화석, 유물, 위험천만한 것 등이 나와 국가이나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지 않고 개발해서 사라진 화석, 유물, 유적지가 많았다. 그런 게 나오면 공사가 즉시 중단되기 때문. 그리고 그렇게 중단된 공사로 인한 손해를 국가는 아무런 배상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그리고 이건 현재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암모나이트 화석이 나왔는데 이런 이유로 사라졌을 가능성도 마냥 무시할 수만은 없다.[3] 국내에서 거래되는 화석들은 주로 모로코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산출되는 것들을 수입한 것이다.[4] 실제 황금은 아니고, 바보의 황금(fool's gold)이라고 불리는 황철석이 금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https://blog.naver.com/kimdaehan1234_/223114442285[5] 앵무조개 역시 고생대에 출현하여 중생대에 걸쳐 번성하였으나, 암모나이트와 달리 K-Pg 멸종을 견뎌낸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종이 멸종하였다.[6] 실제이었으면 사람이 없는 백악기 시대이므로 문제가 없지만 만약에 화석 발굴장소에서 저런 행동했다는 문화재보호법 및 손괴죄으로 형사처벌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