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소스트리스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하이집트
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 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 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 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 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 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 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퍼
제7 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 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 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 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 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 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하트 4세 소베크네페루
제13 왕조
소베크호테프 1세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이푸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소베크호테프 2세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 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 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 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 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 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 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 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 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멘 프수센네스 2세
제22 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 왕조
하르시에세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 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 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 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 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 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 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 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 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클레오파트라 4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대통령






이집트 파라오
세소스트리스
Sesostris


후대
페론
자녀
페론♂

1. 개요
2. 통치 및 정복활동
3. 실존?
4. 여담




1. 개요[편집]


한때 이집트의 황금기를 이끌었다고 잘못 알려진 파라오.


2. 통치 및 정복활동[편집]


세소스트리스는 굉장히 넓은 영토를 가졌고 이 영토를 위해서 활발한 정복활동을 한 군주이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자면은 유럽의 남쪽 일부를 포함해 에티오피아홍해를 낀 아라비아 반도, 아나톨리아, 시리아까지 영토를 두고 있었으며 과정에서 스키타이인들과 트라키아인들과 치열한 전쟁을 치루고 정복하였다고 일컬어진다. 이후 정복된 백성들을 파시스 강과 콜키스 강에 이주시켰다고 한다.

이 정복된 국가들에 자신의 모습을 새긴 비석을 세웠으며 그중에서 정복활동을 쉬웠던 자들은 그 옆에 적국 병사들의 모습을 새겼는데 남자의 양물이 없고 여성의 생식기가 대신 자리잡았으며 이는 병사들이 아낙네처럼 싸웠다고 폄하하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물론 실제 이집트 역사에서 이 광대한 영토를 가졌다고 증명할 역사적 사료는 현재로소 전무하다. 실제 파라오가 아니라 현실 고대 이집트의 전성기를 이끈 람세스 2세세누스레트 1세세누스레트 3세의 행적을 조금씩 섞어서 만든 가상의 파라오라 보는게 타당하며 고대 그리스인들의 인식에도 세누스레트 3세와 1세를 세소스트리스라 생각하였다.


3. 실존?[편집]


당연하지만 실존하지 않는 파라오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으며 이 정도 큰 제국을 가진 군주는 역사적으로 기록된 전례가 없었고 오직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등장하고 나서야 세소스트리스가 정복한 영토를 가진 크기의 제국이 등장하였다.

헤로도토스가 보았다는 비석의 경우 현대 튀르키예에 유물로 추정되는것이 2개 발견되었으며 각각 "Karabel A"[1]와 "Karabel B"로 등록되었으며 B의 경우 도로공사 때문에 심하게 파손되었으나 A는 풍화되었지만 그래도 헤로도토스의 증언과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근데 1843년에 이 세소스트리스로 추정되는 인물 옆의 상형문자는 고대 이집트의 것이 아닌 히타이트의 상형문자인것으로 판명났다. 심지어 히타이트 상형문자의 해독결과 세소스트리스의 비석도 아닌 히타이트의 재상이었던 타카스나와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세소스트리스의 등장도 딱 절묘하게 고대 그리스 시대인것과 연관이 있는데 애초에 세소스트리스도 세누스레트의 그리스어 번역이다. 자녀로 알려진 후대의 파라오 '페론'도 실제로는 '파라오'라는 군주를 일컫는 명칭을 헤로도토스가 고유명사 및 이름으로 착각한 해프닝으로 보기도 한다. 당시 헤로도토스가 살던 당시의 고대 이집트는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통치받고 있었는데 지배층이 이집트인들이 아니라 페르시아인이라는 반발감과 이로 인해 빈번하게 반란이 일어났었는데 이 이집트 백성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탄생한게 세소스트리스로 보인다. 즉 실제로는 프로파간다적 인물인것. 잘 보면은 당시 페르시아 제국의 영토와 어느정도 겹치는 부분이 많으며 유일하게 다른 부분은 홍해를 포함한 아라비아 반도와 에티오피아 뿐이다.

이 프로파간다가 잘 먹혀들어서인지 후대의 역사가인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의 기록에 따르면은 당시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세상의 끝으로 인식되었던 인도까지 정복하였다는 첨언도 달려있었다고 한다.


4. 여담[편집]



고대 그리스와 중동에서는 이상적인 군주의 표본으로 알려졌는데 특히 알렉산드로스 3세가 존경한 인물이었으며 그가 학자우대를 한것도 세소스트리스가 피지배민들을 콜키스강에 이주시킨 이야기에 영향받은 측면이 있는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힘만 강한게 아닌 이성적이었으며 전쟁 후 수습까지 해내는 먼치킨이었던것.

기원후 300년대에 저술된 중세 역사서 '알렉산더 로망스'에도 등장한다. 여기에는 '세손코시스'(Sesonchosis)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알렉산더 본인과 만나는 것으로 나온다.[2] 내용은 대략 '내가 한때 세상을 다스린 군주였으나 이제는 내 이름은 유명세를 잃었다. 너는 신들이 총애하는 이집트에서 발견되었으니 이름이 널리 퍼질것이다,'라는 알렉산더에 대한 축복 겸 자신에 대한 애한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7:09:14에 나무위키 세소스트리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서 상단의 이미지에 나오는 조각이다.[2] 역사서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후대에 지어진 가상의 이야기일것이며 이는 중세에 흔한 풍습이었다. 원래는 랜슬롯트리스탄도 원탁의 기사가 아니라 각각 별개의 전설에 나오는 인물이었던것이 예시.